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palate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3초

가토의 치조열 모델에서 골수 흡인물이 자가뼈 이식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one Marrow Aspirate with Autogenous Bone graft for Alveolar Cleft in a new Rabbit Model)

  • 배성근;정호윤;이상윤;조병채;양정덕;박미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31-537
    • /
    • 2009
  • Purpose: Alveolar bone grafting has become an essential process in the treatmemt of alveolar cleft patient for stabilization of the maxillary arch, elimination of oronasal fistula, the reconstruction of the soft tissue nasal base support, and creation of bony support for tooth eruption for implant. The use of Autologous iliac cancellous bone is preferable because of the adequate quantity and high osteoinductive potential. However, even with iliac bone, insufficient osteoregeneration and absorption occur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age, cleft width, functional stress, and others. In order to increase osteoregeneration where the iliac bone is placed, the present study is associated with bone marrow aspirate (BMA). The experimental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osteoregeneration in normal cleft rabbits when alveolar bone grafting was performed with autologous iliac corticocancellous bone. Methods: Twenty - four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2 groups (BMA, control). All animals underwent harvesting of corticocancellous bone graft from the right posterior iliac crest via standard surgical technique. $1m{\ell}$ of BMA were obtained by scraping the needle and aspirate with $10m{\ell}$ syringe from the contralateral iliac bone wall. The muco - periosteal flap on the palate was elevated. A mixture of Equal bone's volumes with BMA and saline as its control was inserted into the cleft.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4, and 8 weeks and maxilla was harvested for dental peri - apical X-ray, bone matrix density (BMD),and histologic analysis. Result: BMD of regenerated bone to the cleft in the rabbi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rabbits. X-ray, histologic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osteoregeneration and low absorption rate were observed in the BMA group. Conclusion: Our experimental study showed BMA enhanced the osteoregeneration and survival rate of alveolar bone grafting. BMA is easy to extract & cost - time effective. So it can be an effective enhancers for bone grafting mixtures.

구강암과 구인두암의 절제술 후 전완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재건술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after Ablative Surgery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 조광재;천병준;선동일;조승호;김민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46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s: Surgical ablation of tumors in the oral cavity and the oropharynx results in a three dimensional defect because of the needs to resect the adjacent area for the surgical margin. Although a variety of techniques are available, radial forearm free flap has been known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is defect, which offers a thin, pliable, and relatively hairless skin and a long vascular pedicle. We report the clinical results of our 54 consecutive radial forearm free flaps used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x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offered intraoral reconstruction with a radial forearm free flap after ablative surgery for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from August 1994 to February 2003 and analyzed surgical methods, flap survival rate, complication, and functional results. Among these, 20 cases were examined with modified barium swallow to evaluate postoperative swallowing function and other 8 cases with articulation and resonance test for speech. We examined recovery of sensation with two-point discrimination test in 15 cases who were offered sensate flaps. Results: The primary sites were as follows : mobile tongue (18), tonsil (17), floor of mouth (4), base of tongue (2), soft palate (2), retromolar trigone (3), buccal mucosa (1), oro-hypopharynx (6), and lower lip (1). The paddles of flaps were tailored in multilobed designs from oval shape to tetralobed design and in variable size according to the defects after ablation. This procedures resulted in satisfactory flap success rate (96.3%) and showed good swallowing function and social speech. Eight of 15 cases (53.3%) who had offered sensate flap showed recovery of sensation between 1 and 6 postoperative months (average 2.6 month). Conclusion: The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might be an excellent method for the maximal functional results after ablative surgery of oral cavity and oropharyngeal cancers that results in multidimensional defect.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의 수술해부학 (Microsurgical Anatomy in Transoral Odontoidectomy)

  • 박관;이상구;조태구;남도현;이정일;김종수;홍승철;신형진;어환;김종현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309-316
    • /
    • 2000
  • 목 적 :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은 두개척추연결부위에 대한 접근법 중 중요한 수술법이나 수술상처의 문제나 수술후 뇌막염 등의 합병증의 문제점과 해부학적으로 익숙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를 위해 사체해부를 통한 미세해부학을 기술하고자 한다. 방 법 : 10구의 고정 혹은 비고정 사체두부를 이용하여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을 단계적으로 시행하였다. 각 두부는 두부 고정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며, 고속드릴과 수술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수술을 시행하며 각 단계별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 과 : 수술단계는 6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연구개, 후측 인두부, 근육조직, 골조직, 치상돌기 및 인대, 십자인대 및 경막으로 나눌 수 있다. 결 론 : 이 부위의 해부학적인 지식을 충분히 숙지하면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은 합병증을 피하면서 비교적 용이하게 두개척추연결부위의 다양한 병변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BSImP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양상 분석 (Characteristics of the Oropharyngeal Swallowing Impairment in Stroke Patient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 임익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36-44
    • /
    • 2019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들의 대표적인 후유증인 삼킴 장애의 양상을 14개의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소뇌 천막을 기준으로 천막상 병변의 소견을 보이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 49명 이었다. 삼킴 문제의 양상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생리학적 근거를 조사하기 위해 모든 피검자에게 비디오투시조영 삼킴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삼킴 장애 평가에는 삼킴 장애 프로파일(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이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뇌졸중 환자의 95.9%는 입술 조절기능에서 문제가 있었고 98%는 혀 조절 기능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환자의 57.1%는 음식물을 인두쪽으로 이동시키는데 문제가 있었으며 51%는 구강에 음식물의 일부를 남기는 증상을 나타내었다. 음식물이 인두족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일어나는 인두 삼킴 반사의 경우에는 89.8%의 환자가 지연된 삼킴 반사 증상을 보였으며 후두와 설골의 운동은 각각 42.9 %와 87.8% 환자가 문제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개는 환자의 18.4%가 이상 소견을 보였고 후두개의 경우에는 단지 4.1%만이 이상 소견을 보여 대체로 후두개 기능은 잘 보전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30.6%는 후두 폐쇄 기능에 문제가 있었고, 식도 근육의 경우에는 모든 환자(100%)가 이 근육의 상부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혀 기저부 움직임 또한 환자의 91.8%에게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두에 음식물을 남기는 증상도 91.8%의 환자에게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뇌졸중 환자의 삼킴 문제의 구체적 양상들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는 삼킴 장애 중재 및 치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치조신경 전달마취가 미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on Taste Threshold)

  • 안영준;김성환;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177-185
    • /
    • 2007
  • 치과치료와 관련한 의원성 손상이나 국소마취의 후유증은 미각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편측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하여 마취 전후의 미각기능의 변화를 정량 및 정성적으로 비교하여, 치과치료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하치조신경의 무감각증이나 감각저하로 인한 미각기능의 변화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대의 건강한 지원자 30명(남:녀=1:1, 평균연령 $24.0{\pm}1.8$세)을 대상으로 하여 피검자의 우측에 2% 염산리도카인을 사용하여 통법에 따라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하였다. 마취 전후 미각기능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였으며 국소적용법을 이용한 화학용액법으로 미각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를 위해 1M/l의 NaCl 및 sucrose 용액, 0.032 M/l의 구연산용액, 0.001 M/l의 염산키니네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미각강도는 9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검사는 구강내 8 부위, 즉 좌우측 혀 전방과 외측방, 유곽유두, 연구개에 대해 시행되었다. 편측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한 결과, 마취된 측의 혀 전방과 외측, 유곽유두에서 전기미각역치가 상승하고 짠맛, 단맛, 신맛, 쓴맛에 대한 미각강도 감소가 감소하였다.(p<0.05) 마취되지 않은 반대측의 혀 전방과 외측방에서도 짠맛과 단맛의 경우에 대한 미각강도가 감소되었으나(p<0.05), 전기미각역치의 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측의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는 마취가 된 혀의 1/2 부위에서 고삭신경과 설인신경에 영향을 주어 미각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반대측에서도 미각강도의 변화를 일부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기무라씨 질환, 5 예 보고 (REPORT OF EXPERIENCE WITH KIMURA'S DISEASE)

  • 설대위;박윤규;이광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6
    • /
    • 1989
  • 기무라씨 질환은 특히 두경부 부위에 피하 종괴를 일으키는 만성염증성, 증식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최근 치험하였던 본 질환 5 예를 한국외과 문헌에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기무라씨 질환은 크게는 ALHE(Angiolymphoide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은 증식된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과 혈관의 증식성이다. 이 질환은 이하선, 악하선 및 상부 경부 부위등에 흔히 종괴를 일으키며 이들 종괴들은 피하조직 뿐만 아니라 타액선과 상부 경부 임파선에까지도 파고 든다. 저자들의 증례 중 한명에서는 서혜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새로이 증식된 혈관과 동상들 (Sinusoids) 로 인하여 혈관 분포가 매우 풍부하였다. 저자들 증례 5 명의 평균 연령은 35세이었지만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38세 이하이었다. 남녀비는 3:2 이었으며 증상의 평균 기간은 5.2 년이었다. 전례에 있어서 말초 혈액 소견상 Eosinophilia 가 있었다. 전례에서 다발성 종괴들을 보였으며 가끔은 대칭적이기도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치료 양상은 수술만 시행한 경우와 수술 및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시행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고 수술과 방사선조사 경우가 2례이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수술,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및 방사선조사의 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무라씨 질환과 ALHE 질환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기무라씨 질환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구인두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for Carcinoma of the Oropharynx)

  • 박인규;김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95-103
    • /
    • 1996
  • 목적 : 구인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여 생존율, 치료 실패 양상 및 생존율에 미치는 요인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5년 3월부터 1993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구인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1세에서 73세로 중간값은 54세였으며 남자 47예 여자 6예였다. 조직학적으로 편평세포암종이 42예, 미분화암종 이 10예, 선양 낭성암종이 1예였다. 병기별 분포는 I기 2예, II기 12예, III기 12예, IV기 27예이었다. T1 7예, T2 28예, t3 10예, T4 7예, T병기가 불명확한 경우가 1예이었고, N0 17예, Nl 13예, N2 21예, N3 2예였다. 원발병소는 편도 36예, 설기저부 12예, 그리고 연구개 5예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가 25예, 유도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28예였다. 유도화학요법은 CF (cisplatln, 5-fluorouracil) 또는 CVB (cisplatin, vincristine, bleomycin) 약제로 1-3회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MV X선 및 8-10MeV 전자선을 이용하였고 방사선 치료선량은 일일 180-200 cGy씩 총 4500-7740 cGy로 중간값은 7100 cGy였다. 환자의 추적기간은 4개월에서 99개월로 중간추적기간이 21개월이었다. 결과 : 방사선치료 후 37예 ($69.8\%$)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16예 ($30.2\%$) 에서 부분관해를 보였다. 전체 환자에서 2년생존율은 $47\%$, 3년생존율은 $42\%$였고 중앙생존기간은 23개월이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 (p=0.004) 및 전체병기가 (p=0.02)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년 무병생존율은 $45.5\%$였고 T 병기 (p=0.03), N 병기 (p=0.04) 및 전체병기가 (p=0.04) 의미있게 무병생존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나이, 성별, 조직학적 소견, 원발병소, 방사선량 및 화학요법과의 병합치료는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를 보인 36예 중 추적조사가 가능했던 32예에서의 치료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8예, 원격전이가 4예로 주된 치료 실패 원인은 국소재발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N 병기, 7 병기 및 전체병기가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으며, 국소재발이 주된 실패 요인이 되고 있어 국소완치를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현재까지 구인두암의 치료는 방사선 단독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여겨지며 화학요법은 좀더 많은 비교 대조군 연구를 통해서만 역할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