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tion flow

검색결과 3,126건 처리시간 0.043초

SB-31의 Glycyrrhizin을 지표로 한 Rat과 Rabbit에서의 약물동태 및 심혈관계에 대한 효과 연구 (Pharmacokinetics of Anticancer Agent SB-31 in Rats & Rabbits and the Cardiovascular Effect on the Isolated Perfused Rat Heart & Blood Coagulation)

  • 강원구;박용순;이동흠;권광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2-132
    • /
    • 1998
  • SB-31 which contains Pursatilla, Licoris and Ginseng extracts was recently proved as an anticancer agent. In a preclinical effort to be applied this drug to human, pharmacokinetics of SB-31 was carried out in rats and rabbits. Glycyrrhizin(GZ), a saponin of Licoris was used as a standard ingradient for the pharmacokinetics of SB-31. The rat's blood, bile and urine samples were serially collected in femoral vein, common bile duct and bladder, respectively, after bolus i.v. injection at a dose of 1 or 1/5 ampul/rat and rabbit's blood samples from the marginal ear vein at a dose of 1 or 3 amp./rabbit. GZ and glycyrrhetic acid(GA), a major metabolite of GZ in the physiological samples were analysed by HPLC with UV detection. The decline of GZ in plasma concentration was generally biexponential at each dose. GZ was almost completely recovered in bile within 18 hour. GA wasn't detected in the samples with UV detector. In the rat, Vss and Kel at a dose of 1 and 1/5 ampul of SB-31 were $98.06\pm6.07\;ml,\;0.33\pm0.05\;hr^{-1}\;and\;65.46\pm11.19\;ml,\;0.68\pm0.25\;hr^{-1}$, respectively. Those in rabbits at a dose of 3 and 1 ampul of SB-31 were $235.24\pm30.72\;ml,\;0.13\pm0.36\;hr^{-1}\;and\;341.32\pm28.58\;ml,\;0.27\pm0.04\;hr^{-1}$, respectively. 'WinNonlin' was utilized for the compartmental analysis. A two-compartment model was chosen as the most appropriate pbarmaco-kinetic model. The data were best described by using a weighting factor of $1/y^2$. To evaluate the effect of SB-31 on cardiovascular system, serially diluted SB-31 was directly injected into coronary artery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heart and the effect of PSF, PSH, saponins of Pursatilla, and SB-31 on PT, APTT of healthy human plasma was examined. Except the positive inotropic effect of ten times diluted solution of SB-31,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LVDP, (- dp/dt)/(+dp/dt), heart rate and coronary flow in comparision with that of vehicle. SB-31 had no effect on PT but slightly delayed APTT about $6.9{\sim}11.5\%$.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PSF and PSH on PT & APTT. Conclusively, SB-31 did not show any notable toxic effects on cardiovascular system.

  • PDF

칼슘 및 은 이온으로 치환된 제올라이트 A를 탈수한 후 브롬을 흡착한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of a Bromine Sorption Complex of Dehydrated Calcium and silver Exchanged Zeolite A)

  • 배명남;김은식;김양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7-131
    • /
    • 1997
  • Ag+ 이온과 Ca2+ 이온으로 교환하고 진공 탈수한 제올라이트 A에 브롬을 흡착한 결정 구조(a=12.234(1) Å)를 입방공간군 Pm3m을 사용하여 단결정 X-선 회절법으로 구조를 해석하였다. 결정은 AgNo3와 Ca(No3)2의 몰 비를 1:150으로 하고 농도를 0.05M으로 한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흐름법으로 3일간 이온 교환하였다. 그 결정을 360℃에서 2 ×10-6 Torr하에서 2일간 진공 탈수한 다음 약 180 Torr의 브롬 기체로 24℃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이 결정 구조는 Full-matrix 최소자승법 정밀화 계산에서 I>3o(I)인 반사 90개를 써서 R1=0.111, R2=0.101까지 얻었다. 이 구조에서 3.1개의 Ag+이온과 4.45개의 Ca2+ 이온이 6-링 산소와 결합하면서 두개의 서로 다른 3회 회전축 상에 위치하고 있었고 단위 세포당 총 여섯 분자의 브롬이 흡착되었다. 각 브롬 분자는 골격 구조의 산소 이온과 전하 이동 작용에 의해 결합하고 있었다(Br-Br-O=171(2), O-Br=3.25(6) Å; Br-Br=2.61(8) Å.

  • PDF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온실기둥 상승장치 개발 (Development of Raising Device for Greenhouse Column Using a Pneumatic Cylinder)

  • 이현준;박은미;신동창;최중섭;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6-212
    • /
    • 2018
  •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질 좋은 음식을 선호하기 때문에, 농장에서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시설은 플라스틱 온실과 유리온실이다. 국내의 플라스틱 온실 과 유리 온실의 측고는 3m 내외이다. 결과적으로 작물의 생산성이 제한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둥의 높이를 증가시켜 온실의 측고를 높이는 것이다. 온실 기둥상승 장치는 멈춤장치, 공압 실린더 및 수직 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공압 실린더는 안전계수 1.5를 고려하여 직경 160mm와 행정길이 50mm로 설계하였으며, 노즐을 통하여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였다. 1행정 시간을 30초 내외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21.5L{\cdot}min^{-1}$ 공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즐의 직경은 0.5mm로 설계하였다. 압력이 0.9 MPa일 때 평균 인상력은 13,805N으로 계산된 값 15,612N에 근접하였다. 현장 시험결과 같은 열의 기둥과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제 유리 및 플라스틱 온실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수술을 위한 0.5% 순수 Bupivacaine 척추마취 (Spinal Anesthesia for Lower Extremities : Comparison of Plain 0.5% Bupivacaine and Hyperbaric 0.5% Tetracaine)

  • 송선옥;구본업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21-130
    • /
    • 1990
  • 영남대학교 마취과학교실에서 하지에 국한된 수술을 받는 환자 40예를 대상으로 각군 20예씩 0.5% 고비중 tetracaine 2ml와 0.5% 순수 bupivacaine 2.5ml을 사용하여 척추마취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각군의 연령, 성별, 신장 및 체중은 비슷하였다. 2. 양군 모두 감각차단이 $T_{12}$분절에 도달되는 시간은 4분정도였고, 감각차단 최고분절높이도 $T_{6-7}$이었으며 최고높이에 도달되는 시간도 20분 정도였다. 3. 운동차단정도도 양군이 비슷하여 10분에 대부분이, 20분이내에 전예에서 완전차단이 초래되었다. 4. Bupivacaine군은 감각차단이 $T_{12}$분절이상에서 유지된 시간이 3시간, 술후 진통시간이 7시간으로 tetracaine군보다 작용시 간과 진통시간이 의의있게 길었다(P<0.05). 5. 수축기 혈압의 감소는 bupivacaine군이 훨씬 적었으며(P<0.05), 혈압은 마취후 20~30분에 심하게 감소되었다. 6. 마취후 발생된 부작용은 전체 대상환자에서 두통(3예), 다리저림(5예), 배뇨곤란(3예) 및 배부통(4예) 등이었고 양군사이에 발생빈도의 차이는 없었다. 이 상의 결과로 bupivacaine 척추마취의 임상적 특징은 감각차단 및 운동차단이 나타나는 양상과 마취후 부작용은 고비중 tetracaine과 비슷하고, 고비중 tetracaine보다 혈압감소가 적고 작용시간이 걸고 술후 진통효과가 좋은 점등의 장점이 있으므로 0.5% 순수 bupivacaine은 하지수술을 위한 척추마취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아가리쿠스버섯에서 분리한 단백다당류 분무건조분말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Spray Dried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owder from Agaricus blazei Murill)

  • 홍주헌;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555-562
    • /
    • 2006
  • 분자량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아가리쿠스 버섯에서 분리한 단백다당류를 이용하여 이들의 유동특성을 비교하였다. 막분리 및 분무건조된 단백다당류의 절대분자량은 SEC/MALLS로 분석하였는데, Cumulative weight fraction이 50%인 지점에서의 분자량은 SD-1,2와 3이 각각 $8.2{\times}10^3,\;9.6{\times}10^4\;5.9{\times}10^6 g/mol$로 나타났다. 분자량이 다른 SD-1, 2, 3용액 $3{\sim}7%$에 대하여 전단응력을 측정한 결과,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전단응력이 높았으며 항복력은 거의 나타나지 않아의가소성 유체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분자량에 따른 영향을 비교해 볼 때 유동지수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점조도 지수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겉보기 점도의 온도의존성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SD-2는 $3{\sim}5%$에서는 $16.61{\sim}18.87 kJ/kg.mol$로 증가하였고, $5{\sim}7%$에서는 $18.87{\sim}16.41 kJ/kg.mol$로 감소하였으며 SD-1과 3보다 활성화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농도에 의한 의존성 보다는 온도에 의한 의존성이 큰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겉보기 점도에 대한 농도의 영향은 SD-1, 2와 3 모두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수 $K_1$은 감소하였고, 기울기 A의 경우 SD-1과 3에서는 각각 $0.065 %^{-1}$에서 $0.036 %^{-1}$로, $0.081 %^{-1}$에서 $0.070 %^{-1}$로 감소하여 측정온도가 높아질수록 농도의존성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겉보기 점도에 대한 농도의 영향은 SD-3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실험 배합사료, 외국 시판자료 및 생사료가 참전복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xperimental Formulated Diets, Commercial Diet and Natural Di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이계안;전임기;유성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7-424
    • /
    • 1997
  • 전복 실험용 배합사료의 효능과 배합사료 성형시 염화칼슘 수용액 농도와 침적시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단백질과 에너지원으로 카제인, 북양어분, 대두박, 소맥분, 건조미역 분말, 오징어간유와 대두유를 첨가하고 점착제로 알긴산나트륨을 21% 사용한 실험 배합사료를 설계하여 5%, 10% 및 15%의 염화칼슘($CaCl_2$) 수용액에 각각 10초, 20초 및 60초간 담구어 알긴산나트륨을 칼슘염으로 치환시킨 9종의 실험 배합사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외국산 배합사료 2종류, 생사료(건조미역) 및 배합사료와 생사료 혼합구를 설정하여 실험 배합사료와 비교하였다. 평균체중 0.3 g의 참전복 치패를 각 사료당 3 반복으로 17주간 사육 실험함 결과,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및 생존률은 건조미역 공급구가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외 실험구는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평균 가식부 중량은 15% $CaCl_2$ 수용액에 각각 10초, 20초 및 60초간 담구어 알긴산나트륨을 칼슘염으로 치환시킨 9종의 실험 배합사료를 제조하였다.CaCl 하(2) 수용액에 10초간 처리한 실험구와 건조미역구가 낮은 값을 보였으나 체중에 대한 가식부의 무게에서는 모든 실험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 종료시 수분, 단백질 및 회분 함량은 사료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0.05), 지질함량은 외국산 배합사료가 첨가된 실험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합사료를 성형할 때 염화칼슘의 농도와 침적시간은 전복의 성장과 체성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실험에서 설계된 배합사료는 건조미역보다 성장효과가 높았고 외국 시판사료와 그 성능이 동등한 것으로 나타나 차후 참전복 배합사료 연구에서 대조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모세관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Costus Speciosus 중 Diosgenin의 정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pillary Gas-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Diosgenin in Costus Speciosus)

  • 김택제;차기석;김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9-376
    • /
    • 1986
  • 모세관 기체-액체프로마토그래피(GLC)에 의해 인도네시아산 Costus speciosus중의 diosgenin을 정량하기 위해 가수분해 및 추출, 아세틸화 반응 및 GLC의 측정 조건등을 검토하였다. 건조된 diosgenin분말 1.20g을 3N HCI과 xylene의 혼합용액으로 95∼100${\circ}C$에서 4시간 환류시킨 다음 xylene층을 분리하였다. Xylene을 증발시켜 날려보내고 20:80의 acetic anhydride-pyridine을 가하고 30분간 환류시켜 아세틸화시킨 후 diethyl ether로 추출하였다. 무수 $Na_2SO_4$로 탈수시키고 ether를 날려 보낸 다음 찌끼를 n-hexane 5.00ml에 녹여 GLC로 분석하였다. SE-30 25m ${\times}$ 0. 33mm의 모세관을 사용하였고 컬럼온도는 180${\circ}$에서 270${\circ}C$까지 10${\circ}C$/min의 속도로 온도를 상승시켰다. 운반기체 $N_2$의 유속은 2ml/min이었고 FID로 검출하였다. Diosgenin의 분석결과는 0.281%이었고, 상대표준편차는 1.8%로서 재현성이 좋았다.

  • PDF

효소처리에 의한 분리대두 단백질의 부분 가수분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zymatic Partial Hydrolysis of Soybean Protein Isolates)

  • 이철호;김찬식;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8-234
    • /
    • 1984
  • 탈지 대두박으로 부터 추출 분리하여 얻어진 분리대두 단백질에 효소(pepsin 및 trypsin)를 처리하여 부분적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만들고 이들 제품의 가수분해 정도를 고유점도 측정, 수용성 단백질 및 유리아미노산 농도 측정과 전기영동등으로 평가하였으며 가수분해물의 유체변형성과 식품기능성외 변화를 평가하였다. 가수분해물의 고유점도는 사용된 효소의 종류와 처리시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가수분해에 의한 수용성 단백질의 농도 변화와 일반적으로 역비례 하였다. 0.03 M$CaCl_2$, 용액에서의 용해도와 ninhydrin test에 의한 TCA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고유점도의 변화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므로 가수분해 정토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었다. S. D. S. - P. A. G. 전기영동 패턴은 사용한 효소와 처리시간에 따라 다른 형태를 나타냈으며 pepsin처리에 있어서는 가수분해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로 11S분획이 선택적으로 분해되었으며 trypsin처리에 있어서는 7S와 11S모두 영향을 받았다. 가수분해물의 흐름형태는 4%용액에서 거의 New tonian 유체형태를 나타내었으며 apparent viscosity는 가수분해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화용량 및 유화안정도는 SPI보다 모두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같은 효소처리인 경우 가수분해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포형성은 SPI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기포안정도는 가수분해 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경쟁적 저해를 갖는 고정화 β-galactosidase 반응기의 해석 (Analysis of an Immobilized β-Galactosidase Reactor with Competitive Product Inhibition Kinetics)

  • 강병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71-1476
    • /
    • 2013
  • Duolite A568 담체에 흡착으로 ${\beta}$-galactosidase를 고정화시켰다. 효소의 흡착되는 현상은 Freundlich 흡착 등온식을 잘 따랐다. 흡착에 관여된 파라미터인 k와 n은 각각 14.62와 1.744를 얻었다. 자유 효소와 고정화 효소의 속도식에 관여된 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해 초기 속도법을 실시하였다. Michaelis-Menten 상수($K_m$)는 고정화 효소가 120 mM이고 자유 효소가 79 mM 이었다. 재순환 충진층 반응기에서 갈락토스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경쟁적 저해식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락토스에 의한 경쟁적 저해식에 대한 모델이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V_m$, $K_m$ 그리고 $K_I$ 값은 각각 46.3 $mmolmin^{-1}mg^{-1}$, 120 mM and 24.4 mM 이었다. 연속 충진층 반응기에서 락토스 용액의 유량을 증가시킬 때 서로 다른 락토스 농도에서 락토스의 전환율이 감소하였다. 장기 연속 조업을 통해 고정화 효소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11일 동안 연속적으로 반응기 운전을 실시하였다. 고정화 효소의 잔류하는 활성은 63%로 유지되었고 효소의 반감기는 15일로 밝혀졌다.

건설 시공현장의 3D기반 광대역 모델링을 위한 Sensor 기술 분석과 향후 현장적용 모델 연구 (Study of Sensor Technology Analysis and Site Application Model for 3D-based Global Modeling of Construction Field)

  • 권혁도;고민혁;윤수원;권순욱;진상윤;김예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38-942
    • /
    • 2007
  • 최근 건설산업의 현장 생산성이 점차 저하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공과정에서의 프로세스 개선이 중요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3D 센싱기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장비 적용성 및 기술검토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공과정에서 3D기반 광대역 모델링 기술을 활용한 건설현장의 3D구현을 통해 실시간으로 현장의 실시간 변화상황을 파악하여 현장관리의 효율화는 물론 시공 진척도 측정 및 공정관리 과정의 정보흐름 활성화를 통해 현장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모델링 관련 알고리즘과 광대역 현장 구현관련 기술의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시공현장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율 감소와 함께 현장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을 통한 향후 유사공사 적용 및 우리 건설산업 생산 프로세스 개선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건설산업 전체 이미지 제고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