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Chemical Property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7초

경상남도 산청군 밤나무 재배지의 조성 기간에 따른 토양 및 잎 양분 특성 (Soil and Leaf Nutrient Properties by Establishment Periods of Ches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Orchards in Sancheong-gun)

  • 김춘식;안현철;조현서;임종택;변재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37-1143
    • /
    • 2011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과 신안면의 20년 이상 밤나무재배지 17개소, 19년 이하 재배지 13개소 등 총 30개소를 대상으로 조성 기간에 따른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잎의 형태적 특성과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 중 토양용적밀도는 20년 이상 재배지가 $1.16g\;cm^{-3}$으로 19년 이하 재배지 $1.03g\;cm^{-3}$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토양 화학적 특성 중 토양 pH는 20년 이상 재배지의 토양 pH가 4.56으로 19년 이하 재배지 토양 pH 4.73에 비해 토양 산성화가 심하였으나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칼륨 함량은 조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또한, 잎 면적, 잎 건중량, 잎 내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함량도 조성 기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밤나무재배지의 토양특성 중 조성 기간은 토양용적밀도 같은 물리적 특성에 변화를 초래하지만 토양 화학적 특성과 잎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상구비 시용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ttle Slurry on the Soil Charaters and Production of Forage Crop)

  • 전병태;이상무;김재영;오인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2-60
    • /
    • 1995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level of cattle sluny(T1:150, T3:250, T53.50 kglha) and chemical fertilizer(T2:150, T4:250, T6:350 kg/ha)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chemical soil property of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Moench].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stem diamet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level of cattle slurry and chemical fertilizer. Especially, T6 treatment was the highest as 11.1 mm, while T1 treatment w a the lowest as 0.3 mrn. According to the same level of nitrogen application, cattle slurry treaunent(T1, T3 and T5) were showed a lower mean stem hardness than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T2, T4 and T6). Especially, T3 treatment was the softest at 0.7 kg/$cm^2$. The dead stubble and tiller number were increased by increasing nitrogen level of cattle slurry and chemical fertilizer(P

  • PDF

호남평야지에서 SCB 액비 분시가 쌀 수량과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lit Application of SCB Liquid Fertilizer on Rice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y in Honam Plain Field)

  • 이상복;조광민;양창휴;오영진;박태일;김기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40-145
    • /
    • 2011
  • 벼에 대한 SCB 액비의 활용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기 추 비 시용량을 달리 처리한 후 쌀 수량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논토양의 화학성은 규산을 제외한 액비시용구가 무시용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시험 전 후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액비시용 후 토양 중 $NH_4$-N함량은 2일 이내 균평작업으로 논 전체에 균일한 농도를 유지하였다. 액비분시에 따른 토양 중 $NH_4$-N와 $NO_3$-N함량은 이앙 후부터는 초기에는 화학비료 관행시비구와 액비 기비 100%처리에서 높았으나 분얼감수기 이후에는 모든 처리가 유사하였다. 토양침출수중 $NO_3$-N함량은 액비기비70%+수비30%시용에서 관행시비구보다 약간 낮은 함량을 보였다. 액비 분시에 따른 쌀 수량은 관행시비구보다 액비 기비 100%처리에서 약간 낮았으나 액비 기비70%+수비30%에서 관행시비구와 대등하였으며 나머지 액비 처리구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쌀 품위는 무 시용구와 액비 기비100%에서 완전립율이 높고, 단백질함량이 낮았으나 액비기비70%+수비30%에서 관행시비구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SCB액비를 이용하여 벼 재배할 경우 액비기비70%와 수비30%시용으로 화학비료 사용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밀농업 구현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Construction of a Spatial Database for Realizing Precision Farming)

  • 조성인;장영창;여운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7권2호
    • /
    • pp.161-172
    • /
    • 2002
  • Database as a supporting system for decision-making is one of essential parts for realizing precision farming. Application models on constructing a database for precision farming, including collection of spatial and attribute data, were suggested using a GPS, DXF files, AutoCAD, a Java application program and PostgreSQL DBMS in this study. The constructed spatial database based on the schema design of spatial and attribute data table was evaluated as a supporting system for decision-making by a simulation of a virtual variable-rate chemical applicator. The applicator could extract the values of soil property at its consecutive location in the tested fiel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structed database, and prescribe the corresponding variable-rate of chemical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 constructed database can function a supporting system for decision-making for precision farming.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s of an Organic Fertilizer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Amended with N) on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 임선욱;류진창;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1979
  •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토양(土壤)에서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대풍표(大豊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져 포장(圃場)과 실내(室內)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가. 시험포장(試驗圃場)의 비옥도(肥沃度)가 높아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나 무우의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한 영향(影響)은 못 미쳤다. 이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던 때문인 것 같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특(特)히 배추의 가리농도(加里濃度)를 높게 했으며, 무우의 경우(境遇) 엽중(葉中) 가리농도(加里濃度) 증가(增加)는 무우의 엽(葉)/근(根) 비(比)를 낮게 했고 낮은 엽(葉)/근비(根比)는 근중(根重)을 낮게한 경향(傾向)이었다. 2.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공극율(空隙率)을 높이고 가비중을 낮게 하여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을 개선(改善)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내수성(耐水性) 대립단(大粒團)의 발달(發達)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과 토양총질소(土壤總窒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나 1 회시용(回施用) 으로는 그 증가량(增加量)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게 하는 경향(傾向)인데 이는 이 비료중(肥料中)의 질소(窒素)가 유안(硫安)의 형태(形態)로 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3. 본(本) 비료(肥料)는 유기물(有機物)과 질소(窒素)를 함유(含有)하는 비료(肥料)이므로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낮은 척박지 에서 효과(效果)가 기대(期待)되며 그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는 시험(試驗)이 바람직하다.

  • PDF

동적전단시험을 이용한 토목섬유-흙 접촉면에 대한 교란도함수의 확률특성 분석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isturbed Function for Geosynthetic-Soil Interface Using Cyclic Shear Tests)

  • 허정원;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1호
    • /
    • pp.81-91
    • /
    • 2012
  • 이 논문은 폐기물 매립지에 사용되는 차수시설로서 토목섬유-흙 시스템의 접촉면에 대한 동적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제안된 교란도함수의 확률적 특성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우선 다기능 접촉면 전단시험기(M-PIA)에 의한 다수의 시험자료를 활용하여 토목섬유-흙의 접촉면에 대한 교란도함수 모델의 매개변수를 보정하고 그 통계특성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화학적인자와 상재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교란도함수의 확률적 특성분석을 위하여, 산정된 A와 Z의 통계특성과 매우 효율적인 샘플링기법인 LHS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교란도함수 모델의 확률적 특성인 평균, 변동계수 및 분포형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xi}_D$의 수준에 따라 교란도함수의 변동성은 약 최소 10%에서 최대 28% 정도로 나타났으며, 분포형태는 대부분의 ${\xi}_D$수준에서 Weibull 분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획득한 교란도함수의 확률특성을 활용하면 향후 접촉면 전단강도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정량적으로 명확하게 고려할 수 있는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기법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폐지를 이용한 기능성 육묘지의 제조(제2보) - 육묘지 적성 시험 - (Development of multipurpose seed paper from waste paper(II) - Focused on field test of manufactured seed paper -)

  • 엄태진;박성배
    • 펄프종이기술
    • /
    • 제39권1호
    • /
    • pp.30-37
    • /
    • 2007
  • The seed paper was used in farm field recently for a sound young plant. The most of seed paper are made of synthetic non-woven sheet.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bio-degrade in soil and is very hard to have some special function, for example keeping herbicide and/or insecticide activity because of its lack of chemical acceptabi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manufacture of seedling paper which have a function of herbicide activity from waste paper. The fiber properties from waste paper were remarkably improved by fine removal with washing and/or flotation process. The paper-making ability for seed paper was enhanced with enzyme treatment of secondary fibers. The paper for seedling must have a good bio-degradation ability in soils. The absorption amount of chemical like as dithiopyr was increased remarkably in enzyme treated base paper. The embossing treatment of base paper was very effective for seed attachment and chemicals retention. And also, the developed seed paper showed a good penetration property of young root through embossed paper.

Pnenanthrene-오염토양의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서 제거효율에 대한 황산염원의 영향 (Effect of Sulfate Source on Removal Efficiency in Electrokinetic Bioremediation of Phenanthrene-Contaminated Soil)

  • 김상준;박지연;이유진;양지원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28-432
    • /
    • 2006
  • 본 연구는 미생물이 오염물 분해를 위해 황산염이 필요한 동전기 생물학적복원에서 황산염원의 종류가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표오염물과 적용 미생물은 각각 phenanthrene과 Sphingomonas sp. 3Y였다. Magnesium sulfate를 이용했을 때 Mg이온은 음극에서 전기적으로 생성되는 수산화이온과 결합하여 전해질 pH를 크게 감소시키고 미생물활성을 저해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ammonium sulfate와 disodium sulfate를 이용했을 때 전해질 및 토양 pH가 중성영역으로 유지되었으며 미생물 활성도 높게 유지되었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 ammonium이 미생물의 오염물 분해를 지연시켜 제거효율이 오히려 magnesium sulfate의 21.8%보다 12.0%로 더 낮게 나타났으며, 반면 후자의 경우 27.2%로 제거효율이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제거효율의 차이는 장기간의 처리에서는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토양 박테리아로부터의 Pyrocatechase 에 관한 연구 (제1보). 효소정제와 특성연구 (Studies on Pyrocatechase from a Soil Bacterium (Ⅰ).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yrocatechase)

  • 정연보;이현재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3
    • /
    • 1980
  • 토양에서 분리한 Pseudomonadaceae 속 박테리아로부터 pyrocatechase를 추출, 분리 정제하였으며, 이 효소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pyrocatechase는 catechol에 대하여 기질 특이성을 보여줌을 알았다. 효소 활성도의 최적조건은 pH 7∼10 부근과 온도 $35^{\circ}C$임을 알았으며, catechol에 대한 $K_m$값은 $1.9{\times}10^{-6}M$ 로 얻어졌다. 기질 유도체에 의한 효소 저해 실험결과 벤젠 고리의 ortho 위치에 두개의 수산기는 효소-기질간의 결합반응에 참여될 것이라고 추측했다. 기타 SH-잔기와 작용하는 화합물 또는 중금속 이온등의 첨가에 따른 효소 활성도의 저해 효과를 검토 하였으며, 효소 활성부위에 대하여도 검토해 보았다.

  • PDF

축분 퇴비의 이화학적 특성과 발아지수를 이용한 부숙도 평가 (Evaluation of Compost Maturity by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ermination Index of Livestock Manure Compost)

  • 장기운;홍주화;이종진;한기필;김남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7-14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umification grade of compost, based on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phyto-toxicity during the composting with three kinds of livestock manures and saw dust. The ratios of the compost, which was mixed with pig manure(P) and sawdust(S) were 4 : 6(PS-1), 5 : 5(PS-2) and 6 : 4(PS-3); poultry manure(PO) and sawdust(S) were 4 : 6(POS-1), 5 : 5(POS-2) and 6 : 4(POS-3); cow manure(C) and sawdust(S) were 4 : 6(CS-1), 5 : 5(CS-2) and 6 : 4(CS-3) by volume to volume, and they were decomposed for 60 days. In the result, the temperature in all treatments during composting rapidly increased above $65.4^{\circ}C$,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around $40^{\circ}C$. At 60 day, after the treatment, pH 5.9 ~ 8.0 at the incipient stage increased to 7.6 ~ 8.5, and the C/N ratio was 13.8 ~ 21.1 at the final composting stage. Germination Index(G.I.) showed in the range of 75.1 ~ 94.6 in all treatments at day 60. Therefore, it is likely recommended to take the best humification grade when the temperature maintains above $65^{\circ}C$ longer than a day at minimum, in the range of pH 6.5 ~ 8.5 for the final compost, under 20 of C/N ratio, and G.I. above 80. The level of G.I. above 80 should be the mature compost which could be used in the field without gas demage to cr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