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nitrogen

검색결과 2,409건 처리시간 0.031초

퇴화염토지 논에서 팽화왕겨 퇴비시용이 토양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pped Rice Hulls Compost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Fluvio-marine plain paddy soils)

  • 류철현;양창휴;김택겸;유진희;김병수;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03-408
    • /
    • 2006
  • 시험에 사용한 팽화왕겨퇴비는 T-N 1.173%, 질소무기화율 33.5%, C/N율 35.4로써 높은 C/N율을 가졌다. 본시험은 전북통의 토양에서 동진 1호를 재배하였으며 2년간 팽화왕겨퇴비를 시용하였다. 팽화왕겨퇴비의 시용은 유기물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용적밀도 및 공극률이 향상 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양 중 $NH_4-N$ 용출양상은 최고분얼기 이전까지는 표준시비구에서 높았다. 시비질소 흡수량은 생육초기 표준시비구에서 많았으나 성숙기에는 팽화왕겨퇴비 시용구에서 다소 많았으며, 팽화왕겨퇴비 시용구들 간을 비교해 볼 때 생육전반에 걸쳐 50% 대체구에서 흡수량이 가장 많았다. 질소 이용률은 팽화왕겨퇴비 시용구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쌀수량은 표준시비에 비해 모든 팽화왕겨퇴비 시용구에서 낮았으나 팽화왕겨퇴비 40% 시용구에서는 표준시비와 거의 비슷한 수준의 수량을 보였다.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근류균활동(根瘤菌活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Activity of Rhizobium)

  • 유진창;윤석권;이용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1-225
    • /
    • 1974
  • 일반(一般)밭 토양(土壤)에 있어서 대두(大豆) 재배시(栽培時) 근류균(根瘤菌)의 접종(接種) 효과와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과의 관계(關係)를 밝히고저 주구(主區)로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 0, 2, 6, 12kg/10a 사수준(四水準)으로 하고 세구(細區)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무접종(無接種)으로한 분할구배치(分割區配置) 사반복(四反覆)으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대두수량(大豆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차이(差異)가 없이 질소시용양간(窒素施用量間) 거의 같았으며 근류균(根瘤菌) 접종간(接種間)에도 유의성(有意性)없는 차이(差異)였으나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하므로서 야간(若干)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었다. 2. 사엽기(四葉期) 및 개화기(開花期)에 근류(根瘤) 형성(形成) 정도(程度)를 보면 양시기(兩時期) 공(共)히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륵 유의성(有意性)있게 근류형성(根瘤形成)이 적었고 근류균 접종구(接種區)에서는 무접종(無接種)보다 근류(根瘤)의 형성(形成)은 유의성(有意性) 있게 많았고 생육상황(生育狀況)도 접종구(接種區)에서 무접종(無接種)보다 경장(莖長)이 컸으며 이러한 차이(差異)는 개화기(開花期) 보다도 사엽기(四葉期)에 커서 근류균(根瘤菌)의 접종효과는 초기(初期) 생육(生育)을 좋게 하는것 같았다. 3. 수확후(收穫後) 토양중(土壤中)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을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했으며 접종(接種) 무접종간(無接種間)에는 질소(窒素) 무시용구(無施用區)를 제외(除外)하고는 전질소(全窒素) 시용량간(施用量間)에 근류균(根瘤菌)을 접종(接種)함으로서 증가(增加)했으며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 6kg/10a 수준(水準)에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으로 인(因)하여 반당(反當) 15kg의 토양잠재질소(土壤潛在窒素)를 갖게 되었다.

  • PDF

포장재배수도(圃場栽培水稻)의 무기영양(無機營養) -III 수량등급별(收量等級別) 양분(養分)(N. P. K Si) 흡수량(吸收量), 양분효율(養分効率) 및 전이율(轉移率) (Mineral nutrition of field-grown rice plant. -III. Uptake, efficiency and percent translocation of N.P.K. and Si at various yield classes)

  • 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9-125
    • /
    • 1974
  • 삼요소시험(三要素試驗)(1967~69)을 중심(中心)으로 정조수량등급별(正租收量等級別)로 N, P, K, Si의 흡수량(吸收量)과 이들의 정조생산효율(正租生産効率) 및 전이율(轉移率)을 본결과 다음과 같다. 1) 수량증가(收量增加)에 따른 각양분(各養分)의 요구도(要求度)는 유사(類似)한 비율(比率)로 증가(增加)하였으나 규산(珪酸)이 가장 변화(變化)가 컸다. 2) 질소효율(窒素効率)이 낮은(46kg/Nkg) 삼요소(三要素)시험에서는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효율(効率)과 전이율(轉移率)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다. 3)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질소(窒素)의 정조생산효율(正租生産効率)이 감소(減少)하였으며 이감소정도는 비종(肥種) 및 품종(品種)에 따라 크게 다르다. 질소효율(窒素効率)은 식질(埴質)에서보다 수량(收量)이 높은 사양토(砂壤土)에서 높았다. 4) 질소(窒素)의 정조생산효율(正租生産効率)은 질소(窒素)의 인으로의 전이율(轉移率)과 정상관관계(正相關關系)였다. 5) 다수확(多收穫)은 질소효율(窒素効率)이 50정도에서 머문채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만을 증가(增加)시켜 이루어지고 있다. 6) 질소효율(窒素効率)의 저하(低下)가 저수(低收)의 큰요인(要因)으로 보였다. 7) 삼요소시험(三要素試驗)에서 인산(燐酸)의 정조생산(正租生産) 효율(効率)이 상당히 낮은 편인데 인산(燐酸)의 토양환원(土壤還元)에 의(依)한 과다흡수(過多吸收)에 기인(基因)하는 것 같다.

  • PDF

논 토양(土壤)의 생물적(生物的)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볏짚 시용효과(施用効果) -I. 볏짚 시용방법(施用方法)이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of Paddy Fields. -I.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 of Rice Straw on the Nitrogen Fixing Activity)

  • 유익동;타츠히코 마츠구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7-83
    • /
    • 1983
  • 논토양(土壌)의 생물적(生物的)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 및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볏짚시용(施用) (특(特)히 시용방법(施用方法); 표면시용(表面施用)과 혼층시용(混層施用))효과(効果)를 밝히기 위하여 황천(荒川) 충적토양(沖積土壌)과 회목(栃木)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을 충분(充墳)한 라이시메타 시험(試験)을 실시(実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볏짚시용(施用)은 혼층시용(混層施用), 표면시용(表面施用) 어느 경우에도 수도(水稻) 생육초기(生育初期) 1~2개월(個月) 사이에 작토(作土) 표층부(表層部) (0~1cm)의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 특(特)히 광합성미생물(光合成微生物)에 의한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을 현저(顕著)하게 증대(増大)시켰다. 2. 볏짚 시용방법(施用方法)에 따라서는 혼층시용(混層施用)보다도 표면시용(表面施用)하므로 더욱 현저(顕著)한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의 증대(増大)를 보였으며, 표면시용(表面施用)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정도(程度)에도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가져왔다. 3.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작토(作土)에 잔존(殘存)하는 볏짚, 수도근(水稻根), 토양(土壌)을 각각(各各) 채취(採取)하여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볏짚시용(施用)에 의한 표층부(表層部)에서의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의 증대(増大)는 시용(施用)되어진 볏짚 및 그 근방(近傍)에서 발현(発現)된 것으로 판명(判明)되었다. 4. 제초제(除草剤)의 산포(散布)(단(但) MO입제(粒剤))는 제초제(除草剤) 무산포구(無散布区)보다 오히려 표층부(表層部) 볏짚의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의 증대(増大)를 가져왔다.

  • PDF

토양별 근류균접종이 대두의 근류형성 및 질소개정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oculation effect of R. japonicum on the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in Glycine max with the different kinds of soil.)

  • 유익동;김창진;김성훈;이윤;민태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7-192
    • /
    • 1986
  • 대두근류균 접종제 개발을 목적으로 수집 분리되어 우수균주로 선발된 근류균(Rhizobium japonicum)을 대상으로 가기 재배경력이 상이한 3종류의 토양에 장엽콩을 공시 품종으로 하여 접종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류형성정도 및 질소고정활성을 보면 근류균무접종구에 비하여 근류균을 접종함으로써 3토양 모두 현저한 근류형성 및 질소고정활성의 증가를 보였고 그에 따라 대두의 생육정도도 양호하여 평균 10%의 건물중의 증가를 보였다. 토양별 총질소고정활성의 증가지수는 개간전토양 238%. 미숙전토양 266%, 숙전토땅 157%로 개간전 및 미숙전토양에서 접종효과가 뚜렷하였다. 공시 근류균주별 접종효과는 Rhizobium japonicum R-214, R-138 균주가 우수한 접종효과를 나타냈다.

  • PDF

Effect of Soil Salinity Levels on Silage Barley Growth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anghun;Bae, Hui-Soo;Lee, Soo-Hwan;Kang, Jong-Gook;Kim, Hong-Kyu;Lee, Kyeong-Bo;Park, Ki-Ho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65-372
    • /
    • 2013
  • Crop development and nutrient availability are strongly influenced by soil salinity leve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ice straw and nitrogen (N) fertilizer for silage barley under various soil salinity levels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Three levels of rice straw (0, 2.5, 5.0 ton rice straw $ha^{-1}$) and N (0, 150, 225 kg N $ha^{-1}$) were applied at 0.04, 0.23, 0.35% soil salinity levels. Biomass yield of silage barley was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rice straw application and N fertilization. Although there was no single effect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biomass yield,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N application and a rice straw application of 5.0 ton $ha^{-1}$. Sodium content in silage barley was significantly lower at 0.04% salinity level, and but it was statistic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salinity levels. Forage qualities such as total digestible nutrients and relative feed value of silage barley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N application at 0.04% salinity level, but there was no effect of rice straw application.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as increased with N and rice straw application regardless of soil salinity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 of rice straw and N fertilization on silage barley was influenced by soil salinity levels, which indicates that the management practice of silage barley at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hould consider soil salinity levels.

하천수질정화용 토양여과의 여과용량 증대와 수질 개선을 위한 친환경 여재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soil and eco-friendly media for improving the filterability and water quality in soil filtration)

  • 기동원;조강우;원세연;송경근;안규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3-462
    • /
    • 2010
  • Nowadays, the challenges of ensuring good water quality and quantity of river are becoming more important for human society, but there has been troublesome for purifying river water.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fundamental study of a river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riverside soil and eco-friendly optimal media for improving river water quality and can also treat a large amount of river water. As the results of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wo different soils (Kyungan and Chungrang,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ere collected from real stream sides in the Han River basin, and five kinds of media (zeolite, perlite, steel slag, woodchip and mulch), both soils were all classified as a sand, and effective size ($D_{10}$) and uniformity coefficient (U) of the soil were about 0.2 mm and 4 or so, respectively. Through the batch and column experiments with the soil and eco-friendly media, zeolite and mulch were found to be efficient for decreasing nitrogen. In addition, steel slag was especially superior to the other media for phosphorus removal. From soil reforming tests volume ratios were 2.8, 1, and 1 of Kyungan soil, zeolite, and steel slag hydraulic conductivity of mixed soil was increased $1.30{\times}10^{-2}$ from $2.85{\times}10^{-3}$ of Kyungan soil,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also improved. These results show that reforming of the soil enhanced the purification of a large amount of water, and zeolite, mulch, and steel slag might be facilitated as proper functional media.

검단산 한계농지에서의 토양발생 CO2 및 질소 유효도 (Soil CO2 Evolution and Nitrogen Availability on Abandoned Agricultural Fields at Mt. Kumdan)

  • 손요환;반지연;김래현;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15
    • /
    • 2003
  • 한계농지 토양 내의 탄소와 질소의 동태에 관한 연구는 적절한 연구 대상지의 부족으로 지금까지 폭 넓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처의 검단산 일대에서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등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2002년 7월 25일부터 2003년 1월 24일까지 토양 발생 $CO_2$와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를 측정하였다. 현재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과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활엽수림이고,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성 관목이 주 식생을 이루고 있다. 토양 발생 $CO_2$는 토양 온도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기간동안 토양 발생 $CO_2$량 (g $CO_2$/$m^2$/hr)의 평균은 각각 과거 논으로 이용되다. 산림으로 변한 지역이 0.42, 과거 밭으로 이용되다 관목으로 변한 지역이 0.50,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이 0.41로 나타났다. 토양 발생 $CO_2$와 토양 온도는 연구 지역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양 습도는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였고, 토양 발생 $CO_2$에 대해 토양 습도는 매우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는 세 곳의 연구 대상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토양 수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Lemna-Blue green algae에 의(依)한 질소고정(窒素固定)에 관한 연구 (Nitrogen fixation by Lemna-Blue green algae association)

  • 박우철;곡전택도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48
    • /
    • 1979
  • Lemnaceae의 반공생적 질소고정(窒素固定)을 확인(確認)하기 위(爲)하여 SEM으로 관찰(觀察),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반공생적 질소고정(窒素固定)을 하고 있는 암조(藍藻)는 Calthrix sp.와 Microcrate sp.가 많았으나 L. gibba에서는 Anabaena sp.도 보였다. 2) L. oligorhiza는 거의 공생적(共生的) 질소고정(窒素固定)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타(他)의 Lemnaceae는 이와같이 보이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Rhizobium Inoculant, Compost, and Nitrogen on Nodulation, Growth, and Yield of Pea

  • Solaiman, A.R.M.;Rabbani, M.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34-538
    • /
    • 2006
  • The effects of Rhizobium inoculant, compost, and nitrogen on nodulation, growth, dry matter production, yield attributes, and yield of pea (Pisum sativum) var, IPSA Motorshuti-3 were assessed by a field experiment. Among the treatments Rhizobium inoculant alone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plant. The highest green seed yield of 8.38 ton/ha (36.9% increase over control) and mature seed yield of 2.97 ton/ha (73.7% increase over control) were obtained by the application of 90 kg N/ha. The effects of 60 kg N/ha, Rhizobium inoculant alone and Rhizobium inoculant along with 5 ton compost/ha were same as the effect of 90 kg N/ha in recording plant height, root length,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both at preflowering and pod filling stages, number of mature pods/plant, number of mature seeds/pod, 1000-seed weight, green, and mature seed yields of p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