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persistenc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수도 재배환경 중 제초제 Cyclosulfamuron의 잔류특성 (Dissipation of Cyclosulfamuron in Rice Paddies)

  • 이영득;송성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69-276
    • /
    • 2001
  • Sulfamoylurea계 제초재의 일종인 cyclosulfamuron의 수도재배환경중 잔류특성을 평가하고자 2개 지역의 포장 및 실험실조건에서 토양 중 잔류성, 토양/토양수 및 수직적 잔류량 분포, 그리고 수확물인 현미 및 볏짚 중 잔류수준을 조사하였다. 경산 및 영천토양 중 잔류특성은 1차 분해반응의 양상을 보였으며 그 반감기는 포장과 실험실조건에서 각각 $17{\sim}30$일 및 $14{\sim}16$일로 나타났다. 입제살포 후 유효성분의 토양/토양수간 분포비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토양으로의 분포비율이 높아졌으며 토양 및 토양수에서의 반감기는 각각 19일과 10일이었다. 감수심 5 cm/일 조건으로 10일간 수행한 용탈 실험에서 cyclosulfamuron은 토심 $0{\sim}4\;cm$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중 수직이동성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포장조건에서 입제 및 액상수화제를 수확전 $120{\sim}150$일 전에 $1{\sim}2$회 처리하고 수확한 현미 중 잔류량은 제형, 살포시기 및 회수에 관계없이 모두 0.01 mg/kg 미만이었으며 볏짚중 잔류량은 $<0.02{\sim}0.05$ mg/kg 범위였다. Cyclosulfamuron의 토양 및 토양수 중 비교적 빠른 소실속도와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약제살포에 따른 잔류분이 다른 환경계로의 전이되거나 후작물에 대한 2차 약해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수확물 중 낮은 잔류수준과 독성학적 특성을 감안할 때 수확물 중 잔류분으로 인한 만성독성학적 부작용은 무시하여도 좋다고 판단된다.

  • PDF

축적인산(蓄積燐酸) 유효화(有效化)에 미치는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의 시용효과 (Effects of Silica and Compost Application on the Availability of Accumulated Phosphate in Paddy and Upland Soils)

  • 이춘희;전성건;신원교;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6
    • /
    • 1990
  •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은 논과 밭토양(土壤)에서 시비인산(施肥燐酸) 대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를 10a당 200kg와 2,000kg을 시용(施用)하고 동진(東津)벼와 백운(白雲)콩을 재배시(栽培時) 인산(燐酸)의 유효도(有效度), 잔존량(殘存量) 및 시비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증가량(增加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60ppm 정도(程度) 많았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에 의한 증가율(增加率)은 밭보다 논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게 높았다. 2. 식물분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현저히 많았고 그 차이(差異)는 볏짚보다 콩경엽에서 더 컸다. 3. 인산흡수(燐酸吸收)는 토양(土壤)의 철함량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고 토양환원(土壤還元)과 콩 뿌리혹 수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4. 토양(土壤)의 인산잔존비(燐酸殘存比)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가 80%,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가 100% 정도(程度)되었고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인산축적(燐酸蓄積)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벼 수량(收量)은 인산시용(燐酸施用)과 무시용(無施用) 간(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콩 수량(收量)은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 무시용(無施用)보다 5% 감수(減收)되었다.

  • PDF

바이러스저항성 삼각주 재배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Virus-resistant Trigonal Cactus Cultivation on Soil Microbial Community)

  • 오성덕;김종범;이정진;김민경;안병옥;손수인;박종석;류태훈;조현석;이기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8-154
    • /
    • 2013
  • 본 연구는 CVX 바이러스저항성 삼각주 재배가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과 수평적 유전자 이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육시기별 토양 세균과 방선균 군집밀도는 형질전환 삼각주 재배 토양의 미생물 군집밀도와 비형질전환 삼각주 군집밀도가 유사하여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토양 미생물의 우점종은 Proteobacteria, Uncultured archaeon와 Uncultured bacterium으로 나타났으며, 형질전환 삼각주 재배 토양의 우점종과 비율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근권 토양 DNA의 DGGE 분석을 통해 형질전환 삼각주와 비형질전환 삼각주 토양 미생물 군집의 profile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형질전환 삼각주와 비형질전환 삼각주 재배 토양의 화학성은 차이가 없었다. 형질전환 삼각주에 도입된 유전자로 토양 DNA에 대한 PCR 분석결과, 도입 유전자의 잔존성이 길지 않아 수평적 유전자 이동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Carbofuran 입제(粒劑)의 수중용출(수중용출)과 토양중(土壤中) 분해특성(分解特性) (Release of Carbofuran from Granular Formulations in Water and Its Degradation Patterns in Soils)

  • 홍무기;홍종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5
    • /
    • 1984
  • 제제형태(製劑形態)에 따른 carbofuran의 수중용출속도와 토양중 잔류소장(殘留消長)을 조사하기 위하여 재결정 하여 정제한 carbofuran 원제와 시판(市販) sand-coated granule 및 실험실에서 립상(粒狀)규조토를 담체(擔體)로 제조한 impregnated granule을 공시(供試)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rbofuran의 수중용출속도는 원제impregnated granule> sand-coated granule 순(順)이었으며 3-hydroxy 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의 잔류기간도 입제 처리가 원제 처리시 보다 더 길었다. 또한 토양별로 보면 담수 사양토가 비담수 양토에서 보다 carbofuran과 그의 두 대사산물인 3-hydroxy 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의 잔류기간이 짧았는데 이는 담수 여부가 토양 중 carbofuran의 분해에 주요한 인자임이 증명되었다. 3) 두 종류의 carbofuran 입제 처리시 3-hydroxy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이 최고 농도에 이르는 기간은 각각 $40{\sim}80$일, $20{\sim}40$일 소요되었으며 입제의 종류별로 보면 impregnated granule 처리가 sandcoated granule 처리보다 3-hydroxy carbofuran과 3-keto carbofuran의 잔류기간이 짧았다.

  • PDF

생고시용(生藁施用)과 Diazinon의 운용(運用)이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ice Straw Amendment and Repeated Application of Diazinon on the Persistence of Diazinon in Submerged Soils)

  • 이해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1호
    • /
    • pp.1-6
    • /
    • 1981
  • 토양처리형(土壤處理型) 살충제로 널리 사용(使用)되고 있는 diazinon입제(粒劑)의 토양중(土壤中) 분해(分解)에 대(對)한 생고(生藁), 토양살균(土壤殺菌) 및 약제연용(藥劑連用)의 영향(影響)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1. 생고시용(生藁施用)으로 토양중(土壤中) diazinon의 분해(分解)가 다소(多少)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으로, 생고무시용구(生藁無施用區)에 비(比)해 생고시용구(生藁施用區)는 그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2.5일(2.5日) 단축(短縮)되었다. 2. 토양(土壤)의 살균처리(殺菌處理)로 diazinon의 분해(分解)는 현저(顯著)히 지연(遲延)되었으며, 무살균토양(無殺菌土壤)에 비(比)해 살균토양(殺菌土壤)은 그 반감기(半減期)가 약(約) 20일정도(20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 3. diazinon입제(粒劑)의 연용(連用)으로 토양(土壤)과 표면수중(表面水中) diazinon의 분해(分解)는 현저(顯著)히 촉진(促進)되었으며, 이러한 현상(現象)은 연용회수(連用回數)가 증가(增加)할수록 심(甚)하였다. 토양(土壤)보다는 표면수(表面水)에서 더욱 현저(顯著)한 경향(傾向)이었다. 4. 연용처리(連用處理)한 토양(土壤)과 표면수(表面水)를 살균처리(殺菌處理)한 결과(結果)는 토양(土壤)과 표면수(表面水) 공(共)히 diazinon 분해(分解)에 미치는 연용(連用)의 영향(影響)은 거의 없었다.

  • PDF

형질전환 콩 재배가 근권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genic Soybean Cultivation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the Rhizosphere)

  • 이기종;손수인;이장용;이부영;오성덕;권순종;서석철;류태훈;김경환;박종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66-472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형질전환 콩 재배 시 토양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과 수평적 유전자 이동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숙기 토양의 미생물 군집밀도의 경우 형질전환 콩 근권 토양 미생물 군집밀도가 비 형질전환 콩 근권 토양과 유사하여 형질전환 콩 재배가 근권 토양 미생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권 토양의 우점 미생물 분포 양상 분석 결과, Proteobacteria, Firmicutes와 Actinobacteria 순으로 나타났으며 점유율은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우점종은 거의 유사하였다. 근권 토양 DNA에 대한 DGGE 분석 결과, 형질전환 콩과 비 형질전환 콩의 근권 토양 미생물 군집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형질전환 콩 재배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형질전환 콩과 비 형질전환 콩의 근권 미생물상의 명확한 차이가 나타날 정도로 토양간 화학성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형질전환 작물에 도입된 유전자군을 대상으로 식물체와 근권 토양 DNA에 대한 PCR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평적 유전자 이동성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화학사고물질 노출에 따른 피해지역 주민 건강위해성평가: 폼알데하이드 사례를 중심으로 (Health Risk Assessment for Residents after Exposure to Chemical Accidents: Formaldehyde)

  • 박시현;조용성;임희빈;박지훈;이철민;황승율;이청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5
    • /
    • 2021
  • Objectives: Acute exposure to high concentrations of chemicals can occur when a chemical accident takes place. As such exposure can cause ongoing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in the soil and groundwater, there is a need for a tool that can assess health effects in the long ter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sessing the health risks of residents living near a chemical accident site due to long-term exposure while considering the temporal concentration changes of the toxic chemicals leaked during the accident until their extinction in the environment using a multimedia environmental dynamics model. Methods: A health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ree cases of formaldehyde chemical accidents. In this study, health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a multimedia environmental dynamics model that considers the behavior of the atmosphere, soil, and water. In addition, the extinction period of formaldehyde in the environment was regarded as extinction in the environment when the concentration in the air and soil fell below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prior to the accident. The subjects of health risk assessment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ge: 0-9 years old, 10-18 years old, 19-64 years old, and over 65 years old.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by respiratory exposure and non-carcinogenic risk assessment by soil intake were conducted as well. Results: In the assessment of carcinogenic risk due to respiratory exposure, the excess carcinogenic risk did not exceed 1.0×10-6 in all three chemical accidents, so there was no health effect due to the formaldehyde chemical acciden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non-carcinogenic risk due to soil intake, none of the three chemical accidents had a risk index of 1, so there was no health effect. For all three chemical accidents, the excess cancer risk and hazard index were the highest in the age group 0-9. Next, 10-18 years old, 65 years old or older, and 19-64 years old showed the highest risk.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s environmental changes after a chemical accident occurs and until the substance disappears from the environment. It also conducts a health risk assessmen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persistence and concentration change over time. It is thought that it is of significance as a health risk assessment study reflecting the exposure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 substance for an actual chemical accident.

한국이 후방가장자리 개체군인 넓은잎제비꽃(Viola mirabilis L.)의 분포특성과 지속가능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 Substantiality of Viola mirabilis L.; Rear edge Population in Korea)

  • 채현희;김영철;안원경;곽명해;남기흠;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22-439
    • /
    • 2019
  • 후방가장자리 개체군은 전형적으로 고도의 고립된 분포에 따라 개체군의 유전적다양성이 낮고 절멸의 위험이 높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유전적다양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에 걸쳐 개체군의 지속이 관찰된다. 따라서 개체군의 지속에 관여하는 생태적인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넓은잎제비꽃은 세계적인 분포에서 한국이 후방가장자리개체군에 해당한다. 한반도의 중부 내륙에 제한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넓은잎제비꽃의 지속에 관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식생 및 토양환경, 식물계절학, 자가화합성 여부, 개체군 구조 그리고 분포지에서 관찰되는 위협요인을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넓은잎제비꽃은 석회암지대의 낙엽활엽수림 하부, 낙엽침엽수와 낙엽활엽수 식재림의 하부, 관목림의 하부 그리고 초원에 걸쳐 분포하였다. 개체군내에서 유묘의 재정착이 관찰되었고 대부분 안정적인 개체군 구조로 나타났다. 개방화는 화분매개곤충의 방문이 열매의 생산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그렇지만 개체군 내에서 폐쇄화의 생산이 보다 왕성하였고 일부 개체군에서는 개체의 크기가 큼에도 불구하고 폐쇄화만을 생산하였다. 개체의 크기는 개방화의 생산에 비해 폐쇄화의 생산에 보다 더 높은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개체군내의 유묘 보충은 폐쇄화의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방화와 폐쇄화의 생산은 토양분석 항목 중 유효인산을 제외하고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넓은잎제비꽃은 자가불화합성으로 이것은 왕성한 폐쇄화의 생산능력이 존재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생육지에서 관찰된 잠재적인 위협요인으로는 석회암광산의 개발, 경작지의 확대 및 주택의 건설이 있었다. 넓은잎제비꽃은 한반도에서 석회암지대에 고립되어 분포하지만 초원부터 비교적 울폐도가 낮은 식생하부에 이르기까지 넓은 식생환경에 걸쳐 관찰되었다. 또한 다수의 개체군과 안정적인 개체군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상태가 유지된다면 개체군의 지속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Assessing weediness of herbicide 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 Ko, Eun Mi;Kim, Do Young;Kim, Hye Jin;Chung, Young Soo;Kim, Chang-Gi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560-566
    • /
    • 2016
  • Imports of genetically modified (GM) soybeans (Glycine max) for food or feed consumption in Korea have been increasing. Although the cultivation of GM soybeans has not yet been allowed in Korea, the number of field tests for GM soybeans has also been ri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herbicide tolerant GM soybean can survive and persist in uncultivated environments when they escape from transportation routes or from isolated fields. Seeds of GM and non-GM soybeans and wild soybeans (Glycine soja) were buried in 2 and 15 cm soil depths and their viability was examined after 1, 2, 6, and 10 months. GM and non-GM soybean seeds completely lost their viability within six months of burial, whereas seeds of wild soybean maintained their viability during the study period. Seeds of soybean and wild soybeans that were sown on the soil surface germinated and grew to vegetative cotyledon stage. Seedlings of GM and non-GM soybean did not compete well with weeds, including Cerastium glomeratum,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Capsella bursa-pastoris, Conyza canadensis, Stellaria aquatica, and Erigeron annuus. Also, GM soybean did not survive through winter. However, wild soybeans competed well with the weeds and became dominant in August. Herbicide tolerant GM soybean is unlikely to persist under uncultivated environments and to become weeds.

DNAPL Pool의 용해실험에 의한 분산계수 산정 (Calculation of the Dispersion Coefficient by the Dissolution Experiment of DNAPL Pool)

  • 정경영;배열호;최상일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9-27
    • /
    • 1996
  •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고 분리된 유체면을 갖는 액체를 NAPO(nonaqueous phase liquids)이라 한다. 유기용제와 석유탄화수소와 같은 NAPL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지하에서의 장기간의 지속성 및 다량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능력 때문에 주요 관심 대상물질이다 누출된 DNAPU(denser- than-water NAPL)은 궁극적으로 포화 대수층을 통과하여 바닥에 DNAPL pool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pool로부터의 용해는 분자확산계수, 연직분산도, 지하수유속, 용해도 및 pool의 길이에 지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DNAPL pool의 용해를 모사하기 위해 DNAPL용해실험을 하여 연직 횡분산계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조건하에서 수행한 실험결과 산정된 연직 횡분산계수는 침투유속이 59.2cm/day, 94.3cm/day 및 158.0cm/day인 경우 각각 1.86$cm^2$/day, 2.90$cm^2$/day 및 4.51$cm^2$/day 이었고, 연직 횡분산도는 0.03024cm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