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group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24초

N-Methyl-p-Aminophenol의 酸化重合機構 및 生成重合體의 熱特性 (The Mechanism to Oxidative Polymerization of N-Methyl-p-Aminophenol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Polymer Formed)

  • 최규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14-319
    • /
    • 1972
  • N-methyl-p-aminophenol은, 酸素存在下, 철-킬레이트(Fe(III)-EDTA) 水溶液中에서 酸化重合하여 黑色의 Oligo-(N-methyl-p-aminophenol)을 定量的으로 生成한다. 이 酸化重合過程에서 單量體中의 N에 結合된 $CH_3$ group이 일부 脫離되는데, 이것은 oligo-(N-methyl-p-aminophenol)을 아세톤처리하여 얻은 아세톤 可溶部와 不溶部의 赤外線스펙트럼에서 ${\delta}\;asym\;CH_3\;1460\;cm^{-1}$${\delta}\;sym\;CH_3\;1380\;cm^{-1}$의 吸收가 候者의 경우 현저히 弱化된 것으로 明白하다. $N_2$氣流中에서 每分 $2^{\circ}C$의 上昇速度로 行한 TGA分析結果, $600^{\circ}C$에서 약 40%의 重量損傷을 나타내며, $CH_3$ 置換基가 없는 p-aminophenol보다 耐熱性이 떨어진다. 또한 이 生成올리고머의 He 氣流中에서 행한 熱分解反應에서의 生成物은 單量體인 N-methyl-p-aminophenol과 물이 確認되었고 分解가스로부터는 gas chromatography에서 $H_2,\;CO,\;CO_2$등이 確認되었다. 生成올리고머의 熱處理에서는 일부는 1次元的인 構造가 切斷되어 單量體로 分解되지만, 대부분은 melt polycondensation이 일어나 더 큰 重合體로 변함과 동시에 熱에 安定한 環式構造로 변하여 감이 確認되었다

  • PDF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써설폰 막의 CO2/N2 혼합가스의 투과거동에 대한 연구 (Study on CO2/N2 Mixture Gas Permeation Behavior through Polyethersulfone Membrane Treated by Plasma)

  • 박희진;노상호;배성렬;문세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0권6호
    • /
    • pp.687-693
    • /
    • 2002
  • 폴리이써설폰 막(polyethersulfone membrane, PES)을 Ar, $NH_3$ 플라즈마로 표면 처리하고, 처리 전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Ar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때 O/C의 비율이 증가하며 친수성기의 도입이 확인되었고 $NH_3$ 플라즈마로 처리하였을 때 아민, 아미노기가 도입되었다. 또한 폴리이써설폰 막의 흡습성이 유지될 경우,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표면에 형성된 극성 작용기들과 $CO_2$와의 내부반응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N_2$에 비하여 $CO_2$의 용해 선택성이 증가하였고 투과도와 선택도가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플라즈마 처리된 폴리이써설폰 막에서 $CO_2$의 투과도와 ${\gamma}$(actual separation factor)에 대한 최적조건은 Ar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 10 W-2 min에서 각각 $13.19{\times}10^{-10}cm^3(STP)cm/cm^2{\cdot}s{\cdot}cmHg$와 20.12이며, $NH_3$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 50 W-2 min에서 $15.40{\times}10^{-10}cm^3(STP)cm/cm^2{\cdot}s{\cdot}cmHg$와 20.06를 얻었다.

성숙한 3T3-L1 지방세포에서 Akkermansia muciniphila의 지방축적 감소 효과 (Effect of Reduction in the Adipose Accumulation of Akkermansia muciniphila in Mature 3T3-L1 Adipocytes)

  • 심혜윤;임수경;신주현;이도경;서재구;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6-112
    • /
    • 2019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reduction of lipid accumulation by treatment with Akkermansia muciniphila extract on 3T3-L1 adipocytes. Methods: After treating pasteurized Akk. muciniphila strains in HT-29 colorectal cancer cell, the relativ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8, tumor necrosis factor-α, IL-6, and IL-1β mRNA was analyzed by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27 strains of Akk. muciniphila which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selected. 3T3-L1 pre-adipocytes were treated with Akk. muciniphila for 24 hr and then measured the toxicity using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 assay.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4 days and then differentiated into adipocytes using the medium including adipogenic reagents for 10 days. The Akk. muciniphila was treated when the medium was exchanged for differentiation medium at 4th day and insulin medium at 6th day. To observe the lipid accumulation, the cell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dye and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Results: In the cytotoxicity test, the cell viability of 3T3-L1 pre-adip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untreated with Akk. muciniphila, and there was no cytotoxicity of Akk. muciniphila at 1×107 CFU/mL. The results on Oil red O staining and absorbance measurements wer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pid accumulation in the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Akk. muciniphil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In our results, Akk. muciniphila has the inhibitory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This suggests that Akk. muciniphila could be help to improve obesity.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 합성과 성능평가 (Synthesis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modified epoxy resins containing fatty acid)

  • 이동찬;김진욱;최중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4-64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약용매에서 용해될 수 있는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였고, 합성한 수지의 용해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비스페놀A형, 페놀 노볼락형 및 오르소 크레졸 노볼락형의 3종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지방산, dodecyl phenol (DP), toluene diisocyanate (TDI)를 도입하였다. 합성조건은 당량기준으로 에폭시수지/지방산 = 1/0.5, 지방산/DP = 0.25/0.25, TDI 0.5이었고, 에폭시수지 종류에 따라 12종류의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가 합성되었다. 합성된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에 대하여 점도 및 용매${\surd}$가용성을 평가한 결과, 벤젠고리와 글리시딜기의 함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약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용매에 용해성이 우수한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투명 도료를 제조하여 물성을 평가한 결과,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지방산/DP/TDI의 당량비가 1.0/0.25/0.25/0.5인 것과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수지/지방산/DP의 당량비가 1.0/0.25/0.25인 조성에서 건조시간, 접착력, 도막경도, 내충격성, 내알칼리성에서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Ion에 의한 다당류내 1차 알코올의 특이적 산화 (Oxidation of Primary Alcohol Groups of Polysaccharides with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onium Ion)

  • 장판식;조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46-451
    • /
    • 1997
  • 구조와 용해도가 다른 4종류의 다당류(옥수수전분, 쌀전분, 고구마전분 및 셀룰로오스)내의 1차 alcohol group을 $25^{\circ}C$에서 2,2,6,6-tetramethyl-1-piperidine oxoammunium (TEMPO)을 사용하여 carboxyl group으로 산화, 전환하였다. TEMPO/bromite 촉매를 이용한 산화반응계에서 최적 pH, TEMPO함량 및 NaBr 함량은 각각 $10.5{\sim}11.0$, 10 mmol/mol of primary alcohol, 0.49 mol/mol primary alcohol이였으며, 반응 최적조건하에서의 산화율은 4종류의 다당류 모두 90%이상이였다. 산화반응은 다당류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매우 증가시켰는 바, 물에 불용성인 셀룰로오스의 경우 산화에 의하여 8.42% (w/v)로 증가되었으며, 옥수수전분, 쌀전분 및 고구마전분과 같이 물에 거의 불용성인(0.10% (w/v) 이하) 다당류들도 약 45% (w/v) 수준으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의 산화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산화물질은 $Ca^{2+}$이온과의 겔 형성능을 갖게됨을 확인하였는 바, 각종 gum, gel 및 film의 새로운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백출) 추출물의 급성 경구투여 독성 연구 (Acute Oral Toxicity of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

  • 최혜경;노항식;정자영;하헌용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21
    • /
    • 2014
  • 본 연구는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의 급성 경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SD계 Rat를 이용하여 농도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하고 체중변화, 이상반응, 장기무게변화, 혈액학적 이상반응, 조직병리학적 이상반응 등을 측정하였다. Atractylodes macrocepala KOIDZ.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이상반응이나 장기무게에 있어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학적 지표에 있어서도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WBC 및 AST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에서 일부 간조직의 지방변성이 관찰되어 간독성과 간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백출이 경구투여에 있어 비교적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단회 경구투여 급성독성시험만으로 천연물 생약에 대한 독성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일정부분 제약이 있으므로, 추가적으로 2주(또는 4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및 13주 반복 경구투여 독성시험 그리고 유전독성에 대한 연구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백출에 대한 체계적인 독성정보를 구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안전성 자료가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의 합성 및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 (Synthesis and Anti-corrosion Properties of Succinic Acid Alkyl Half-Ester Derivatives)

  • 백승엽;김영운;정근우;유승현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67-375
    • /
    • 2011
  • 숙신산 에스테르 유도체는 방청성능 및 윤활성능이 우수하여 금속가공유 및 유압작동유 등의 첨가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유계 윤활기유의 방청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알킬 무수 숙신산과 여러 가지 지방 알콜과의 개환반응을 행하여 카르복실 그룹과 에스테르 그룹을 동시에 함유하는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를 97% 이상의 수율로 합성하였으며 1 중량% 농도범위에서 광유계 오일에 잘 용해되었다. 합성 유도체는 $^1H-NMR$ 및 FT-IR 스펙트럼으로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GC 분석을 통하여 화합물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합성 유도체의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을 ASTM D665 표준방법과 무게 중량법으로 평가하여 카르복실산 그룹을 함유하지 않는 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와 비교하였다. 방청성능 평가 결과, 합성 유도체의 농도가 증가하고 분자 내에 포함된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상대적으로 방청성능이 우수하였으며 비교물질인 숙신산 알킬 에스테르 유도체는 방청성능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무게 중량법으로 평가한 80 중량ppm 농도를 첨가한 오일의 방청효율 % (IE%)는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최고 95% 이상이었다. 또한, 발청속도(Corrosion rate, CR)는 알킬기의 사슬이 짧을수록 낮은 값을 나타내어 80 중량ppm에서 최고 0.3 mm/year 이하를 나타내었다. 즉, 숙신산 알킬 하프-에스테르 유도체의 해수에 대한 방청성능은 분자 내에 함유되어 있는 카르복실산 그룹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효소처리 병풀(Centella asiatica)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 및 이를 이용한 잼의 제조 (Physicochemical Quality Change of Enzyme-Treated Centella asiatica and Preparation of Jam using Enzyme-Treated Centella asiatica)

  • 이경행;주가영;김채영;한기정;장다빈;윤지혜;유광원;배윤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12-620
    • /
    • 2021
  •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Centella asiatica (CA), enzymes such as cellulase and pectinase were added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treated CA were analyzed. In addition, apple-CA jam was prepared using the enzyme-treated CA, which had the best antioxidant properties, an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the jam were measured. There was a high content of ascorbic acid, polyphenols, flavonoids, reducing sugar, amino acid, mineral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enzyme-treated group. The antioxidant component and activity in the jam prepared by adding enzyme-treated CA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enzyme-treated CA. In the soluble solids, the higher the amount of enzyme-treated CA, the higher the valu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jam, in particular the taste, showed that the highest preference was observed when the enzyme-treated CA was added in the range of 5.0~6.7%,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and spreadability among the treatment groups, however,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highest color preference.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when 5.0% of enzyme-treated CA was added, the highest acceptability was shown.

Potential Risk of Choline Alfoscerate on Isoflurane-Induced Toxicity in Primary Human Astrocytes

  • Hyun Jung Lee;Hye Rim Cho;Minji Bang;Yeo Song Lee; Youn Jin Kim; Kyuha Ch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4호
    • /
    • pp.418-430
    • /
    • 2024
  • Objective : Isoflurane, a widely used common inhalational anesthetic agent, can induce brain toxicity. The challenge lies in protecting neurologically compromised patients from neurotoxic anesthetics. Choline alfoscerate (L-α-Glycerophosphorylcholine, α-GPC) is recognized for its neuroprotective properties against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but its optimal therapeutic window and indications are still under investig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α-GPC on human astrocytes, the most abundant cells in the brain that protect against oxidative stress, under isoflurane exposure.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changes in factors related to isoflurane-induced toxicity following α-GPC administration. Primary human astrocytes were pretreated with varying doses of α-GPC (ranging from 0.1 to 10.0 µM) for 24 hours prior to 2.5% isoflurane exposure. In vitro analysis of cell morphology, water-soluble tetrazolium salt-1 assay,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roteome profiler array, and transcriptome sequencing were conducted. Results : A significant morphological damage to human astrocytes was observed in the group that had been pretreated with 10.0 mM of α-GPC and exposed to 2.5% isoflurane. A decrease in cell viability was identified in the group pretreated with 10.0 µM of α-GPC and exposed to 2.5% isoflurane compared to the group exposed only to 2.5% isoflurane.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vealed that mRNA expression of heme-oxygenase 1 and hypoxia-inducible factor-1α, which were reduced by isoflurane, was further suppressed by 10.0 µM α-GPC pretreatment. The proteome profiler array demonstrated that α-GPC pretreatment influenced a variety of factors associated with apoptosi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Additionally, transcriptome sequencing identified pathways significantly related to changes in isoflurane-induced toxicity caused by α-GPC pretreatment.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α-GPC pretreatment could potentially enhance the vulnerability of primary human astrocytes to isoflurane-induced toxicity by diminishing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factors, potentially leading to amplified cell damage.

저령(Grifola umbellata)의 열수 추출물이 생쥐에 미치는 방사선 방호 효과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Grifola umbellata Hot Water Extract on Mice)

  • 박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4호
    • /
    • pp.333-34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에 방호효과를 보이는 물질을 탐구하기 위하여 약용버섯인 저령(Grifola umbellata)의 균핵을 끓여 추출물을 얻어 이것이 실험용 생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였다. 생쥐에 ${\gamma}$-선을 전신에 조사(5.0 Gy)하기 24시간 전 복강에 열수 추출물(100 mg/kg 체중)을 주사하면 조사된 생쥐의 40일째 생존율이 65.5%에서 78.6%로 증가되어 방사선 방호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 조사 40일 후 방사선 처리군의 생쥐는 대조군과 열수 추출물 전처리군보다 상대적으로 체중 증가가 지연되었는데, 특히 방사선 처리군의 경우 흉선과 비장의 무게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한 반면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투여군의 해당 기관은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고환의 경우 방사선 처리군과 열수 추출물 전처리군에서 모두 무게가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후자의 경우에 전자에 비해 현저히 감소 폭이 적었다. 상기한 기관들과는 대조적으로 심장, 신장 및 간의 무게는 3개의 군에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대사물질 및 혈액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열수 추출물 투여군의 백혈구 수는 방사선 처리군 보다 좀더 서서히 감소되었으나 7일 이후 백혈구 수 회복은 두 개의 군 간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혈구의 감소경향은 두 개의 군 간에 유사하였으나 회복 현상은 열수 추출물 투여군에서 신속히 일어났다. 방사선 처리군의 림프구 수는 방사선 처리 후 7일간 현저히 감소되었고, 이후로 서서히 회복된 반면 열수 추출물 투여군의 림프구 수는 방사선 처리군 만큼 현저히 감소하지 않았고 그 회복 현상도 보다 신속하였다. 방사선 조사된 생쥐의 혈청 내 당 함량이 방사선 처리 1일째부터 현저히 증가하였고, 방사선 처리 후 7일 째와 14일째에는 1일째보다는 낮아졌으나 여전히 정상값(120 mg/dl)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열수 추출물 투여군의 혈당은 조사된 기간동안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방사선 처리 1일째에는 세 군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7일째에는 방사선 처리군과 열수 추출물 투여군 모두 대조군 보다 높았다. 혈청 내 총단백질 함량은 세군 모두 연구 기간 동안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용성 단백질의 양상은 심장, 신장, 고환, 흉선에서는 각 군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간의 경우 방사선 처리군과 방사선 처리전 추출물 투여군에서 분자량 90, 53, 32 kDa 크기의 단백질이 감소하였고, 방사선 처리군에서는 감소하였으나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감소되지 않은 단백질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생쥐에 방사선을 처리했을 경우 저령의 열수추출물을 투여한 생쥐 군이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생존율이나 내장 장기무게의 감소에 있어서 생존율은 20% 증가하였고 비장의 무게는 44.4%, 고환의 무게는 66.6%, 그리고 흉선의 무게는 66.6% 증가한 방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