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e

검색결과 1,485건 처리시간 0.024초

A Systematic Review of Acupuncture for Chronic Fatigue Syndrome

  • Kim, Hong Guk;Ryoo, Dek Woo;Jeong, Seong Mok;Kim, Sung Jin;Baek, Seung Won;Lee, Chang Hee;Yoon, Jin Young;Goo, Bon Hyuk;Kim, Min Jeong;Park, Yeon Cheol;Seo, Byung Kwan;Baek, Yong Hyeon;Nam, Sang Soo;Kim, Yong S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93-112
    • /
    • 2017
  • Objectives : To evaluate and summarize the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treatment (AT) in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Methods : Fifteen databases (Pubmed, Cochrane, EMBASE, AMED, CINAHL, CNKI, Wanfang, and eight Korean databases) were searched up to September 2016. Only trials in which acupuncture was the sole treatment were included. Fatigue was used as the primary outcome measure, while the quality of life, pain, mood disorders, and adverse events were used as secondary outcome measures. We adopted three classifications: AT vs Sham AT, AT vs Wait-list, AT vs Western medication.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was used to assess the methodological quality. Results : A total of 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869 participants were identified. In comparison with Sham AT, AT significantly alleviated fatigue and pain, but no conclusions about the quality of life and mood disorders could be drawn. In the Wait-list group and Western medication groups, patients with CFS might feel less fatigued following acupuncture treatment, but the evidence was insufficient due to lack of study. Nine of 11 RCTs (81.8%) reported adverse events and there were two cases of mild subcutaneous hemorrhage, but no serious adverse cases. Conclusion : This review found evidence that patients with CFS may generally benefit from alleviation of symptoms by acupuncture treatment, and there is no evidence of worsening symptoms or causing of serious adverse events. A positive effect on fatigue and pain was observed, but no conclus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mood disorders.

Spacer-type 전도기가 도입된 가교형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음이온 교환막의 제조 및 특성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ion Exchange Membrane Based on Crosslinked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with Spacer-type Conducting Group)

  • 임해량;김태현
    • 멤브레인
    • /
    • 제27권5호
    • /
    • pp.425-433
    • /
    • 2017
  •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등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신 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에너지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료전지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부산물로써 물만을 생성하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 장치이다. 특히, 음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Anion Exchange Membrane Alkaline Fuel Cell, AEMAFC)는 수소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연료전지(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에 비해 보다 높은 촉매의 활성으로 인해 저가의 금속 촉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AEMAFC에서 요구되는 AEM의 특성으로는 연료전지가 작동하는 높은 pH 조건에서 높은 이온전도도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안정성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고분자에 spacer-type의 전도기를 도입함과 동시에 가교법을 이용하여 높은 이온전도도($80^{\circ}C$, $67.9mScm^{-1}$)와 기계적 성질(영률 : 0.53 GPa) 뿐만 아니라 높은 pH 조건에서 화학적 안정성($80^{\circ}C$, 1000 h, 6.8% loss of IEC)을 갖는 AEMAFC용 고분자 전해질 막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seudomonas nitroreducens TX1에 존재하는 작은 플라스미드의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a Small Cryptic Plasmid from Pseudomonas nitroreducens Strain TX1)

  • ;이경;강주범;황설이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0-215
    • /
    • 2014
  • Pseudomonas nitroreducens TX1는 대만의 벼를 재배하는 논의 배수구에서 분리된 세균이다. 이 균주는 알킬페놀 폴리에톡실레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고농도에서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TX1 균주에서 분리된 새로운 플라스미드 pTX1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크기는 2,286 bp, GC 함량은 63.3%, 암호된 유전자로는 $Rep_{pTX1}$과 기능이 밝혀지지 않은 ORF1과 ORF2가 동정되었다. $Rep_{pTX1}$은 롤링-서클 기작에 의해 복제되는 그람 양성 세균에서 주로 발견되는 pC194/pUB110 플라스미드 계열에 속하는 DNA 복제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마다 약 150개의 플라스미드가 존재함을 규명하였다. 플라스미드에 존재하는 유전자 지문과 유사 플라스미드와의 핵산과 아미노산 서열비교를 통해 pTX1은 슈도모나스 세균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는 롤링-서클 기작에 의해 복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물계면활성제 생성 세균 Pseudomonas sp. HN37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ing Pseudomonas sp. HN37)

  • 정다희;장동호;김영은;정미랑;한규웅;김형배;박경량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39
    • /
    • 2014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원유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총 144균주를 순수분리 하였고, 이중 유화능과 성장률 그리고 표면장력활성이 가장 우수한 한 균주를 최종 선별하여 형태 및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 HN37이라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된 Pseudomonas sp. HN37는 여러 종류의 지방족 탄화수소와 3,5-dinitrosalicylic acid와 2,4-dichlorophooxyacetic acid를 단일 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그리고 이 균주는 암피실린과 클로람페니콜 항생제와 Ba, Cr, Li, Mn 중금속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갖고 있었고, pH 6.0-9.0과 $30^{\circ}C$에서 성장능과 표면장력활성, 그리고 유화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Pseudomonas sp. HN37는 1% (v/v) 원유 농도와 1%(w/v) NaCl에서 최대 유화능과 표면장력활성을 나타내었고, LB배지에서 배양 15시간 후에 표면장력활성이 62 dyne/cm에서 27 dyne/cm까지 감소하였다.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환아에서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 투여 후 절대 호중구 수치의 변화 (Change of absolute neutrophil count after intravenous immunoglobulin administration for the children with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 신현정;방인국;최병규;황진복;김준식;김흥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82-986
    • /
    • 2007
  • 목 적 :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의 치료로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한 후 절대 중성구치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 법 : 내원 당시 발열이나 CRP 증가, 스테로이드 사용 등 백혈구수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인자를 가지지 않은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 환아 26례를 대상으로 사용된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의 용량과 사용중 발열 여부 등에 따라 정주용 면역 글로불린을 1일간 사용한 전후의 절대 중성구 수치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의 치료로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한 후 1일이 지났을 때 절대 호중구 수치는 감소되었던 경우가 많았고 절대 호중구 수치의 감소 정도는 면역 글로불린의 용량과 관계가 있었다. 면역 글로불린 사용 후 절대 호중구 수치가 증가되었던 경우는 면역 글로불린 사용 중 발열을 동반하거나 저용량의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였던 경우들이었다. 절대 호중구 수치가 감소된 경우에도 감염성 합병증이 있었다고 기술되었던 경우는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특발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의 치료에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고 1일 후 절대 호중구 수치가 감소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심각한 감염성 합병증이 있었다는 기록은 찾기 어려웠으나 이러한 현상이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관찰할 필요가 있겠다.

Characterization of Mutations in AlHK1 Gene from Alternaria longipes: Implication of Limited Function of Two-Component Histidine Kinase on Conferring Dicarboximide Resistance

  • Luo, Yiyong;Yang, Jinkui;Zhu, Mingliang;Yan, Jinping;Mo, Minghe;Zhang, Keq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15-22
    • /
    • 2008
  • Four series (S, M, R, and W) of Alternaria longipes isolates were obtained based on consecutive selection with Dimethachlon (Dim) and ultraviolet irradiation. These isolates were then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ir tolerance to Dim, sensitivity to osmotic stress, and phenotypic properties. All the selected Dim-resistant isolates showed a higher osmosensitivity than the parental strains, and the last generation was more resistant than the first generation in the M, R, and W serie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Dim resistance and osmotic sensitivity were not found to be directly correlated, and no distinct morpholog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among the resistant and sensitive isolates, with the exception of the resistant isolate K-11. Thus,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basis of the fungicide resistance, a group III two-component histidine kinase (HK) gene, AlHK1, was cloned from nineteen A. longipes isolates. AlHK1p was found to be comprised of a six 92-amino-acid repeat domain (AARD), HK domain, and response regulator domain, similar to the Os-1p from Neurospora crassa. A comparison of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AlHK1 gene from the Dim-sensitive and -resistant isolates revealed that all the resistant isolates contained a single-point mutation in the AARD of AlHK1p, with the exception of isolate K-11, where the AlHK1p contained a deletion of 107 amino acids. Moreover, the AlHK1p mutations in the isolates of each respective series involved the same amino acid substitution at the same site, although the resistance levels differed significantly in each serie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a mutation in the AARD of AlHK1p was not the sole factor responsible for A. longipes resistance to dicarboximide fungicides.

플라스틱 및 바이오매스의 촉매 열분해에 의한 수소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Hydrogen Production by Catalytic Pyrolysis of Plastics and Biomass)

  • 최선용;이문원;황훈;김래현
    • 에너지공학
    • /
    • 제19권4호
    • /
    • pp.221-22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 및 플라스틱에 가스화 효율을 높이기 위한 탄산염 촉매 또는 Ni based 촉매를 혼합한 시료에 대하여, 고정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급속 등온 열분해 실험을 수행하여, 생성된 가스의 온도, 시료 및 촉매의 영향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수소 생성 수율을 얻고자 한다. 고위발열량 측정 결과, 바이오매스보다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열량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원소분석 결과로부터 수소 함량은 플라스틱 시료가 더 높았다. 계산된 활성화 에너지는 촉매 적용에 의해 감소하였고, 5 wt% 이상의 경우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수소수율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포함된 시료, 온도에 대해서는 대부분 높은 온도 범위에서 최대값이 얻어졌다. 또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높은 혼합비를 갖는 조건의 수소수율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5 wt% 이상의 조건에서는 촉매 혼합비 증가의 영향은 미비하여, 활성화 에너지의 결과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촉매 반응이 무촉매 반응에 비하여 높은 수소수율이 얻어졌다. 촉매 종류에 대하여, 탄산염 촉매인 $Na_2CO_3$$K_2CO_3$보다 Ni-$ZrO_2$ 촉매가 수소 생산을 위한 목적에 더 적합한 촉매임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로부터의 최대 수소수율을 위한 조건은 $900^{\circ}C$, 20 wt%의 Ni-$ZrO_2$(1:9) 촉매가 혼합된 Pitch Pine, Polyethylene 시료에 대하여 65.9 vol%의 높은 수소수율의 결과를 얻었다.

초유은행에서 수거한 초유의 병원체 오염과 면역수준의 평가 (Assessment of Immune Quality and Pathogen Contamination of Colostrums Collected from Colostrum Banks in Korea)

  • 김원일;박상열;김상진;조용일;허태영;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23-229
    • /
    • 2013
  • 송아지는 초유를 통해서만 모체항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생우가 분만초기에 초유를 섭취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추기 위해 필수적이다. 따라서 분만 후 잉여 초유를 저장하였다가 초유섭취가 부족한 신생우에 공급하여 충분한 항체를 갖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양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3곳의 지역에서 운영되는 초유은행에서 저장된 35개의 초유를 무작위로 수거하여 일반세균오염과 주요 병원체들을 검사하였고 면역글로불린의 농도와 BVDV 특이 항체가를 측정하여 초유의 면역학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초유은행에서 수거된 대부분의 초유에서 중등도에서 고도의 세균오염이 관찰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초유가 좋은 품질의 초유라고 판단되는 50 g/L의 IgG 농도에 미치지 못하는 IgG를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유은행 보관용 초유는 청결한 채취법에 따라 분만 후 2-3회 이하로 착유한 초유를 사용하여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63^{\circ}C$에서 30분간 실시하는 저온살균이 면역글로불린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초유에 의한 질병전파를 확연히 줄여주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냉동보관 전에 초유의 저온살균 과정을 반드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객체지향적 작물 모델을 활용한 간작조건에서의 작물 생육 모의 (Simulation of crop growth under an intercropping condition using an object oriented crop model)

  • 김광수;유병현;현신우;서범석;반호영;박진유;이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4-227
    • /
    • 2018
  • 농업생태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작물생육을 모의하기 위해 객체지향형 작물모델을 개발하였다. 대기, 작물, 토양 및 재배관리를 대표하는 Atmosphere 클래스, Plant 클래스, Soil 클래스, Grower 클래스가 설계되었다. 또한, 이들 클래스들이 구현된 객체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계하여 통합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사례연구로써, 농촌진흥청 본원의 전작시험 포장에서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수행된 실험에서 얻어진 옥수수와 콩의 수량 관측자료와 통합시스템으로 모의된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단작과 간작조건에서 통합시스템으로 예측된 옥수수의 수량은 4% 이내의 낮은 오차율로 모의되었다. 이삭중을 제외한 지상부 건물중의 경우, 옥수수와 콩의 관측값보다 과소추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옥수수의 경우 잎과 줄기의 생체중 모의값은 관측값에 비해 약 31% 적게 추정되었다. 옥수수가 수확된 시점에서 같이 수확이 된 콩의 경우, 옥수수 보다는 비교적 작은 과소추정 오차를 가졌다. 비록 간단한 형태의 모델들로 구성되었으나, 이러한 모델을 활용하여 복잡한 상호작용을 모의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추후 연구에서, 보다 상세한 작물 생육 모의를 위해 기존의 과정중심의 작물 모델을 역설계하여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한 시계열 모형의 예측력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ve Power Improvement of Time Series Model with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thod)

  • 김태림;신홍준;남우성;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2호
    • /
    • pp.981-993
    • /
    • 2015
  • 수문 시계열의 분석은 수문자료를 활용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에 필수적인 부분이며, 특히 장기적인 수문량 예측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문 시계열 분석은 전통적으로 하나의 자료계열을 하나의 요인으로 파악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예측해왔지만 시계열 자료가 여러 가지 요인으로 혼합되 어 하나의 자료계열로 나타내질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각 요인들을 분해하여 분석하는 방법도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수문 시계열을 다중 성분으로 분해하고 분해된 각 요소를 시계열 모형으로 재구축한 후, 구축된 요소별 시계열 모형으로부터 예측된 값을 합하여 시계열을 예측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국내 댐 유입량에 적용한 후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기존 시계열 모형과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이용한 방법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기존의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자료를 예측한 결과보다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해한 후 시계열 자료를 예측한 결과가 주어진 시계열 자료를 더 잘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