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r drying syste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미네랄소금 제염장치 개발 (Development of for Mineral Salt Manufacturing System using Deep Sea Water)

  • 김현주;신필권;문덕수;정동호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83-189
    • /
    • 2004
  • Deep ocean water is located in the sea deeper than 200m. At such depth the solar light does not reach, photosynthesis is not performed and nutrition salt is not consumed. Therefore, campared with surface water, Deep Sea Water contains more nutrition salt,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 Moreover, it has the good balance of minerals. This Research is primary attempt for apply deep sea water to food industry. New type of mineral salt manufacturing system was developed and high levels of Ca, K, Mg detected from the salt analysis.

  • PDF

고품질 천일염 생산공정의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f High Quality Solar Salt Production System)

  • 한재웅;김훈;김웅;이효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28-133
    • /
    • 2020
  • 본 연구는 고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제조공정의 실증연구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전의 연구에서 구명한 제조공정 설계기준을 실제 천일염 제조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설계인자는 건조열풍온도와 세정수의 온도이었으며, 설계기준은 각각 100 ℃이하, 10 ℃이하이었다. 공정의 성능평가기준은 천일염의 국제 식품기준 (I)(염도 95 %이상, 수분 4 %이하)과 고품질 천일염제조를 위한 품질기준 (II)(염도 97 %이상, 수분 2 %이하)의 두 가지를 적용하였다. 주요 품질평가 항목은 수분, 염도이었으며, color 특성도 측정하였다. Color 특성은 L*, a*, b*값과 백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는 p<0.05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천일염의 제조공정은 총 5단계(원료, 건조 전, 건조 후, 냉각 후, 최종제품)로 구분되며, 각 공정별로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품질은 3단계 공정부터 국제품질기준 (I)을 만족하였다. 또한, 품질측정 결과는 4단계 공정부터는 고품질 천일염 제조기준 (II)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제시된 천일염 제조시스템의 성능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향후에 높은 수준의 제조기준을 적용한 고품질 천일염 제조기술을 통해서 국제 시장에서의 품질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산폐기물 적치사면의 불포화 특성변화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n the Monitoring System for Unsaturated Characteristics Variation in a Mine Waste-Dump Slope)

  • 송영석;정인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9-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부산 임기광산 광산폐기물 사면을 대상으로 강우 침투에 따른 지반내 불포화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불포화토 특성변화 측정유닛 및 시스템을 현장에 설치하였다. 불포화토 특성변화 측정시스템은 각종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자료를 저장, 관리 및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Data Acquisition System(DAS), Solar System 및 불포화토 특성변화 측정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에 설치된 각종 측정유닛으로부터 측정된 강우, 체적함수비, 모관흡수력 등의 자료를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를 살펴보면 강우시 체적함수비와 모관흡수력의 변화는 강우강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강우시와 건기시 지표면 부근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에서 측정된 모관흡수력은 5-35kPa, 체적함수비는 0.12-0.24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수위는 강우발생 직후 바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2-3일의 시간이 경과한 뒤 증가함을 알 수 있다.

In-bin 건조 및 저장체계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In-bin Drying and Storage System)

  • 고학균;정창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5권2호
    • /
    • pp.15-25
    • /
    • 1980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농촌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벼의 건조와 저장방법을 개선하기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Grain bin의 이용에 따른 기술적인 적용가능성을 구명하는데 있었으며 건조열원으로서는 상온공기와 Solar collector 에 의한 보충가열공기를 사용하였다. 건조시험에서는 벼의 건조속도, 층별함수율의 변화, 동력소모량, 도청수율 등을 측정 비교하였으며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저장시험도 아울러 실시하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시험에 사용된 Solar Collector 는 집열면적이 $27.7m^2M$의 Flat-plate 형식이며 내부에 태양열의 저장모체로서 약 $7m^2M$의 검은 돌을 사용하였다. Collector 의 효율은 35%이었으며 Collector를 통과하여 Bin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는 외기온에 비하여 주간에는 약 $4^\circ C$, 야간에는 약 $8^\circ C$, 정도 상승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상온공기와 Collector를 이용한 건조험결과 안전저장함수율에 도달하는 데 약 7일과 약 5일이 소요되었다. 3. 태양열 건조는 상온통풍건조에 비하여 곡물층간의 함수율차이가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건조속도가 빠를뿐만 아니라 동력소모량도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건조시험이 완료된 직후 이차에 걸쳐 Bin 내에서 저장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장기간중 벼의 안전보전이 가능했으며 평균함수율이 12.0~14.5%범위에서 유지되었다.

  • PDF

인쇄전자를 위한 롤투롤 그라비아 옵셋 인쇄 장비 (Roll-to-Roll Gravure Offset Printing System for Printed Electronics)

  • 김충환;최병오;류병순;임규진;이명훈;김동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A
    • /
    • pp.461-466
    • /
    • 2007
  • There has been a great interest in printing technology as a low cost and mass production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printed electronics such as printed TFT, solar cell, RFID Tag, printed battery, and so on. In this study, apparatuses of gravure-offset printing are developed for fine line-width/gap printing and examining pattern distortion occurred in gravure-offset printing process. The fine line-width/gap pattern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round 20 micro-meter line-width/gap printing patterns. Pattern distortion is modeled, and the amount and shape of the distortion are calculated by using commercial FEM code. The roll-to-roll printing system under development consists of unwinder/rewinder, two printing units, one coating unit, drying units, guiding unit, vision system, and other auxiliary devices. For multi-layer printing, the system is designed to be capable of printing two different materials.

  • PDF

고품질 천일염 생산을 위한 세정 조건 연구 (Study of the Washing Condition for High Quality of Solar Salt)

  • 한재웅;김훈;이효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298-303
    • /
    • 2020
  • 본 연구는 고품질의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세정조건을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세정시 수율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세정수의 염도는 5 %로 설정하였고, 온도조건은 5, 10, 17.5, 20 ℃로 총 4가지 수준이었다. 세정 실험 후 수분, 염도, 불용분, 사분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Color 특성으로는 L*[lightness], a*[redness], b*[yellowness]값을 측정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율을 측정하였다. 세정 후 천일염의 수분은 세정수의 온도가 10 ℃이상의 범위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도와 수율은 세정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불용분의 함량은 세정수의 온도가 낮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분의 함량은 세정수의 온도가 5 ℃인 경우 0.67 %이었고, 더 높은 온도에서는 0.57 %로 감소하였다. 색도중 b*값의 경우에는 세정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표면품질 저하의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품질 저하와 수율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세정수의 온도는 10 ℃이상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세정 후 건조조건 구명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의 고품질 생산 공정의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정 부하를 갖는 PEM 연료전지 발전기에 있어서의 수분 평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 Balance in Stationary Load Proton Exchange Membrane(PEM) Fuel Cell Power Generator)

  • 아궁 박타아르;오후규;윤정인;김영복;최광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128-135
    • /
    • 2011
  • 일반적으로 PEM 연료전지에서는 수분 균형이 시스템의 효율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균형(balance)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촉매 층에서 물이 넘치는 익수현상(flooding)이나 건조현상(drying)이 발생하게 되면 연료전지의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하므로, 항상 수분의 균형이 잡히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수분의 익수현상이나 건조현상은 PEM 연료전지의 용량과 주위의 환경, 즉 온도와 습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금번 논문에서는 가정용 규모인 3kW급에서 10kW급까지의 PEM 연료전지를 설치하였을 때, 주위의 환경(온도와 습도)이 수분 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시간에 따라서 시뮬레이션(simulation)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결과에서 유입공기의 온도가 $50^{\circ}C$ 이하일 경우, 고정부하가 5kW급 이하이면 대부분이 건조현상이 발생하였으나, 고정부하가 6kW급 이상이 되면 익수현상이 운전시간이 20분 이내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고정부하를 최고 10kW급까지 올린 경우, 유입공기의 온도가 $50^{\circ}C$까지는 익수현상이 발생하였으나 $60^{\circ}C$ 이상인 경우에는 거의 건조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직접 용액 코팅법에 의해 제조한 CuInSe2 에 잔존하는 탄소 불순물층 형성에 관한 연구 (On Formation of Residual Carbon Layer in CuInSe2 Thin Films Formed via direct Solution Coating Process)

  • 안세진;;어영주;곽지혜;윤경훈;조아라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6-39
    • /
    • 2014
  • Formation mechanism of residual carbon layer, frequently observed in the $CuInSe_2$ (CIS) thin film prepared by direct solution coating routes,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a way to eliminate it. As a model system, a methanol solution with dissolved Cu and In salts, whose viscosity was adjusted by adding ethylcellulose (EC), was chosen. It was found that a double layer, a top metal ion-derived film and bottom EC-derived layer, formed during an air drying step presumably due to different solubility between metal salts and EC in methanol. Consequently, the top metal ion-derived film acts as a barrier layer inhibiting further thermal decomposition of underlying EC, resulting a formation of bottom carbon residue layer.

유해성분이 없는 고품질 소금의 새로운 제조공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manufacturing processes of high quality salt without hazardous ingredients)

  • 김경근;문수범;소예덕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6호
    • /
    • pp.458-467
    • /
    • 2016
  • 소금은 인간의 생리활동에서 매우 중요한 물질로서 섭취한 영양소를 혈액 안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소금에는 카드늄, 수은, 납, 비소와 같은 유해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소금은 모든 물질이 용존 되어 있는 해수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기술적 한계로 불가불 미량의 유해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법적으로 용인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해수의 농도증가에 따른 순차석출 현상을 응용하여 '$15^{\circ}C$ 저온진공건조기술'로 유해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는 식탁염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전통적인 천일염의 제조공정에 확장 적용하면 세계적 명품 소금의 제조도 가능하다.

설비공학 분야의 최근 연구 동향: 2014년 학회지 논문에 대한 종합적 고찰 (Recent Progress in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Research: A Review of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in 2014)

  • 이대영;김사량;김현정;김동선;박준석;임병찬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7호
    • /
    • pp.380-394
    • /
    • 2015
  • This article review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during 2014.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status of current research in the area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on, sanitation, and indoor environments of buildings and plant facilities.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research works on the thermal and fluid engineering have been reviewed as groups of heat and mass transfer, cooling and heating, and air-conditioning, the flow inside building rooms, and smoke control on fire. Research issues dealing with duct and pipe were reduced, but flows inside building rooms, and smoke controls were newly added in thermal and fluid engineering research area. (2) Research works on heat transfer area have been reviewed in the categories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pool boiling and condensing heat transfer and industrial heat exchangers. Researches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results for thermal contact resistance measurement of metal interface, a fan coil with an oval-type heat exchanger, fouling characteristics of plate heat exchangers, effect of rib pitch in a two wall divergent channel, semi-empirical analysis in vertical mesoscale tubes, an integrated drying machine, microscale surface wrinkles, brazed plate heat exchangers, numerical analysis in printed circuit heat exchanger. In the area of pool boiling and condensing, non-uniform air flow, PCM applied thermal storage wall system, a new wavy cylindrical shape capsule, and HFC32/HFC152a mixtures on enhanced tubes, were actively studied. In the area of industrial heat exchangers, researches on solar water storage tank, effective design on the inserting part of refrigerator door gasket, impact of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in generating g-function, various construction of SCW type ground heat exchanger and a heat pump for closed cooling water heat recovery were performed. (3) In the field of refrigeration, various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he categories of refrigeration cycle, alternative refrigeration and modelling and controls including energy recoveries from industrial boilers and vehicles, improvement of dehumidification systems, novel defrost systems, fault diagnosis and optimum controls for heat pump systems. It is particularly notable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studies were dedicated for the development of air-conditioning and power recovery systems for electric vehicles in this year. (4) In building mechanical system research fields, seventeen studies were reported for achieving effective design of the mechanical systems, and also for maximizing the energy efficiency of buildings. The topics of the studies included energy performance, HVAC system, ventilation, and renewable energies, piping in the buildings. Proposed designs, performance performance tests using numerical methods and experimen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nd key data which ca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uildings. (5) The field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was mostly focused on indoor environment and building energy. The main researches of indoor environment were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work noise in tunnel construction and the simulation and development of a light-shelf system. The subjects of building energy were worked on the energy saving of office building applied with window blind and phase change material(PCM), a method of existing building energy simulation using energy audit data, the estimation of thermal consumption unit of apartment building and its case studies, dynamic window performance, a writing method of energy consumption report and energy estimation of apartment building using district heating system. The remained studies wer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for plant engineering industry, estimating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s for variable base temperature, a prediction method of underground temperature, the comfort control algorithm of car air conditioner, the smoke control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rise building, evaluation of thermal energy systems of bio safety laboratory and a development of measuring device of solar heat gain coefficient of fenestr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