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vent Effect

검색결과 1,837건 처리시간 0.027초

염화 포름산 알킬의 구조와 반응성. 할로겐화 이온 교환반응에 대한 분자궤도론적 고찰 (Structure and Reactivity of Alkylchloroformates. MO Theoretical Interpretations on Halide Exchange Reaction)

  • 이본수;이익춘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23-238
    • /
    • 1974
  • 염화포름산 알킬의 할로겐화 이온 교환반응을 반응속도론적으로 연구하고, 이의 전자 구조적 특성을 CNDO/2 MO계산으로 연구하였으며 이로부터 구조와 반응성 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염화포름산 알킬의 에너지면에서의 가장 안정한 입체배치가 알킬기와 염소원자 사이가 서로 트랜스인 입체배치임을 알았으며, 결합주위의 회전장애가 {\pi}-전자 비편재화에 기인됨을 밝혔다. 염화포름산 알킬은 하전분리가 심한 극성물질이며, 이것이 카르보닐 산소와 알콕시 산소의 효과 및 염소의 효과에 기인됨을 밝혔다. 반응속도에 미치는 용매효과는 $(CH_3)_2CO>CH_3CN{\gg}MeOH$순으로 반응성이 감소되는 작용을 나타냈으며, 친핵성도는 양성자성 용매중에서 $I^->Br^->Cl^-$, 비양자성 용매 중에서 $Cl^->Br^->I^-$이었으며 알킬기의 기여는 $CH_3->C_2H_5->i-C_3H_7-$순이었다. 초기상태와 천이상태의 안정화 기여를 기초로 용매효과를 해석하였으며 초기상태 탈용매화의 특성으로 친핵성도를 논의하였다. 이 반응에 대하여 가장 유리한 메카니즘을 첨가-제거 메카니즘으로 제안하였다. 염화포름산 알킬의 반응성을 결정하는 구조적 요인은 하전, C-Cl 결합에 대하여 ${\alpha}^{\ast}$인 LUMO의 에너지준위 및 이 MO에서 C-Cl결합의 반결합세기임을 밝혔다.

  • PDF

Sialie acid의 감소가 탈지분유의 단백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uction in Sialic acid on Solubility of Non Fat Dry Milk Protein Isolates)

  • 송재철;박현정;이재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1-65
    • /
    • 1987
  • k-casein은 유단백질 분획으로 GMP를 포함하고있으떠 GMP는 sialic acid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k-casein index로 sialic acid 가 사용될 수 있다. 탈지분유 분리 단백질 용해도는 칼슘카페인 보다 일반적으로 낮으므로 용매처리시 야기되는 k-casein의 손실과 저용해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용매처리시 주요 stabilizing fraction k-casein의 손실 혹은 손상을 고려해야만 한다. 용매처리시 sialic acid 는 제1차 추출용매에 16.5%, 제2차 추출용매에 4.0%손실되어 전체 20.5%가 용매처리시 손실되었다. 또 사용한 메탄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sialic acid손실이 감소하여 sialic acid 손실은 메탄을분획보다 물분획에따라 좌우된 것 같다. 따라서 sialic acid를 함유한 분말 extracted solid의 feed back 실험 결과 10%첨 가시최대 용해도를 나타냈으며 유당은 용해도 변화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탈지분유 단백의 저용해도 헌상은 용매처리시 k-casein의 가용성 물질 손실에도 일부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두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ybean Fractions Extracted by Solvent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68-1373
    • /
    • 2007
  • 대두를 먼저 헥산(Hex)으로 지방을 제거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극성이 다른 용매인 디클로로메탄($CH_2Cl_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MeOH)의 분획물들 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은 2.5 mg/plate 첨가농도에서 각각 83%로 상당히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는 5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분획물들의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가 낮았다. 한편 MNNG의 경우, $AFB_1$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67%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중간 분획물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은 각각 63%, 49%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66%로 위암세포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디클로로메탄($CH_2Cl_2$)과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에는 각각 54% 및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의 경우, 대두 메탄을 추출물을 2 mg/assay 투여했을 때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도 분획물들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73%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결장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77%의 결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분획물들 중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 분획물에 주로 isofavone류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더욱 정제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신서란(Phormium tenax) 잎 조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과 (Anti-inflammatory and Anti-Atopic Effects of Crude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of Phormium tenax leaf)

  • 양권민;송상목;이도승;윤원종;김찬식;김창숙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33-441
    • /
    • 2019
  • 본 연구는 하라케케(Harakeke)로 불리는 신서란(Phormium tenax)를 화장품 및 의약품산업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신서란 잎을 대상으로 70%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이것들의 항염증 및 항아토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신서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한 결과, methylene chloride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NO와 $PGE_2$ 생성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NO와 $PGE_2$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분획물에서는 iNOS 및 COX-2 발현 억제 활성을 보였다.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에 의한 NO, $PGE_2$ 생성 억제 활성이 NOS 및 COX-2 발현 억제에 의한 것임을 제시한다. 더불어, $hIFN-{\gamma}$로 자극된 HaCaT 세포에 용매 분획물을 처리하여 MDC 및 TRAC 생성억제 효과를 조사한 바, methylene chlorid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 65%, 52% 생성억제 시켰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MDC 및 TATC의 생성을 각각93%, 84%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신서란 잎 조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유효성분 분리 및 활용화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기능성 화장품, 의약외품 및 의약품 소재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소의 심낭 고정에서 용매 처치, 무세포화 혹은 항독성화 처치가 조직의 장력 및 신장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ensile Strength and Elasticity after Treatment with Glutaraldehyde, Solvent, Decellularization and Detoxification in Fresh Bovine Pericardium)

  • 장우성;김용진;김수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1-10
    • /
    • 2010
  • 배경: 심장 혈관계 수술에서 인공 조직 보철편은 주로 소나 돼지 판막, 심낭의 글루타알데하이드 고정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 이식편의 석회화 및 물리-기계적인 결함이 문제시 되고 있다. 이 중 본 연구에서는 소의 심낭에 글루타알데하이드 고정, 용매, 무세포화, 항독성화 처리가 조직의 물리-기계적 장력 및 신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신선한 소의 심낭과 여러 방법의 글루타알데하이드 고정 및 용매 첨가 그룹, 무세포화 그룹, 항독성화 처리 그룹 등으로 나누어 각 조직의 물리-기계적 장력 및 신장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심낭을 30도 각도로 달리하여 얻어낸 6가지 방향에 대하여 폭 5 mm에 대한 인장 강도를 구하여 장력을 측정하였고, 양방향으로 늘려 끊어지는 시점에서의 길이를 측정하여 늘어난 정도를 구하여 신장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상용 농도의 글루타알데하이드 고정시 장력이 감소하며(n=83, $MPa=11.47{\pm}5.40$, p=0.006) 용매를 첨가하였을 때 장력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신장도는 글루타알데하이드 고정시 늘어났으며(n=83, strain $(%)=24.55{\pm}9.81$, p=0.00), 용매 첨가시 신장도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무세포화 처리시 대부분의 장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장기간 저농도 용액 처리, 고농도의 세정용매 처리시 장력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p=0.01, p=0.00), 신장도는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3) 항독성화 처리 시 장력 및 신장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소의 심낭에 글루타알데하이드 고정, 용매, 항독성화 처리 후에는 장력 손실이 관찰되지 않으며 신장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세포화에 따른 장력의 손실이 뚜렷하였으나 저 농도 세정제 사용과 고농도 용액처리를 보강한 무세포화 처리에서는 장력의 손실이 향상되었다. 계속해서 더 나은 이식 보철편개발을 위한 다양한 용매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설폰산기를 함유한 PVA막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응용 (Poly(vinyl alcohol) Membrane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Application)

  • 이영무;이선용
    • 멤브레인
    • /
    • 제14권3호
    • /
    • pp.240-24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alcohol(PVA)의 hydroxyl 작용기와 sulfosuccinic acid (SSA)의 carboxylic acid 작용기의 반응을 통하여 열가교된 PVA막을 제조하였다. 설폰산기를 함유한 SSA는 PVA 매트릭스에 대한 가교제의 역할뿐만 아니라 수소이온의 전도도를 높이는 역할 모두를 수행하였다. PVA의 가교도(degree of crosslinking)는 SSA의 함량으로 조절하였고 가교밀도(crosslinking density)는 극성 및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Xylene 및 benzene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물과 methanol과 같은 극성 용매를 사용한 경우 가교밀도는 SSA함량 20%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설폰산기의 영향으로 감소하였다. 가교도와 확산계수, 기계적 물성 및 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등에 대한 PVA막의 특성을 평가하였고 이들 특성은 SSA함량에 의존하였다.

황산(黃酸) 침출용액(浸出溶液)에서 Cyanex272, PC88A 및 Alamine336을 이용한 바나듐(V) 및 티타늄(Ti)의 용매추출(溶媒抽出) (Solvent extraction of Vanadium and Titanium from Sulfate leaching solutions by Cyanex272, PC88A and Alamine336)

  • 안재우;안종관;김주엽;유정근;이상훈;김동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6권3호
    • /
    • pp.34-43
    • /
    • 2007
  • 황산용액중에서 바나듐 및 티타늄의 추출거동을 고찰하기 위하여 추출제로 Cyanex272, PC88A그리고 Alamine336를 추출제로 사용하였다. 용액의 pH 및 추출제의 농도 그리고 추출등온곡선에 대한 연구와 바나듐 및 티타늄의 혼합용액에서 두성분의 분리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바나듐 회수를 하기 위해 효과적인 추출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Alamin336이 바나듐의 추출효과가 가장 좋았고, 티타늄과의 분리성도 가장 우수하였다.

프로판올 첨가에 따른 PVC 용액의 박막 형성과 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Propanol to PVC Solution on the Structure of Thin Film and its Surface Property)

  • 박재남;신영식;이원규
    • 공업화학
    • /
    • 제26권1호
    • /
    • pp.35-39
    • /
    • 2015
  • 범용성 고분자인 폴리염화비닐(PVC)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여 미세다공성 구조의 표면을 갖는 초소수성 박막을 제조하고 박막의 형상에 따른 표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용매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과 비용매인 프로판올로 구성된 PVC 용액을 딥코팅으로 물과의 접촉각이 $150^{\circ}$ 이상인 초소수성 PVC 박막을 얻었다. PVC 박막 제조과정의 표면 건조공정에서 온도가 증가는 표면 거칠기를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표면의 소수성 특성 저하를 가져왔다. PVC 용액에 비용매인 프로판올의 양을 증가시키면 코팅 박막의 표면 거칠기가 균일해지고 접촉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초소수성의 PVC 박막 표면을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면 노출시간에 따라 친수성으로 표면특성이 변환됨을 확인하였다.

삼출건비탕의 HPLC-PDA 동시 분석법 설정 및 세포독성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ven Compounds by HPLC-PDA and Cytotoxicity of Samchulkunbi-tang)

  • 서창섭;이미영;김정훈;이진아;신현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5-71
    • /
    • 2010
  • Objectives:To develop and validate HPLC-PDA methods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ven constituents in Samchulkunbi-tang (SKT).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cytotoxicity against BEAS-2B cell line and splenocytes of SKT. Methods:Reverse-phase chromatography using a Gemini $C_{18}$ column operating at $40^{\circ}C$, and photodiode array (PDA) detection at 230, 254 and 280 nm, were used for quantification of the three marker components of SKT. The mobile phase using a gradient flow consisted of two solvent systems. Solvent A was 1.0% (v/v) aqueous acetic acid and solvent B was acetonitrile with 1.0% (v/v) acetic acid. The cytotoxicity of SKT were measured by the CCK-8 assay method. Results:Calibration curves were acquired with $r^2$>0.9999,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 for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less than 6.0%. The recovery rate of each compound was in the range of 86.89-109.78%, with an RSD less than 4.0%. The contents of seven compounds in SKT were 1.39-6.84 mg/g. SKT had no cytotoxicity effect at 50-200 ${\mu}g$/mL concentrations. Conclusions:The established method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and in vitro efficacy study of SKT.

북극식물 Ranunculus hyperboreus의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apacity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rctic Terrestrial Plant Ranunculus heperporeus)

  • 이정임;김호준;서효원;공창숙;서영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185-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북극 육상식물인 R. hyperboreus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내 ROS와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유의적인 소거활성을 확인한 후에 구성성분의 극성에 따른 소거효과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85% aq.MeOH, n-BuOH, water 분획물을 얻었다. 각 용매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hexane, water, 85% aq.MeOH, n-BuOH 분획의 순서대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각 용매분획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색한 결과 n-hexane 분획의 경우에는 세포생존율에 기인한 어느 정도의 활성변화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소거 활성은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n-BuOH 분획물이 가장 좋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 번째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85% aq.MeOH 분획물이 두 번째로 좋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