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3초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한 토양수농도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oil Water Concentration by Time Domain Reflectometry)

  • 박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2호
    • /
    • pp.123-132
    • /
    • 1998
  • 비포화대에서의 지하수 오염원의 이송을 관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거승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함수량과 농도가 다른 시료를 이용하여 비포화 용존 오염원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TDR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정실험을 수행하였다. 초기전자기파에 대한 TDR반향파의 감쇄정도를 이용하여 토양의 총전기전도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함수량이 일정할 경우 총전기전도도와 토양수의 농도관계는 선형관계를 유지한다는 가정을 기본으로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의 농도와 체적함수량을 갖는 시료를 성형하고 이때의 TDR 반향곡선을 측정하여 Dalton 등(1984), Topp 등(1988), Yanuka 등(1988), Zegelin 등 (1989)이 제안한 추정식으로 통초양전기전도도를 구하였다. 실험결과 Zegelin등이 제안한 식을 제외한 세 가지 식들은 매우 좋은 토양수의 농도와 총전기전도도의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세가지 추정식들은 용존 오염원의 농도를 추정함에 있어 매우 유용한 식으로 판단되며 이 추정식들을 이용하는 TDR 비포화 용존 오염원 측정법은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에 있어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 PDF

한국 토양에 대한 포화침출액법과 1:5 법에 의한 전기전도도 간의 희석배수와 CEC의 관계에 대한 고찰 (Discussion on Dilution Factor for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ed by Saturation-paste Extract and 1:5 Soil to Water Extract, and CEC of Korean Soils)

  • 정영상;주진호;홍순달;이인복;노희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75
    • /
    • 2001
  • 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 ECe와 토양과 증류수를 1:5로 하여 측정된 EC1:5간의 직선 관계식의 경사 또는 희석 배수 (DF)에 대해 서로 독립적으로 발표된 연구 결과를 분석한 결과, DF는 CEC와 고도의 유의성을 보이는 부상관 관계에 있었다. 이 관계로부터 한국 대표 토양에 대한표토의 CEC로부터 산출한 DF는 사토에서 12.29, 식토에서 6.44이었다. 이 연구에서 포화수분점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측정된 EC1:5로부터 ECe를 추정할 때 토양의 CEC를 고려해야 하며, 제시된 토성에 따른 DF값의 적용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새만금지구 간석지토양의 염분거동해석 및 제염효과분석을 위한 실험적연구 (Experimental Studies for Analyzing Salt Movement and Desalinization Effects on Reclaiming New Manguem Tideland)

  • 구자웅;한강완;서승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2-103
    • /
    • 1989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duce the basic data for devising irrigation project and desalinization countermeasure through analyzing salt movement and desalinzation effects. The Desalinization experiments with water management practic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soil samples collected in New Manguem tideland. The changes of electrical conductivity,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pH and hydraulic conductivity during the desalinization experiment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factors influencing desalinization,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ample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sotlic soils with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high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and the soil texture was silt loam. 2. A large amount of the soluble salts was removed in the begining of desalinization experiments. The initial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initial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decreased considerably in the beginning, and were gradually slow in the rate of decrease 3. The value of pH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during the desalinization and were little by little slow in the rate of increase, and could be estimat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4. The initial hydraulic conductivity were raised greatly with gypsum treatment and the penmeability was maintained adequately,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leaching time elapsed during the desalinization could be estimat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5. The water requirement for desalinization with various water management practices could be estimated for a given electrical conductivity,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and pH reading respectively.

  • PDF

TDR(Time Domain Reflectometry)를 이용한 비포화 토양에서 천이상태의 오염원 이송확산 특성에 관한 연구 : (1) 함수량과 상대전기전도도의 관계 (Study on Characteristice of Transient Soulte Transport in the Vadose Zone by Using TDR: (1) Relationship between Water Content and Realtive Electrical Conductivity)

  • 박재현;서일원;선우중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6호
    • /
    • pp.741-74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TDR의 반향파의 특성과 총토양전기전도도의 관계를 이용한 비포화 토양에서의 용존오염원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두 가지 중요한 관계를 결합한 것으로 첫 번째는 함수량이 일정할 경우 전기전도도와 토양수 농도는 선형관계를 유지한다는 것이며, 두 번째는 천이상태의 용존여염원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함수량과 전기전도도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함수량과 전기전도도의 관계를 추정하는 식들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한계함수량의 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한계함수량 개념을 이용하여 실험자료를 선형, 비선형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실험자료의 반영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본 연구에서 제안된 식을 이용하여 추정된 전기전도도와 함수량관계는 다른 제안식에 비하여 개선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전기전도도와 함수량관계 추정식을 이용한 천이상태의 오염원 농도 측정법은 함수량이 급하게 변하는 토양에도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간척지 토양의 제염과정 중 전기전도도 분석 (Analysis of Electrical Conductivity during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al Lands)

  • 구자웅;최진규;손재권;윤광식;이동욱;조경훈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7-49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duc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ediction techniques of desalinization to be applicable to reclaimed tidal lands at the beginning stage. the desaliniz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two water management practices, namely, the leaching method by subsurface drainage and the rinsing method by surface drainage. The 5 soil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4 tidal land reclamation projects. Regression equations were obta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lectrical conductivity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al lands and to estimate water requirements for desaliniz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USDA Salinity Laboratory classification system of salt affected soils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sodic soils with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high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2. With the increase of the water requirements for desalinizati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high degree of correlationships and the desalinization effects were remakable in both the leaching method and the rinsing method. 3. In case of the leaching metho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had been reduced below the classification value of salt affected soils when the depth o water leached per unit depth of soil (Dwl/Ds) was 0.3 and the desalinization effects showed a tendency to be much the same in each treatment.

  • PDF

불포화대 토양 특성 분석을 위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의 적용성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Tomography to Analyze Soil Properties in Unsaturated Bone)

  • 용환호;송성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3호
    • /
    • pp.184-190
    • /
    • 2004
  • 불포화대 토양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토양단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를 적용하였다. 전극설치 지점에서 심도별로 채취한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토양 공극수의 전기전도도, 수분함량, 이온함량을 측정한 결과, 토양특성과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결과의 상관성이 토성별로 선형적인 관계가 나타남에 따라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결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불포화 토양층을 대상으로 한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를 이용하여 시추공 사이의 토양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토양의 산도, 유기물 함량 등의 간접적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간 포장에서 측정한 토양 경도 및 전자장 유도 전기전도도와 작물수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soil profile strength and apparent soil electrical conductivity to crop yield)

  • 정원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5
    • /
    • 2006
  • 점토경반층 토양에서 수량 변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센서를 통하여 관측된 깊이별 토양경도 및 ECa와 작물의 수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깊이별 토양의 경도는 점토가 집적된 지표면으로부터 15-30 cm 지점의 점토경반층 (argillic horizon)에서 높게 나타내고 있으며 토양의 깊이가 깊은 지점에서 토양경도의 변이가 작게 나타났다.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콩과 옥수수 수량과 작물생육기의 강우량을 분석한 결과 7-8월의 강우량이 작물의 수량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간의 강우량이 150 mm 이하이면 작물이 수분 부족으로 수량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로부터 15-45 cm 지점에서 토양의 경도와 ECa 가 작물의 수량과 매우 유의한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rought boundary" 인 7-8월의 강우량이 150 mm를 기점으로 각기 반대의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토양의 깊이별 경도 값과 ECa 를 이용하여 수량 추정식을 계산 하였으며 추정식의 검증을 위하여 별도의 독립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수량과 측정된 수량의 표준오차를 비교한 결과 측정된 수량에 대한 표준오차의 비율이 4-16% 로 나타났으며 7-8월의 강우량이 150 mm 이하로 건조한 경우에 표준오차가 같은 시기에 강우량이 150 mm 이상으로 습윤한 경우보다 현저하게 표준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센서 측정자료와 작물수량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연구에 이용된 점토경반층 토양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ECa 및 깊이별 토양경도와 작물 수량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기 저항열을 이용한 유류 오염토 복원공정 적용을 위한 토양의 가열특성 연구 (He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oils for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with Soil Vapor Extraction)

  • 윤여복;고석오;박기호;박민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1호
    • /
    • pp.45-5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토양의 전기가열 특성을 실험을 통해 규명함으로서, 전기저항열을 이용한 토양증기추출법을 실제 현장에 적용 시 토양가열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반응조를 이용한 토양 종류별 자체 특성에 따른 가열 특성과 외부에서의 전기적 특성의 조절을 통한 가열 특성을 살펴보았다 토양의 업자가 작을수록, 토양 내 이 온이 풍부할수록 전기가열 효율이 증가되었으며, 토양이 물로 포화된 경우에도 전기 가열 효율이 증가하였으나 공극률 이상으로 수분이 있는 경우는 오히려 효율이 떨어졌다. 전압이 증가할수록, 전극 사이가 짧아질수록, 유류 오염된 토양일수록 효율은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전류와 전기전도도의 정량적 상관관계를 도출함으로써 직접적인 전기가열 실험 없이 전기전도도로 반응조 내 토양이 $100^{\circ}C$ 온도 상승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시설딸기재배지 토양에서 염류농도가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in a Controled Horticultural Land for Strawberry Cultivation)

  • 이영한;안병구;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30-835
    • /
    • 2011
  • 시설딸기 재배지에서 염류농도가 생육초기 토양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FAME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토양 총 세균 함량, 그람음성 세균 함량, 그람양성 세균 함량, 방선균 함량, 곰팡이 함량, 내생균근균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은 토양이 적정한 토양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1). 토양 환경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cy17:0과 16:$1{\omega}7c$ 그리고 cy19:0과 18:$1{\omega}7c$ 비율은 상대적으로 염류농도가 적정한 토양에서 낮은 경향을 보여 토양 환경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판단 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람양성 세균, 방선균, 곰팡이 및 내생균근균 군집은 염류농도가 높은 시험구가 염류농도가 적정한 시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Comparison of soil nutrients,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mong fish ponds of different ages in Noakhali, Bangladesh

  • Tapader, Md. Morshed Alam;Hasan, Mehedi Mahmudul;Sarker, Bhakta Supratim;Rana, Md. Enayet Ullah;Bhowmik, Shuva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16-22
    • /
    • 201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ct aquaculture pond bottom soil nutrients,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a view to optimize production and to incorporate the scientific method of fish nursing, rearing and culturing at Noakhali district in Bangladesh.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recently dug ponds (1 - 5 years) and older ponds (> 5 years). Samples were taken from five different spots in a Z shape from each pond and were mixed to get a composite sample. The composite samples from the ponds were collected in polyethylene bags and shipped to the laboratory for analysis. The soil sample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organic carbon (OC), organic matter (OM), nitrogen (N), phosphorous (P), potassium (K) and sulfur (S). The average value of pH, OC, OM, N, P, K and S were $7.43{\pm}0.40$, $2.21{\pm}1.43%$, $1.47{\pm}0.53%$, $2.52{\pm}0.94{\mu}g\;g^{-1}$, $0.126{\pm}0.047{\mu}g\;g^{-1}$, $3.84{\pm}1.77{\mu}g\;g^{-1}$, $0.191{\pm}0.106{\mu}g\;g^{-1}$ and $306.72{\pm}222.05{\mu}g\;g^{-1}$ respectively, in Noakhali. The average EC, OC, OM, N and P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Subornachar than those in Sonapur. On the other hand pH, K and S were found to be higher in Sonapur than the values of Subornachar. The pH, EC, OC, OM, N and S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new ponds than old ponds whereas P and K cont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old pond than in new p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