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test

검색결과 4,679건 처리시간 0.031초

삼축압축 시험기를 이용한 말뚝 지지 전면 기초 거동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 of Piled Raft Foundation Using Triaxial Compression Apparatus)

  • 이영생;홍승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387-395
    • /
    • 2003
  • 사질토 지반에서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형시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모형시험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구속응력 재하를 위하여 삼축압축 시험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 적용함으로써 구속 응력 작용 상태에서 말뚝지지 전면기초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직경 6mm의 강봉과 두께 8mm(직경 50mm)의 알루미늄 판으로 말뚝과 전면기초 모형을 각각 제작하여 모형시험에 이용하였다. 시료의 균질성 확보를 위하여 주문진 표준사를 사용하였으며, 삼축압축 시험기 내에 말뚝지지 전면기초 모형을 설치한 공시체를 거치한 후 구속응력을 재하 하고 압축 하중을 가하였다. 이와 같은 시험 방법으로 구속응력의 변화, 말뚝 개수의 변화, 말뚝 길이 변화에 따라 지지력 증감 비율, 하중 분담률 및 침하 저감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속압에 따른 말뚝 지지력과 주면마찰 저항력을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전면기초에 마찰 말뚝을 설치하였을 때 지지력 증가와 침하 저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말뚝 길이 증가에 비하여 말뚝 개수 증가 시 지지력 증대 효과와 침하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이러한 소규모 삼축압축 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구속응력 하에서의 말뚝 하중 전이 현상 등에 대한 연구도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시설재배 참외 수확 로봇 개발 (Development of Oriental Melon Harvesting Robot in Greenhouse Cultivation)

  • 하유신;김태욱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30
    • /
    • 2014
  • 참외 재배환경은 토양 위의 수평바닥에서 재배된 것을 수확하여야 하며, 참외가 잎으로 덮여져 있어 인식이 어렵고, 덩굴성 줄기로 인해 참외를 그립하기에도 매우 불리하다. 이러한 재배환경에 적합하도록 엔드이펙트, 머니퓰레이터, 인식장치 등의 참외 수확 로봇을 개발하였고 이를 시험하였다. 엔드이펙터는 수확물을 잡기 위한 그립퍼와 줄기를 절단하는 커터로 구분되며, 그립퍼는 4개의 핑거가 동시에 구동하고, 커터는 2개로 전후진 동작이 되도록 설계하여 파지력과 절단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머니퓰레이터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을 하는 L-R형 모델에 직교 좌표형과 셔틀형 머니퓰레이터를 조합한 4축 매니플레이트 구조로 설계하였다. 인식장치는 1차 인식장치인 GVC와 2차 인식장치인 LVC를 이용하여 참외를 식별하고 그 중에서 당도나 숙도를 예측하여 선별하였다. 이 장치를 이용하여 로봇의 성능시험을 한 결과 수확시간은 평균 18.2sec/ea, 픽업율은 평균 91.4%, 손상율은 평균 8.2%, 선별율은 평균 72.6%로 나타났다.

한국산 Agrobacterium plasmid의 유전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lasmids of Agrobacterium Species Isolated in Korea)

  • 김정희;구용범;이기영;정재규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권1호
    • /
    • pp.41-48
    • /
    • 1984
  • 한국형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분리 및 tumor inducing ($T_1$) plasmid의 유전적 특성을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grobacterium군은 사과나무($A_1-A_3$), 미류나무($W_1{\sim}W_6$), 은사씨나무($P_1-P_3$) 및 장미($R_1$)의 crown gall tumor에서 도합 13종을 분리하였으며 각 군의 plasmid를 관찰한 결과 ATCC 15955보다 $P_1$$A_2$가 크기가 컸으며 $W_2$, $W_3$, $W_6$$P_3$는 작았으며 각균의 tumor 유도는 해바라기에 ATCC 15955와 Korean type $W_2$ ($KW_2$)을 접종한 것에서만 각각 접종 4주 및 6주만에 crown gall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두균종의 $T_1$ plasmid($pT_1$)를 정제하여 몇종의 게한효소를 처리 하였으며 $pT_i$ ATCC 15955와 $pT_1KW_2$는 EcoR I 처리로 25개 및 27개의 band를, Hind III로 23개와 21개, BamH I으로 각각 20개 및 Hpa I으로 12개 및 27개의 band를 관찰하였으며 크기는 $pT_i$ ATCC 15955가 200 kbases(kb)로 $pT_1KW_2$가 87 kb로 관찰 되었다. 아울러 cctopine은 $W_1-W_6$$P_1-P_3$균에 의한 tumor조직에서 관찰 되었고 이들균을 octopine type균으로 사료 되었다.

  • PDF

풍암분지 시험시추공 주변에서의 지표 및 시추공 초동주시 동시역산 (Simultaneous traveltime inversion of surface and borehole seismic data in Pungam basin)

  • 김기영;홍명호
    • 지구물리
    • /
    • 제9권1호
    • /
    • pp.37-45
    • /
    • 2006
  • 풍암분지 내에 위치한 140 m 깊이 시험시추공 주변에서 지표 굴절법 및 원거리 수직탄성파 자료의 초동주시를 토모그래피방식으로 동시에 역산하여 시추공 주변의 속도구조를 구하였다 . 지진총으로 발생시킨 지진파는 시추공을 중심으로 N20°E 방향과 이에 수직인 측선을 따라 3 m 간격의 42개 지표 측점과 공내 71 m 깊이에서 수신하였다 . 는 시추공으로부터의 수평거리 -19.5∼+19.5 m인 지표 측점에서 5 kg 해머로 발생시켰으며 , 1∼2 m 간격의 깊이 9∼99 m 구간에서 3성분으로 204 ms 동안 기록하였다 . 지연시간 보정 후 , 이 자료를 지진총으로 기록한 지표 기록자료 초동주시와 동시에 SIRT 방식으로 역산하여 속도 토모그램을 작성하였다 . 속도 토모그램은 평균 1.5 m 두께의 속도 500 m/s 표토층이 속도 3,067∼5,717 m/s의 속도를 갖는 기반암 위에 분포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기반암 내부에는 깊이 30∼44 m 구간과 71 m 하부에 속도가 5,130 m/s 이상 되는 매우 단단한 암층이 존재하며 , 이는 코아분석 자료와 비교할 때 사암 및 이암층에 협재하는 역암층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 시추공 주변 조사범위 내에서 대규모 파쇄대나 단층 존재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 .

  • PDF

풍암분지 시험시추공 주변에서의 지표 및 시추공 초동주시 토모그래피 동시역산 (Simultaneous tomographic inversion of surface and borehole seismic traveltime data in the Pungam basin)

  • 홍명호;김기영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30
    • /
    • 2006
  • 풍암분지 내에 위치한 시험시추공을 중심으로 서로 직각인 2개 측선을 따라 획득한 지표 굴절법 및 원거리 수직탄성파 자료의 초동을 토모그래피 방식으로 동시에 역산하였다. 지표 탄성파자료는 48개 타격점에서 5kg 해머로 발생시킨 지진파를 3 m 간격 21개 지표지오폰과 1개 3성분 공내지오폰으로, 수직탄성파 자료는 수평거리 $-19.5{\sim}+19.5\;m$ 범위에서 해머로 발생한 지진파를 공내 $9{\sim}99\;m$ 깊이구간에서 3성분으로 각각 기록하였다. 지진파총 자료를 이용하여 지표 굴절파자료의 지연시간을 보정한 후, 지표 및 시추공 초동자료를 동시에 역산하고 속도 토모그램을 작성하였다. 속도 토모그램은 시추공 위치에서 속도 750 m/s 이하의 표토층이 1.8 m 두께로 분포하며, 신선한 암석층이 깊이 12 m 정도부터 존재함을 보인다. 깊이 $31{\sim}40\;m$ 구간에서 5353m/s의 암석층 속도는 깊이 $65{\sim}73\;m$ 구간에서 4262 m/s로 변한다. 시추코아 자료와 비교할 때, 이러한 큰 속도변화는 암종 및 파쇄의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CsRCI2D and CsRCI2H for improvement of abiotic stress tolerance in Camelina sativa L.

  • Lim, Hyun-Gyu;Kim, Hyun-Sung;Kim, Jung-Eun;Ahn, Sung-Ju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96-196
    • /
    • 2017
  • Oilseed crop Camelina (Camelina sativa L.) is a suitable for biodiesel production that has high adaptability under low-nutrient condition like marginal land and requires low-input cost for cultivation. Enhanced abiotic stress tolerance of Camelina is very important for oil production under the wide range of different climate. CsRCI2s (Rare Cold Inducible 2) are related proteins in various abiotic stresses that predicted to localized at plasma membrane (PM) and endoplasmic reticulum (ER). These proteins are consist of eight-family that can be divided into tail (CsRCI2D/E/F/G) and no-tail (CsRCI2A/B/E/H) type of C-terminal. However, it is still less understood the function of C-terminal tail. In this study, CsRCI2D/H genes were cloned through gateway cloning system that used pCB302-3 as destination vector. And we used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for generation of overexpression (OX) transformants. Overexpression of target gene was confirmed using RT-PCR and segregation ratio on selection media. We analyzed physiological response in media and soil under abiotic stresses using CsRCI2D and CsRCI2H overexpression plant. To compare abiotic stresses tolerance, wild type and CsRCI2D/H OX line seeds were sown on agar plate treated with various NaCl and mannitol concentration for 7 days. In the test of growth rate under abiotic stress on media, CsRCI2H OX line showed similar to NaCl and mannitol stress. In the other hand, CsRCI2D OX line showed to be improved stress tolerance that especially increased in 200mM NaCl but was similar on mannitol media. In greenhouse, WT and CsRCI2D/H OX lines for physiological analysis and productivity under abiotic stresses were treated 100, 150, 200mM NaCl. Then it was measured various parameters such as leaf width and length, plant height, total seed weight, flower number, seed number. CsRCI2H OX line in greenhouse did not show any changes in physiological parameters but CsRCI2D OX line was improved both physiological response and productivity under NaCl stress. Amo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CsRCI2D OX line under NaCl stress, leaf length and width were observed shorter than WT but it were slightly longer than WT in 200mM NaCl stress. Furthermore, total seed weight of CsRCI2D OX line under stress displayed to decrease than WT in normal condition, but it was gradually raised with increasing NaCl stress then more than WT rela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CsRCI2D might be contribute to improve abiotic stress tolerance. However, function of CsRCI2H is need to more detail study. In conclusion, overexpression of CsRCI2s family can generate various environmental stress tolerance plant and may improve crop productivity for bio-energy production.

  • PDF

Effect of different plant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sorghum(Sorghum bicolor L. Moench.)

  • Cho, Young Dae;Jung, Ki Yuol;Chun, Hyun Chung;Lee, Sang Hun;Kang, Hang 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06-206
    • /
    • 2017
  • Sorghum is a crop with a various plant height depending on the planting density. If the height exceeds 1.8m, which is the harvestable height of the combine, loss is caused by clogging of the installation, entrance of the threshing section and the threshing s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planting distance and number of plants per hill suitable for combine harvesting as the plant length does not exceed 1.8m. The experimental variety was Nampungchal.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 Main-plot were 1 and 2 plants as number of plants per hill and sub-plots were $60{\times}20cm$ (practice), $70{\times}15$, 20, 25, 30 cm as planting distance. The amount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ation were 100, 70, $80kg\;ha^{-1}$. Data were collected: (1) grain yield: weight of grain in $kg\;ha^{-1}$, (2) 1000 grain weight: average weight of 1000 grain, (3) plant height: distance from soil to top of panicle, (4) ear length: distance from top of stem to top of ear in cm, (5) stem diameter: diameter of second internode, (6) tiller number per hill. Analyses of variance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3.1(https://www. r- project. org).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 was used to separate treatment means at P < 0.05. As number of plants per hill increased, plant height and yield increased and tiller number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increased, plant height and yield decreased and tiller number increased. At 1 plant per hill, the plant height did not exceed 1.8m at all planting distance. At 2 plants per hill, the plant height did not exceed 1.8m from the planting distance of $70{\times}25cm$. At 1 plant per hill, the tiller number increased to 0.23, 0.27, 0.60 and 0.70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to $70{\times}15$, 20, 25 and 30 cm, respectively. At 2 plants per hill, the tiller number increased to 0.03, 0.03, 0.14 and 0.40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to $70{\times}15$, 20, 25 and 30 cm, respectively. At 1 plant per hill, the yield decreased to 6030, 4280, 3400 and $3230kg\;ha^{-1}$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At 2 plant per hill, the yield decreased to 7850, 5770, 5720 and $4960kg\;ha^{-1}$ as the planting distance increased. We recommend that the optimum number of plants per hill and planting distance is 2 and $70{\times}25cm$ suitable for combine harvesting.

  • PDF

Effect of prohexadium-calcium on growth, lodging and yield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Choi, Young Dae;Jung, Ki Yuol;Chun, Hyun Chung;Lee, Sang Hun;Kang, Hang 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07-207
    • /
    • 2017
  • The proso millet is vulnerable to lodging due to high plant height and shallow root. A lodging results in a hard mechanical harvesting and yield loss. One of solutions on this problem is inhibition of internode elong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use time and dose of prohexadium-calcium, is growth inhibitor. The experimental variety was Ibaekchal.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 Main-plots were 25 and 35 day after sowing(DAS) as use time and sub-plots were 0%, 50%, 100%(diluted solution of 1000 times, $1000{\ell}\;ha^{-1}$), 150% as dose. The amount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ation were 90, 70, $80kg\;ha^{-1}$, respectively. The size of high ridge and plant spacing were $90{\times}30cm$ and $60{\times}15cm$, respectively. Proso millet was sown on June 9, 2016 by hands and was adjusted at 2 plant per hill. The growth survey of vegetative growth stage was conducted at 1 day before treatment and with one week interval after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1) grain yield: weight of grain in $kg\;ha^{-1}$, (2) 1000 grain weight: average weight of 1000 grain, (3) plant height: distance from soil to top of panicle or leaf in cm, (4) ear length: distance from top of stem to top of ear in cm, (5) stem diameter: diameter of second internode (6) degree of lodging: percentage of lodging area, etc. Analyses of variance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3.1(https://www. r- project. org).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 was used to separate treatment means at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and number of stem among the use time and dose of prohexadium-calcium during vegetative growth stage. At 25 DAS, the difference with no treatment increased until 25 day after treatment and decreased since then. The difference in number of stem increased until 18 day and decreased since 25 day. At 35 DAS, the difference with no treatment in plant height and number of stem increased until 22 day after treatment and decreased since then. We assumed that the effect of prohexadium-calcium was inhibition of internode elongation and promotion of tillering, continued untel 25day after treatment. At 25 DAS, the degree of lodging deceased to 100%, 30%, 10% and 0% as dose increased. At 35 DAS, the degree of lodging decreased to 100%, 20%, 0% and 0% as dose increased. At 25 DAS, the yield was 2910, 2710, 3190, $2310kg\;ha^{-1}$ among dose. At 35 DAS, the yield was 2750, 2630, 2220, $2050kg\;ha^{-1}$. We recommend that the optimum use time and dose of prohexadium-calcium for proso millet is 1000 times diluted solution of $1000{\ell}$ per ha at 25 day after sowing.

  • PDF

친환경 생분해성 PLA/PBAT/HCO 블랜드 필름 제조 및 물리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Eco-Friendly Biodegradable PLA/PBAT/HCO Blended Films)

  • 이승민;김한성;윤연흠;형태경;윤순도
    • 공업화학
    • /
    • 제31권4호
    • /
    • pp.416-4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tic acid) (PLA),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와 첨가제로 hydrogenated castor oil (HCO) powder를 이용하여 친환경 생분해성 소재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PLA/PBAT/HCO 블렌드 필름의 특성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와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EM 분석 결과 HCO가 첨가된 PLA/PBAT (8 : 2) 블렌드 필름은 12-hydroxy stearic acid (12HSA)와 cellulose가 첨가된 필름과 비교했을 때, 안정적인 표면을 나타내었다. FT-IR 결과는 PLA/PBAT 블렌드 필름에서 HCO의 특성 피크의 나타냈으며, HCO 함량이 0에서 0.2 wt%까지 증가함에 따라 intensity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조한 PLA/PBAT/HCO 블렌드 필름의 물리적 특성, 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HCO 첨가에 의해 물리적 특성과 열 안정성이 3배 이상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생분해성 소재의 토양에서 생분해 정도는 90 days 동안 6~20%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벼 도열병 Epidemics에 미치는 재배 포장 실황기상 요인 (Real-Time Micro-Weather Factors of Growing Field to the Epidemics of Rice Blast)

  • 권재은;이순구
    • 식물병연구
    • /
    • 제8권4호
    • /
    • pp.199-206
    • /
    • 2002
  • 벼 도열병 발병 모의 실황 포장을 발병 상습지(안동대 실험포장; 산간 협곡 위치한 천수답)에 설정하여 벼 식물생육군락(일품벼 공시)의 실황 기상자료를 무인기상관측 장치를 통해 수집, 가공하여 도열병 발병에 미치는 기상요인의 가변값을 추정, 분석하였다. 기상요소 측정은 시험포장에 무인기상관측장치를 설치하여 매시단위로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 강우량, 풍향, 풍속, 지온, 잎습전지속 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각 기상요인중 도열병 발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것은 발병 전 10일간 평균최고기온으로 결정계수 0.95*을 나타냈으며, 도열병 발병에 영향을 가장 미치지 않은 요인은 풍속으로 결정계수 0.24$^{ns}$ 로 나타났다. 도열병 발병과 병 진전에 가장 높은 유의성을 보인 기상요인은 평균온도(T-ave), 최고온도(T-max), 상대습도(RH), 상대습도 90%이상인 누적시간(RD) 등이었으며, 이들을 이용한 통계적 모형은 아래와 같다. Y = -3410.91 - 23.91 $\times$ T-ave + 28.56 $\times$ T-max + 41.0 $\times$ RH - 3.75 $\times$ RD, ($R^2$= 0.99*), (T-ave >= 19$^{\circ}C$ and T-max - T-ave >= 5.2$^{\circ}C$ and RH% >= 90.4%. 발병모형과 발병심각도의 적합도 검정($\chi$$^2$)은 유의도 0.001로 발병모형이 실제 발병 심각도와 유사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