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r panel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59초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Awning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ar panel-powered Awning system)

  • 정재훈;박원현;이동헌;최명훈;김민;김현조;조윤재;이원상;김송현;이형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43-744
    • /
    • 2016
  • 현재 그린에너지로 부상하고 있는 태양광발전으로 인하여 많은 시설의 전력을 태양광으로 대체함으로 많은 에너지 및 공해 및 환경오염 요소를 줄여나가고 있다. 지금도 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각종 응용분야에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패널을 간판과 융합하여 낮에는 에너지를 생성하고 밤에는 간판 역할을 함으로 간판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보다 절약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낮 시간때에는 천막과 같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발전함으로 사용 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dditional Study on the Laser Sealing of Dye-Sensitized Solar-Cell-Panels Using V2O5 and TeO2 Containing Glass

  • Cho, Sung-Jin;Lee, Kyoung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03-107
    • /
    • 2015
  • The effective glass frit composition used to absorb laser energy and to seal commercial dye-sensitized solar cell panel substrates has been previously developed using $V_2O_5-TeO_2$-based glass with 10 wt% ${\beta}$-eucryptite as a CTE controlling filler. The optimum sealing conditions are provided using a 3 mm beam, a laser power of 40 watt, a scan speed of 300 mm/s, and 200 irradiation cycles.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glass frit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sealing strength and chemical durability against the commercial iodide/triiodide electrolyte solution and fluorine-doped tin oxide (FTO) electrode in order to increase the solar cell lifetime. The sealing strength of the laser-sealed $V_2O_5-TeO_2$-based glass frit is $20.5{\pm}1.7MPa$, which is higher than those of thermally sealed glass frit and other reported glass frit. Furthermore, the developed glass frit is chemically stable against electrolyte solutions. The glass frit constituents are not leached out from the glass after soaking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or up to three months. During the laser sealing, the glass frit does not react with the FTO electrode; thus, the resistivity of the FTO electrode beneath the laser-sealed area remains the same.

I-V 특성곡선을 통한 태양전지 패널의 모델 파라미터 추출 방법 (Analytical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PV panel Single-Diode model parameters from I-V Characteristic)

  • 최성원;류지형;이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847-851
    • /
    • 201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친환경성을 바탕으로 설치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효율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고 효율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태양전지 패널의 출력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태양전지 패널은 단일 다이오드 모델로 물리적 특성을 표현할 수 있으나, 정확한 파라미터를 얻는 것은 여러 단계의 측정과 수치해석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 제조사의 데이터 시트에 제공되는 태양전지 패널의 I-V 특성곡선을 기반으로 패널의 단일 다이오드 모델의 특성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방법의 검증을 위하여, Simulink의 Solar Cell 블록에 추출한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출력을 측정하고, 데이터 시트와 오차를 계산하였다.

도시 생활구조물 활용을 위한 CIGS 태양전지 심미성 향상 제품디자인 개발융합연구 (Convergence Research for CIGS Solar Cell Aesthetics Product Design Development for Utilizing Urban Living Structures)

  • 조재윤;장희수;정제윤;남원석;장중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57-163
    • /
    • 2020
  • 본 논문은 도시 생활구조물 활용을 위한 CIGS 태양전지 심미성 향상 제품디자인 개발융합연구로써, 기존 태양전지 패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품디자인의 심미성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FGD [전문가 집단 토론]를 통해 CIGS 태양전지 심미성 향상을 위한 전문적인 심미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심미성 요소 중 '환경 조화성', '패턴 균형성', '시대 보편성' 이렇게 상위 3종을 콘셉트로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심미성 향상을 위한 CIGS 태양전지 모듈 디자인과 어셈블리 디자인을 도출하였으며, 제품 시뮬레이션을 통해 아파트, 베란다와 창호, 스트릿퍼니처에 적용했다. 본 연구는 추후 실제 도시 생활구조물에 활용해 심미성과 CIGS태양전지의 기능을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향후 연구방향은 다양한 패턴과 구조적 디자인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나일론선 절단 방식에 기반한 Pin-puller형 큐브위성용 태양전지판 구속분리장치의 기능검증 (Functional Verification of Pin-puller-type Holding and Release Mechanism Based on Nylon Wire Cutting Release Method for CubeSat Applications)

  • 고지성;손민영;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1-88
    • /
    • 2021
  • 일반적으로 큐브위성용 전개형 태양전지판을 수납 및 전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속분리장치는 비폭발식 나일론선 절단방식이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방식은 태양전지판 수납 상태에서 큐브위성의 배터리 충전, PCB 및 탑재체의 전기적 점검 및 시험 등을 위한 접근 포트 연결 시 분리장치의 구속해제 및 재채결 작업이 반복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구속분리장치는 위성체 내부 접근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번거로움 및 일관된 나일론선 체결작업 공정 유지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 선 절단 없이 구속 핀 분리만으로 자유롭게 태양전지판 전개 및 수납이 가능한 Pin-puller형 태양전지판 구속분리장치를 제안하였으며, 기능 및 성능검증을 위한 분리장치의 전개시험 및 최대 분리하중 측정 시험을 통해 분리장치 설계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농촌 공간 환경영향요인 분석을 위한 무인항공기 적용 가능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홍성군 갈산면의 태양광 발전시설과 빈집을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UAV for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Rural Environment - Focusing on Photovoltaic Facilities and Vacant House in Galsan-Myeon, Hongseong-gun -)

  • 안필균;엄성준;김수연;김용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9-17
    • /
    • 2022
  • Rural spaces are increasingly valuable as areas for introducing renewable energy infrastructure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Rural areas are the living grounds of rural residents, and the balance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for rural areas is important for the introduction of reasonable facilities. In order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and to introduce reasonable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ent status survey and an effective survey method to utilize a space capable of introducing renewable energy facilities such as idle land and vacant hous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adability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tec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was effective in analyzing the location and area of photovoltaic panels located on the roofs of buildings, and it was possible to calculate the expected power generation by region through the area calculation of photovoltaic panels. The vacant house detection can be used to select an investigation target for an vacant house condition survey as it can identify damage to buildings that are expected to be empty houses, management status, and electricity supply facilities through aerial photos. It is judged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capability can be utilized as a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vestigation and supplement the data related to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vacant houses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Although this study detected the status of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vacant houses through high-resolution aerial image analysis, as a follow-up study, automatic measurement methods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that can be read from the air were investigated. If the deriving research is carried out,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result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range.

흡열 다공판을 이용한 공기식 태양열 집열 유닛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olar Air Collector with Perforated Endothermic Panels)

  • 김명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455-459
    • /
    • 2010
  • 에너지 위기에 대한 우려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방대한 에너지소비에 따른 환경오염도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적으로 에너지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에너지나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 건물의 난방에 태양열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태양열 흡열 다공판을 외벽에 설치하여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실험을 정리한 논문이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시공간적 잠재성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Assessment of Distributed and Dynamic Potential of Photovoltaic Systems in Urban Areas)

  • 최요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9.2-59.2
    • /
    • 2011
  • This study presents a new method for coupling ArcGIS (popular GIS software) with TRaNsient SYstems Simulation (TRNSYS, reference software for researchers and engineers around the world) to use capabilities of the 4 and 5-parameter PV array performance models within the ArcGIS environment. Using the validated and industry-proven solar energy simulation models implemented in TRNSYS and other built-in ArcGIS functionalities, dynamic characteristics of distributed PV potential in terms of hourly, daily or monthly power outputs can be investigated with considerations of diverse options in selecting and mounting PV panels.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allows users to complete entire procedures in a single framework (i.e., a preliminary site survey using 3D building models, shading analyses to investigate usable rooftop areas with considerations of different sizes and shapes of buildings, dynamic energy simulation to examine the performances of various PV systems, visualization of the simulation results to understand spatially and temporally distributed patterns of PV potential). Therefore tedious tasks for data conversion among multiple software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or eliminated. While the programming environment of TRNSYS is proprietary, the redistributable executable, simulation kernel and simulation engine of TRNSYS can be freely distributed to end-users. Therefore, GIS users who do not have a license of TRNSYS can also use the functionalities of solar energy simulation models within ArcGIS.

  • PDF

잠열저장재를 이용한 온돌판넬의 축열 및 방열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and emission of PCM in Ondol system)

  • 조수;유제인;정헌생
    • 태양에너지
    • /
    • 제10권2호
    • /
    • pp.38-43
    • /
    • 1990
  • 본 연구는 염화칼슘6수화물($CaCl_2{\cdot}6H_2O$)을 온돌판넬에 적용하여 가열시간에 따른 잠열재판넬의 축열 및 방열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같은 크기의 실험동($1.8m^L{\times}1.8m^W{\times}1.8m^H$)을 지었다. 잠열재판넬에 적용할 알루미늄 용기는 $1.6cm^T{\times}9cm^W{\times}80cm^H$ 크기로 제작하여 염화칼슘6수화물(1.25kg)을 충진시켰다. 잠열재인 염화칼슘6수화물을 넣은 온돌판넬은 실내공기온의 변화폭을 줄이고, 잠열재의 상변화과정에서 방열되는 시간은 축열에 필요한 가열시간의 $2{\sim}4$배 정도였다.

  • PDF

실제 날씨를 고려한 PV-MPPT 제어기의 최적 주기와 변량전압 (Optimum Control Period and Perturbation Voltage for PV-MPPT Controller Considering Real Wether Condition)

  • 류단비;김용중;김효성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5
    • /
    • 2020
  •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requir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control to operate PV panels at their maximum power point (MPP). Most conventional MPPT algorithms are based on the slope-tracking concept. A typical slope-tracking method is the perturb and observe (P&O) algorithm. The P&O algorithm measures the current and voltage of a PV panel to find the operating point of the voltage at which the calculated power is maximized. However,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sensor causes irregularity in the calculation of the generated power and voltage control. This irregularity leads to the problem of not finding the correct MPP operating point. In this work, the power output of a PV panel based on the P&O algorithm is simulated by considering the insolation profiles from typical clear and cloudy weather conditions and the errors of current and voltage sensors. Simulation analysis suggests the optimal control period and perturbation voltage of MPPT to maximize its target efficiency under real weather conditions with sensor tole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