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test

검색결과 4,678건 처리시간 0.035초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의 생물학적 특성 및 약제 살충 효과 (Biological Characteristic of Obolodiplosis robiniae and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 박지두;신상철;김철수;전문장;박일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27-333
    • /
    • 2009
  • 아까시잎혹파리의 형태, 생태적 특성 및 몇 가지 살충제의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알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연한 노란색을 띄다가 부화할 시기가 가까울수록 붉은색이 되며, 장경은 0.4 mm, 단경은 0.1 mm 이었다 유충은 유백색을 띠고, 평균 크기는 2.6 mm 이었다. 번데기는 붉은 기운을 띈 갈색이며 체장은 3.2 mm 내외이었다. 성충의 날개는 검고 배 부분은 붉은색을 띠었다. 암컷의 체장은 3.3 mm 내외로 수컷보다 컸다. 1화기 성충은 땅속에서 우화하여 아까시 나무 어린 잎에 산란을 하고, 2화기 성충부터는 아까시 나무 잎의 벌레 혹에서 바로 우화한다. 암컷 성충의 포란수는 $192.3{\pm}50.7$개 이었다. 1화기는 4월말부터 5월말, 2화기는 5월 말부터 6월 말까지로 약 1개월간 이었고 최성기는 6월 상순이었다. 3화기는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였다. 알기생봉인 Platygaster robiniae가 동정되었으며, 기생율은 51.6%에 이르렀다.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침투이행성 약제인 이미다클로로프리드 10% 수화제와 치아클로프리드 10% 액상수화제가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치아클로프리드는 꿀벌에 대한 독성이 낮아 유효한 약제로 판단되었다.

동적 원심모형실험을 이용한 등가전단보 토조의 성능 검증 (Validation of Equivalent Shear Beam Container Using Dynamic Centrifuge Tests)

  • 김윤아;이해인;고길완;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61-70
    • /
    • 2020
  • 동적 원심모형실험에서 사용되는 등가전단보(Equivalent Shear Beam, ESB) 토조는 모형지반과 토조 사이 발생할 수 있는 경계효과를 최소화함으로써 지진 시 실제 지반의 운동을 효과적으로 모사할 수 있다. KAIST에서 사용하는 등가전단보 토조는 성능이 검증된 바 있다(Lee 등, 2013). 그러나 토조의 노후화로 고유주기 및 동적 특성의 재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적 원심모형실험을 통해 등가전단보 토조의 동적 특성을 재평가하였다. 등가전단보 토조 자체의 고유주기를 산정하여 Lee 등(2013)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모래가 채워진 등가전단보 토조의 경계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등가전단보 토조는 토조 자체의 강성 증가로 인해 토조 자체의 고유주기가 감소하였으나, 모래가 채워진 등가전단보 토조 벽체의 지진 시 시간 이력과 주파수 특성은 지반의 거동과 유사하였다. 또한, 등가전단보 토조에 조성한 모형지반과 수치해석을 통해 도출한 지반의 동적 응답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등가전단보 토조 자체의 고유주기 감소로 인한 지진 시 지반과 토조의 경계효과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산정을 위한 누적 반발각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 Cumulative Rebound Angle for the Assessment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struction Materials Nondestructively)

  • 손무락;장병식;김무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9-45
    • /
    • 2017
  • 본 논문은 건설재료의 비파괴 압축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재료타격 시 반발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반발각을 모두 측정하고 이를 누적한 누적 반발각의 적용성에 관해 파악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서 타격장치를 고안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건설재료를 회전 자유낙하에 의해 초기 타격토록 하고 이 후 반발작용에 의한 반복타격이 소멸될 때까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일시멘트, 시멘트페이스트, 목재(소나무), 셰일암석 및 화강암암석의 5가지 건설재료를 대상으로 반발각실험을 실시하고 최대 반발각 및 누적 반발각을 초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재료별 측정된 최대 및 누적 반발각은 직접압축강도시험을 통한 재료별 압축강도와 상호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시멘트에 바탕을 둔 건설재료나 암석과 같은 재료에 있어서는 최대 반발각보다는 에너지 감쇄특성이 반영된 누적 반발각이 재료별 특성을 보다 뚜렷하게 나타내어 압축강도산정을 위한 보다 적절한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재와 같이 인성이 큰 건설재료에 대해선 반발정도가 압축강도를 산정하는 인자가 아니라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임하댐의 위생학적 수질조사 연구 (Study on the Hygenic Water Quality in Imha Dam)

  • 이희무
    • 환경위생공학
    • /
    • 제10권1호
    • /
    • pp.25-34
    • /
    • 1995
  • A Study on environmental Investigation in Imha Dam for the finding the degree of water quality and heavy metals was carried out at 4 sampling station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5, 1993 to May 7, 199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nges of values of pH for water were st. 1-7.56, st.2-7.77, st.3-7.9, st.4-7,7 on the average. Total average of pH values were 7.56-7.9 2. The ranges of values of DO for water were st.1-8.71($mg/{\ell}$), st.2-8.64($mg/{\ell}$), st.3-10. 25($mg/{\ell}$), st.4-9.01($mg/{\ell}$) on the average. Total average of DO of values were 8.64-10.25($mg/{\ell}$). 3. The ranges of values of BOD for water were st.1-1.1($mg/{\ell}$), st.2-1.0($mg/{\ell}$), st.3-0 86($mg/{\ell}$), st.4-0.99($mg/{\ell}$) on the average. Total average of BOD of values were 0.86-1.1($mg/{\ell}$). 4. The ranges of values of COD for water were st.1-1.12($mg/{\ell}$), st.2-1.4($mg/{\ell}$), st.3-0 98($mg/{\ell}$), st.4-1.46($mg/{\ell}$) on the average. Total average of COD of values were 0.98-1.46($mg/{\ell}$). 5, The ranges of values of T- N for water were st.1-0.36($mg/{\ell}$), st.2-0.49($mg/{\ell}$), st.3-0 23($mg/{\ell}$), st.4-0.83($mg/{\ell}$) on the average. Total average of T-N of values were 0.23-0.83($mg/{\ell}$). 6. The ranges of values of T-P for water were st.1-0.053($mg/{\ell}$), st.2-0.06($mg/{\ell}$), st.3-0.02($mg/{\ell}$), st.4-0.07($mg/{\ell}$) on the average. Total average of T-P of values were 0.02-0.07($mg/{\ell}$). 7. In the E. soli group distribution were counted st.1-1130, st.2-1113, st.3-152.3, st.4-1253 by the MPN test. Total distribution of E. soil group were 152.3-1253. 8.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of Cu, Mn, Pb, Zn were measured st.1-0.59, 0.18, 0 04, 74.6( ${\mu}g/{\ell}$), st.2-0.39,0.29,0.03, 54.3(${\mu}g/{\ell}$), st.3-0.1,0.3, ND, 8(${\mu}g/{\ell}$), st.4-0.96, 0 26,0.23,45.6(${\mu}g/{\ell}$) on the average. Cd, Hg, Cr were not detected in the sampling site.

  • PDF

무병종서 생산을 위한 감자X바이러스 및 엽권바이러스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tato Virus X and Potato Leaf Roll Virus for Disease-free Seed Potato Production)

  • 최정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63
    • /
    • 1969
  • A series of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on the production of disease-free seed potatoes at the Alpine Experiment Station from 1960 to 1968, which initiated a study of comparison on degeneration of plain warm region and high altitude products and the effect of latent potato virus X (PVX) and potato leaf roll virus(PLRV) on degeneration. Particular observations were made on some aspect of the nature of potato virus disease and its control such as concentrations of PVX, range of host plant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ncentrations of PYX, range of host plants, physical properties and carrying effect of insects, by investigating 9 different areas of the main potato producing regions (Kimhae, Taegu, Choongju, Taejoen, Suwon, Kwangju, Chonju, Cheju and Chinju). Highly purified anti-serum was separated and tested for control of the virus disease and also various method of prevention and control of PLRV were observed, using cultivation of sprouted seed tubers, early harvesting method, and systemic chemical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otato yield in the plain region decreased by 32.8~66.3% in the first year cultivation of seed potatoes from colder region, and the rate of virus infection was 92.9 to 95.4%. 2. Plants of three families including, 20 species were susceptible to the PVX, and among the plants Salvia officinalis of a habits only was the carrier while the symptom of Digitalis purpurea of Screphulariaceae was masked. Necrosis and ring spot was occurred in most pJants of the Solanaceae and ring spot symptom also was observed in Nicotiana tabacum L. var. White Burley and in N. glutinosa. 3. The 8$C_2$ strain of virus had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thermal inactivation point, 68-$72^{\circ}C$ : dilution inactivation point, above 1, 000, 000 dilution: ageing in vitro, 240-360 days: and ageing in dry plant tissue, 30 days. 4. Myzus persicae and Oxya spp. did not transmit the 8$C_2$ strain of potato virus. 5. Virus was purified through the ammonium sulphate isolating method, and higher titer value, 1/2048 was obtained through anti-serum test. 6. Inhibition Chenopodiacae on the virus infection of potato was remarkable, and inhibition of local lesion host also was observed. 7, By earlier planting of sprouted seed tubers, growth period could be prolonged by 10 to 12 days. 8. Earlier harvest decreased much the rate of virus infection of seed potatoes. 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phid control trial using systemic soil insecticides at Kangnung and Taekwanlyung, PSP 204, Disyston and Thimet was effective to aphid control. In particular, control effect of twice treatments of PSP 204 was great. 10. Treatmental effect of those chemicals lasted about 60-70 days. However, single foliar application of emulsified chemicals was not effective to potato virus control. 11. The effect of PSP 204, Disyston, and Thimet on the control of potato leaf roll virus was grea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wo treatments of PSP 204, at Kangnung as well as at Taekwanlyung. Higher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effect of potato leaf roll virus and potato yield was observed showing the value r=-0.85 at Kangnung, and r=-0.87 at Taekwanlyung. 12. Differences in the control effects among PSP 204, Disyston, and Thimet was not noticed.

  • PDF

Sulfonylurea계 제초제 저항성 물옥잠의 조기진단과 방제 (Rapid diagnosis and control of sulfonylurea resistant Monochoria korsakowii)

  • 박태선;문병철;조정래;김창석;김무성;김길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3-70
    • /
    • 2004
  • Sulfonylurea(SU)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물옥잠이 최근 한국에서 발생되고 있는데, 저항성 물옥잠 을 시기적절하게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신속 정확하고 실용적인 조기진단법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제초제 저항성 검증은 종자를 파종하여 어린식물에 제초제를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비실용적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표로부터 $1\sim2cm$에서 식물체를 절단한 다음 제초제를 처리하여 식물체의 생존율과 재생된 초장에 의하여 저항성을 검증하는 신속 정확한 새로운 방법이다. 이 새로운 조기진단법에 의하여 SU계 제초제 저항성 물옥잠은 적어도 7일 이내 저항성 검증이 가능하였다. 제초제 저항성이 진단되면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식물 생육 단계에 맞는 제초제를 선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SU계 혼합 제초제 처리 후 생존한 저항성 물옥잠은 butachlor+pyrazolate 입제나 bentazone 액제와 2,4-D 액제를 혼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제주도산(濟州道産) 감귤발효주(柑橘醱酵酒)의 양조특성(釀造特性) (Citrus Wine-making from Mandarin Orange Produced in Cheju Island)

  • 고정삼;고남권;강순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416-423
    • /
    • 1989
  • 제주도산 온주밀감을 이용한 투명하고 방향성이 있는 과실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료의 화학분석과 처리방법, 우수균주의 선발, 발효중의 당의 변화, 발효주의 성분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원료 감귤의 껍질 부분은 25.6%였으며, 100 메쉬를 통과한 압착쥬스의 비율은 55.9%였다. 쥬스 중에는 총당 함량은 8.85%, 총산 함량은 1.43%, 휘발산 함량이 0.065%였다. 발효력시험, 과실주의 화학분석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IAM 4274를 우수균주로 선정하였으며, 압착쥬스에 가당하여 $24^{\circ}\;Brix$로 조절한 다음 $20^{\circ}C$에서 발효를 시켰다. 일주일간의 주발효기간이 경과한 후 부유물이 서서히 침전하기 시작하였으며, 한달 후 투명한 과실주가 얻어졌다. 발효전에 효소를 처리한 경우는 발효액이 매우 투명하였고, 부유물의 침전이 빨리 일어나 과실주의 수율이 향상되었다. 발효주의 화학분석 결과 총가용성 고형물량은 $8^{\circ}\;Brix$였으며, 주정농도는 $13.3{\sim}14.4%$였고, 총산함량은 $0.78{\sim}1.11%$, 엑스분은 $2.25{\sim}3.29%$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 향기 및 맛이 우수하여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현장실험을 통한 저진동·저소음 진폭가변형 진동해머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Vibro Hammer with Variable Amplitude by Field Tests)

  • 한진태;이준용;최창호;박정열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12
    • /
    • 2015
  • 국내외에서 차수벽이나 흙막이 벽체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강널말뚝의 관입시 일반적으로 진동해머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진동해머 중에서도 유압식 진동해머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진동해머의 시동을 켜고 끌 경우 진동해머 편심축의 이동에 따라 고유진동수의 변화로 진동해머에서 공진이 일어나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압식 진동해머에서 발생하는 공진 발생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진폭가변형 유압진동해머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진폭가변형 유압진동해머는 두 쌍의 편심체 수평 각도를 조절하여 진동수 및 진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일반 유압식 진동해머와 개발된 진폭가변형 유압진동해머의 기진체 현장실험을 이용한 성능 평가 비교를 통해, 기존 일반 유압식 진동해머에 비해 진폭가변형 유압진동해머의 진동 및 소음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실험 결과 진폭가변형 유압진동해머는 굴삭기의 추력으로 인해 기존 전기식 진동해머에 비해 관입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일반 유압식 진동해머에 비해서도 진폭가변으로 지반조건에 따라 관입속도가 빨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형실험에 의한 조립식 격자 옹벽의 거동 특성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egmental Crib Retaining Wall by Model Test)

  • 김상수;신방웅;김용언;이재영;변동건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49-456
    • /
    • 1999
  • The concrete wall is the most useful of retaining structure which can obtain the engineering stability, but has problems that is not friendly with nature environment in a fine view, such as poor rear drainage, and shrinkage crack by temperature difference, etc. Because of this problems, the research for a segmental crib retaining wall has been performed. A segmental crib retaining wall is quickly and easily erected because is possible to be erected as the individual members, and is not sensitive to differential settlement and earthquakes. Also, it shows effective drainage and has a friendly advantage with nature environment because of being able to be planted with vines and shrubs in retaining walls The design of crib retaining walls has traditionally been based on classical soil mechanics theories. These theories, originally derived by Rankine(1857) and Coulomb(1776), assume that the wall acts as a rigid body. This assumption results in failure being predicted by either monolithic overturning or base sliding mechanisms. However, the wall consists of individual members which have been created a three dimensional grid. This grid confines an fill mass which becomes part of the wall. The filled wall resists the earth pressure with the same mechanism of classical gravity walls. Because of the flexibility of the individual segment, it allows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individual members within the wall. The three dimensional flexible grid leads to stress redistribution when the wall is subjected to external or fill loads. Due to the flexibility and the stress redistribution, the failure of segmental crib wall consists of not only overturing and base sliding but the local deformation and the failure between the segmental members. It has been researched in the field that due to this flexibility and load redistribution, serviceability failure of segmental crib walls is unlikely to be due to overturning or base slid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lative displacement appearance of retaining wall due to variation of inclination is measured to examine this behavior characteristics. Also,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etaining walls by surcharge load, and location of acting point of retaining wall rear, and the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and deflections are estimated about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Rear Stretcher performing an role in transmitting earth pressure of Header and Stretcher organizing retaining wall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due to the behavior of retaining wall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due to the behavior of retaining walls.

  • PDF

곰팡이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항균물질의 분리 및 구조규명 (Isolation and Structural Determination of Anti-Helicobacter pylori Compound from Fungus 60686.)

  • 남궁준;연승우;백남수;김태한;김영호;김창진;김기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2
    • /
    • 1998
  • 본 실험에서는 만성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발생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H. pylori를 저해하는 특이항균물질을 생성하는 균주를 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액과 곰팡이 추출액을 대상으로 탐색하여 곰팡이 균주번호 60686을 선별하였다. Jar fermentor로 배양하여 얻은 균체를 acetone 및 EtOAc로 추출하였고, 얻어진 추출액을 silica column chromatography와 LH-20 gel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농축하였고 HPLC를 사용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단일물질 IDA를 분리 정제하였다. 항균 활성물질 IDA의 구조를 MS, NMR 분석등을 통해 추정한 결과 곰팡이의 2차 대사산물인 cytochalasan의 전형적 구조를 갖는 분자식 $C_{32}H_{36}N_2O_5$의 chaetoglobosin A라는 물질로 판명되었다. 항균물질 IDA의 항균력을 paper disk법으로 실험한 결과 그람양성 균주중에서는 S. aureus SG 511, 285와 503 3주에서만 항균력을 보였고, 그람음성 균주중에서는 H. pylori 4주에서만 항균력을 보였으나 동일농도 처리시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S. aureus에 비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진다고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