• 제목/요약/키워드: Som Rive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장흡충과 제2중간숙주에 대하여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agonimus and their second intermediate hosts in Kangwon-do)

  • 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31-340
    • /
    • 1993
  • 강원도의 강 하천유역에 있어서 주민의 Metqgonimus속 흡충의 감염률, 어류의 피낭 유충 자연감염 및 동물감염 실험에서 얻은 성충의 형태 등을 관찰하였다 주민의 감염률은 평균 7.8%(1,067명 중 83명 양성)였다 성별로는 남자 11.4%. 여자 3.2%였다. 강별로는 영서지역에서 섬강유역 7.3%, 주천강유역 6.3%, 평창강유역 12.8% 동강유역 3.8% 홍천강유역 9.8%와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유역이 8.0% 등이었다. 조사한 어류의 Metoqonimus속 피낭유충 감염률은 평균 81.0%(318마리 중 256마리)였고 감염어종은 영서지역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 갈겨니 (Zacco temmincki) . 끄리 (Opsarrichthvs binens) . 몰개(Squalidis sp. ). 붕어 (Carossius corossius) 등이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에서는 은어(Pruoglossus altivelis), 황어(Ribolodnn hokonensis)였다. 퍼라미와 끄리에서 분리한 피낭유충을 흰쥐와 개에 실험감염시켜 얻은 성충체는 대부분이 MetogonimMlyata형이고 부분적으로 M. tukqhoshii가 혼재하여 있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 은어에서는 M. Vokogawni만이 검출되었고 황어에서는 M. Vokogawci와 MetoEonim Miyata형이 혼재하여 있었다. 이상으로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흡충은 영서내륙지역에 서는 주로 피라미와 끄리를 감염원으로 하는 Metagonimus miyata형 흡충과 M. takahashii흡충이 분포하였다. 영동지역(삼척 오십천)에서는 주로 은어. 황어를 감염원으로 하는 M. yokogawai흡충 이 분포하며 일부 황어에서는 Metagonimus Miyata형도 혼재할을 알 수 있었다.

  • PDF

HS-GC/MS를 이용한 퇴적물 중 휘발성유기화합물 분석 - 외부 및 내부표준방법에서 매질영향 확인 -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Sediments Using HS-GC/MS - Confirmation of Matrix Effects in External and Internal Standard Methods -)

  • 신명철;정다솜;노혜란;유순주;서용찬;이보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510-519
    • /
    • 2021
  •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sediments, which can cause human health problems, have been monitored in Korea since 2014. Measured VOC concentrations can be affected by matrix type and the volatility of target substances. In this study, (1) VOCs volatility and the influence of matrix interference were confirmed, and (2) internal standards (IS) method was applied to improve analytical method. For these purposes, method detection limit (MDL), calibration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of VOCs were compared in various matrices using the IS. Some of VOCs in sediments showed different peak areas and reduced rates compared to water matrix. It was suggested that adsorption properties of sediments hindered the migration to vapor during heat pretreatment in headspace method. A calibration curve was created in clean sand. Recovery rates for the calibration curve method and IS applying method were 64.1~83.1% and 99.1~119.3%, respectively.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anged from 11.1% to 21.6% for the calibration curve method and those for IS ranged 4.7% to 13.7%. In case of real sediment, calibration curve and 1,2-Dichlorobenzene-d4 (ODCB) among IS were not suitable.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Fluorobenzene (FBZ) increased by 56.4% an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by 4.7%. However, the recovery rate was increased in the samples with large values of igniting intens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influence of the matrix of VOCs in sediment, and addition of IS materials improved precision and accuracy. Although IS corrects volatilization and adsorption, it is recommended that more than two types of IS should be added rather than single.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한 하천 합류부 전단층 추출법 (Identification of shear layer at river confluence using (RGB) aerial imagery)

  • 노효섭;박용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8호
    • /
    • pp.553-566
    • /
    • 2021
  • 하천 합류부는 두 개의 수체가 만나 전단층을 이루고 전단층을 따라 강한 혼합양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자연하천에서 합류하는 대비되는 두 하천의 색은 전단층을 따라 구분될 수 있는데, 이는 위성 또는 무인항공체를 이용해 촬영된 항공영상을 통해 쉽게 관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득 비용이 저렴한 RGB 항공 영상을 이용해 합류부에서 발생하는 전단층을 추출하고 전단층 주변의 기하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방법은 네 단계로 구분된다. 첫 번째로, 합류부 흐름에서 전단층 추출을 위해 가우시안 혼합 모형을 바탕으로 한 영상 분할을 수행하여 본류와 지류가 포함된 픽셀을 추출해낸다. 다음으로 추출된 하천 수역에 자기조직화지도를 적용해 하천의유선을 1차원 곡선으로 단순화한다. 추출된 수체 영역과 1차원 곡선들을 이용해 본류와 지류의 수역을 이미지상 직교좌표계에서 곡선좌표계로 투영한 뒤, 마지막으로 전단층의 기하학적 특성을 산정한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전단층 추출법을 경상남도의 낙동강과 남강의 합류부가 촬영된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자연하천 합류부의 기하학적 특성인 합류각, 합류하는 두 하천의 상하류 하천 폭, 전단층의 길이, 그리고 전단층의 최대 두께를 각각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소하천 수질평가를 위한 부착생물 조사 (Periphyton Survey for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a Small Stream before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Lake)

  • 신재기;조경제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2호
    • /
    • pp.109-117
    • /
    • 2000
  • The dynamics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biomass of epilithic attached algae was determined by bimonthly sampling in the Kyechon and Yudongchon situated in the upper part of Som River from March 1998 to February 1999. Among environmental factors, average of $NH_4$, $NO_3$, SRP and SRSi concentration ranged $8.9{\sim}86.6{\mu}g$ N/l, $663.9{\sim}2,018.1{\mu}g$ N/l, $0{\sim}15.0{\mu}g$ P/l and 1.6~2.6 mg Si/l,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hlorophyll-a and organic matter per unit area, which ranged from 21.1 to 231.8 $mg/m^2$ and ranged from 5.2 to 52.6 $g/m^2$, respectively, showed very high in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Both were high in February and May and low in March seasonally. The fluctuation of epilithic biomass related the concentration of $NH_4$, SRP and current velocity. In relationship between biomass and current velocity, >200 and 100~200 mg chl-a/$m^2$ corresponded to <0.2 and <0.8 m/s, respectively.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with chl-a and organic matter of periphyton resulted on over eutrophic condition. Periphytic algae in a small stream were more effective as indicator of water quality than planktonic algae. More researches on periphytic algae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evaluation are needed.

  • PDF

우리 성명(姓名)의 생성 발달에 대하여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Korean Names)

  • 도수희
    • 인문언어
    • /
    • 제1권1호
    • /
    • pp.255-274
    • /
    • 2001
  •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Korean names, focusing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literal meanings of those for kings and ordinary people. Roughly speaking, the Korean surname system traces its source to China.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the Chinese were already using their family names around 1000 B.C. After a millennium or so, the Korean began to follow suit. Initially, however, surnames were in regular use among kings and their kin only: it was not until the late Shilla dynasty, around A.D. 800, that the commoners began to have Heir surnames. And yet, surnames still tended to be limited to men of noble birth, until around A.D. 1000. Though the Korean surname system may be said to have its origin in Chinese, there are no lack of native surnames that have as long a history, e.g., Hae, Bak, Sok, Sol, Ul, and Ol. Typical surnames of Chinese origin that are found during the late Shilla dynasty, around A.D. 900, include Jang (as in Jang Bogo) and Choi (as in Choi Chiwon). Unlike those of Chinese origin, typical Korean names during the age of Three Nations tended to allude to nature or natural phenomena, as can be witnessed in Bit 'light,' Balgum 'bright,' Nuri 'world,' and Soidori where soi means 'steel' and dol 'stone,' Other surnames abound that have to do with river, stream, field, prairie, and so on. King Muryong's original name was Sama, a variant of som 'island,' indicating where he was born. A person skilled in archery was called Jumong or Hwalbo. Baembo was so called because he 'crawls like a snake, baem,' In these last two examples, bo, as well as its variant bu, functions as a suffix, and is also found in Cochilbu, Isabu, Babo, Nolbu, Hungbu, etc. The tradition of using this kind of native Korean names has gradually disappeared, giving place to the names of Chinese style-although very recently we see an on-going movement toward using native names.

  • PDF

국내 남서부지역 호수 및 저수지 생태계의 플랑크톤 동태 변화 (Assessing the Plankton Dynamics in Lakes and Reservoirs Ecosystem in the Southwestern Parts of Korea)

  • 김현우;라긍환;정광석;박종환;허유정;김상돈;나정은;정명화;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86-9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31개 호소 지점을 대상으로 동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생태학적 모델 적용을 고려한 호소간의 플랑크톤 동태 비교에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의 동물플랑크톤(윤충류 70종, 지각류 14종, 요각류 5종)과 554종의 식물플랑크톤(규조류 176종, 녹조류 237종, 남조류 68종 그리고 기타 73종)이 동정 확인 되었다. 플랑크톤 밀도 및 종 다양도는 지점별 및 계절별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 호소의 연평균 총 식물플랑크톤 밀도는 $7,350{\pm}15,592$ cells $mL^{-1}$ (n=124)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점에서는 평균 $855{\pm}448$ cells $mL^{-1}$ (n=4), 가장 높은 지점에서는 평균 $72,048{\pm}13,4631$ cells $mL^{-1}$ (n=4)인 것으로 파악되어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밀도 차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소형 동물플랑크톤인 윤충류가 우점하였으며, 지각류 및 요각류의 출현 종수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조사지점별 출현한 총 동물플랑크톤 종수는 상이하였으며, 호소별 평균 출현 종수는 약 3~10여 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및 SOM 모형의 적용 결과 동식물플랑크톤의 종수와 밀도는 호소의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존재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대상 호소에 대해서 플랑크톤 군집 구조 관점에서 수자원 관리가 실시될 경우 대형 호소보다는 중소형 호소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착돌말영양지수(TDI)를 활용한 습지환경 평가 (Wetland Habitat Assessement Utilizing TDI(Trophic Diatom Index))

  • 김성기;최종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25-538
    • /
    • 2019
  • 낙동강에 위치한 신규조성 습지의 현황 파악 및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부착규조류의 서식현황과 종다양성을 분석하고 부착돌말영양지수(TDI, Trophic Diatom Index)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부착규조류는 총 38과 173종이 출현하였으며, 봄과 가을에 각각 156종, 154종으로 비슷한 종수를 나타냈다. 자기조직화지도(SOM)를 활용한 분석 결과, 부착규조류의 분포는 각 습지의 영양염류의 농도와 강우 등의 환경요인에 따라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러스터 1의 경우, 대부분 가을시기이며, 총인과 총질소 등의 영양염류의 농도와 부착규조류의 종수 및 풍부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부착돌말영양지수가 높은 지점들로 구성되었다. 이와 반대로, 클러스터 4는 봄시기의 지점들이며, 총질소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부착돌말영양지수가 낮은 특징을 보였다. 신규조성 습지 대부분이 유입 유출구 기능이 원활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여름철에 증가된 유량은 가을철에 영양염류 값을 감소시키며, 탁도 증가로 인해 빛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아 부착규조류의 종수와 풍부도가 낮아진다. 이와 반대로, 봄철에는 낮은 수위로 인해 부착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기질표면이 부족하며, 호오탁성 종이 정착 및 발달하기에 이른 시기이기 때문에 부착돌말영양지수 값이 낮게 측정된다. 다양한 기존 연구에서, 부착돌말영양지수를 서식환경 및 수질 평가지표로 활용하고 있으나, 본 습지는 흐름이 적고 정체수역에 가깝기 때문에 대부분 영양염류 농도가 높아 부착돌말영양지수의 평가지표 가치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강우나 유입 유출 조절부의 기능이 부착규조류의 종다양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