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nitrogen

검색결과 2,411건 처리시간 0.035초

Improving Accuracy of Soil Property Measurements by NIR Spectroscopy

  • Ryu, Kwan Shig;Cho, Rae Kwang;Park, Woo Churl;Kim, Bok Ji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177-179
    • /
    • 2001
  • Traditional wet chemical methods for testing of soil properties require extensive time and labor, and cause the discharge of pollutants, making them undesirable for routine soil analys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oil properties in soil fertility assessments. A total of 140 finely ground soil samples were used to obtain accurate calibrations and validation for estimating soil moisture, OM, and T-N. Finely ground soil samples satisfied the improved accuracy for routine NIR measuring of the field soi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NIR spectroscopy could be used as a routine method for quantitatively determining OM, moisture, and T-N of field soil, although this technique requires many combinations of sample pretreatments and data manipulations to obtain optimal predictions.

  • PDF

Soil Properties in Two Forest Sites in Cox's Bazar, Bangladesh

  • Akhtaruzzaman, Md.;Osman, K.T.;Sirajul Haque, S.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280-287
    • /
    • 2015
  •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epths (0-10 cm, 10-40 cm and 40-80 cm) of two forest sites including one plantation dominated by teak with some other minor species and another degraded natural forest in Cox's Bazar, Bangladesh to compare their soil properties. Some vegetation parameters were also studied. For this study $10{\times}10\;m$ and $2{\times}2\;m$ quadrats were used for the tree and undergrowth parameters, respectively. Soil samples were also collected from these quadrats. Between the two forest types, the highest levels of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base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found in soils of the plantation. The soils were acidic in nature and exchangeable Al concentrations were low. Teak dominated forest plantation had higher soil fertility index (SFI) than the degraded natural forest site. Steps for reforestation and appropriate protec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situation.

OCED 농업양분지표중 질소 균형지표 설정 (Determination of Nitrogen Balance of Agricultural Land among OECD Nutrient Balance Indexes)

  • 이춘수;김필주;박양호;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7-355
    • /
    • 2000
  • OECD농업/환경위원회 요청에 의하여 질소양분 균형지표 (Input-Output)설정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비료소비량, 가축분생산량 생물적 질소고정량, 작물흡수량, 탈질량 및 작물부산물 회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질소균형지표는 1997기준, 탈질량을 포함할 경우와 포함하지 않을 때 각각 ha당 158kg, 211kg이었으나 OECD에서 요구하는 탈질량과 작물 부산물 회수량을 제외하는 경우는 250kg으로 산출되었다. 질소균형지표를 연도별로 비교해 보면 1985년 기준 $70{\sim}162kg\;ha^{-1}$에 비하여 1997년은 1.7~2.3배나 증가되었으며, 주요인은 가축분생산량 및 화학비료 소비량 증가와 경지면적 감소 때문이었다. 질소균형지표의 구성비율은 1997년을 기준으로 하여 질소의 Input에서 화학비료 59%, 가축분뇨 42%, 기타 5%이며 (가축분중 질소휘산량은 6%임), Output는 작물생산 73%, 부산물 회수량 23%, 목초생산 4%이였다. OECD사무국에서 검토한 자료(안)에 의하면 1995~1997년 기준 탈질량과 부산물회수를 통한 질소 질소제거량을 제외한 질소균형지표는 우리나라가 $253kg\;ha^{-1}$으로 네델란드의 $262kg\;ha^{-1}$ 다음으로 회원국중 두번째로 높으며, 일본은 $135kg\;ha^{-1}$이었다.

  • PDF

대두의 토양산도에 따른 질소반응 연구 I. 토양 및 양액의 산도와 질소시용량이 콩의 근류착생, Allantoin 태질소 및 전질소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arietal Response of Soybeans to Nitrogen Application level Under the Different Soil Acidity I. Effects of pH and Nitrogen Application Level on Nodulation, Allantoin-N and Total Nitrogen Content of Soybean Plants)

  • 이홍석;권오하;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7
    • /
    • 1988
  • 토양 및 양액의 산도와 질소시용이 대두의 근류착생과 식물체중의 allantoin태질소 및 전질소함량과 주요무기성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산도에 따른 질소반응을 밝히기 위하여 장백콩과 두엽콩을 시험하여 산도를 산성(pH 5)과 중성(pH 7) 조건으로 하고 질소시용량을 4수준으로 하여 양액재배 및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류의 착생은 산성조건에서 적었고 질소증시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무질소구는 표준질소구보다 떨어졌으며 특히 근류의 건물중은 중성조건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2. 식물체중의 allantoin 태 질소함량은 엽보다 줄기중에 현저히 많았는데 산성조건과 질소증시에 의하여 감소하였고 특히 중성조건에서 질소증시에 의한 allantoin 태 질소함량의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이와같은 경향은 단엽콩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3. 근류의 착생정도는 식물체중의 allantoin 태 질소함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pH가 낮은 산성조건에서 감소하였고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그 정도는 산성조건에서 현저하였고 특히 장백콩에서 잘 나타났다. 5. 식물체중의 K, Ca, MG, Mn 등의 함량도 산성조건에서 감소하였고 칼리함량은 질소시용량의 증가에 의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6. 상성조건에 의한 근류의 착생, 식물체중의 allantoin 태질소 및 전질소함량 등의 감소정도는 단엽콩에 비하여 장백콩에서 적게 나타나 내산성 품종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Mulching Materials as Yield Booster for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 Kim Hee-Jung;Lee Ho-Yong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383-389
    • /
    • 2005
  • The effect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mungbean production was studied. The general objective was to assess the ecological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in sustainable mungbean production. Specifically,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mulching materials on the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soil properties, on weed control and yield, and to identify mulching material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in mungbean produc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ruit and Vegetables Seeds Center, Science City of $Mu/tilde{n}oz$, Nueva Ecija, Philippines from May to July 2004. The initial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pH of 6.4, 2.0 percent organic matter content, 0.10 percent total nitrogen, 22 ppm phosphorus, and 370 ppm available potassium. The soil microbial loads were $8\times10^4\;CFU\;g^{-1}$ for bacteria and $14\times10^4\;CFU\;g^{-1}$ for fungi. Mushroom spent mulch increased soil organic matter with an average of 3.13 percent, nitrogen with an average of 0.16 percent and the highest number of bacterial count with $3.4\times10^8\;CFU\;g^{-1}$. Use of mulch, except rice straw mulch, generally increased mungbean yield. The best mulching material for high yield production of mungbean was black polyethylene plastic film, although environmentally unfriendly.

양돈 퇴, 액비의 수질환경 영향분석을 위한 영양물질 이동경로 연구 (Nutrients Transport Pathway for Watershed Impact Analysis of Livestock Wastes and its Resources)

  • 어성욱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65-470
    • /
    • 2011
  • 액비와 퇴비 형태로 발생되어지는 양돈 분뇨는 발생량의 대부분이 농지에 적용되어지고 있다. 과잉으로 적용된 양돈 퇴, 액비는 수계의 영양소 과잉의 주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양돈 퇴, 액비의 질소, 인 물질이 농지로부터 지표수와 지하수로 전달되어지는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목적이다. 인공 강우 시험을 통해 농지로부터 양돈 퇴비와 액비가 각각 적용되어진 농지에 대해 지하수와 지표수로 유출되는 양을 조사하였는데 질소의 경우 지하수로 유출되는 부분이 가장 많은 반면 인의 경우 토양에 흡착되는 부분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에 대한 인의 평균 흡착 양은 21.5 mg P/kg soil 로 나타났다.

울릉도 섬현삼(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in Ulleung Island)

  • 한경숙;김무열;서강욱;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3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Ulleung Island. The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dominant population, Vitis amurensis dominant population and Scrophularia takesimensis typical population. The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was located in elevation of 1m to 6m, in Ulleung Island.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and exchangeable sodium concentrati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9.1~19.1%, 0.19~0.52%, 87.1~196.7mg/kg, 2.0~2.8cmol+/kg, 5.4~5.9cmol+/kg, 5.9~8.8cmol+/kg, 4.4~4.8cmol+/kg, 20.3~26.7cmol+/kg, and 6.8~8.0, respectively. The Vitis amurensis dominant population was mainly found in the high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CEC in comparison with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dominant population.

TWINSPAN 과 CANOCO 에 의한 주요 활엽수 군집과 환경의 상호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Major Hardwood Communities by TWINSPAN and CANOCO)

  • Song, Ho-Kyung;Kyu-Kwan Jang;Ki-Won Kw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99-108
    • /
    • 1995
  • Deciduous hardwood communities were ecologically analyzed in order to determine their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The quadrats were sampled in Mt. Chiri, Mt. Deokyu, Mt. Kyeryong, Mt. Sokri, and Mt. Jungwang, and their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opographical features as well as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computer program TWINSPAN and CANOCO were us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pecies composition. In the relations of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optimal ecological habitats of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could be the sites at low latitudes such as the regions of southern part of Korea in which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s are rich, while those of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Acer mono community, and Betula costata community could be the sites which are wet and have high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s in soil.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s distributed widely throughout Korea, and its ecological habitats could be the sites which have high soil nutrient and moderate soil moisture in central and northern parts of Korea, while those of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could be the sites which is dry and have high Mg and C.E.C. value.

  • PDF

음식물쓰레기 퇴비 시용이 논토양에 미치는 영향 (Environmental Impacts of Food Waste Compost Application on Paddy Soil)

  • 소규호;성기석;서명철;홍승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5-94
    • /
    • 2007
  • 염분 함량이 높은 음식물쓰레기 퇴비의 안전한 농업적 활용을 도모하고자, 음식물쓰레기 퇴비를 논에 시용하고 벼를 재배하면서 관행구 등과 비교하여 벼 생육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토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시험재료의 성분 함량은 돈분퇴비에서 인산 ($15g\;kg^{-1}$)과 칼리 ($23g\;kg^{-1}$)가 높은 반면 음식물 쓰레기 퇴비에서는 전질소 ($13g\;kg^{-1}$)와 염분 ($18.5g\;kg^{-1}$)이 높은 재료였다. 논 영향평가는 식양질과 사양질 토양에서 화학비료 처리를 대조로 돈분퇴비와 음식물 쓰레기 퇴비를 시용하고 추청벼를 재배하며 실시하였다. 벼 유수형성기까지의 생육은 식양질 논에서는 화학비료 시용구가, 사양질 논에서는 돈분퇴비 시용구가 생육이 양호하였다. 수량은 두 토양 모두 화학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고 퇴비 시용구는 식양질 논과 사양질 논에서 각각 20~25 %, 17~19 % 감수하였다. 이와 같이 초기보다 후기에 생육이 부진한 것으로 보아 감수 원인은 퇴비의 무기화가 늦어져 작물에 이용되지 못한 데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험 후 토양의 성분 함량은 화학비료 처리보다 음식물쓰레기 퇴비와 돈분퇴비를 시용했을 때 유기물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은 있으나, 다른 성분은 별 차이가 없어 이들 퇴비를 논 토양에 시용했을 때의 토양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 퇴비를 시용하고 논 표면수와 60 cm 깊이의 침투수 중 암모니아태 및 질산태 질소를 분석한 결과, 이앙 9일 째에 암모니아태 질소는 관개수 농도 수준, 질산태질소는 거의 불검출 수준에 가깝게 낮아져 2차 수질오염에 대한 영향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음식물쓰레기 퇴비를 논에 시용할 경우, 수질 및 토양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으나 퇴비로만 벼를 재배하면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논에서의 안정적인 음식물 쓰레기 퇴비 시용을 위하여는 퇴비 자재의 선택과 시용량, 시용방법 등에 대해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