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denture liner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5초

의치의 마무리와 연마법이 의치상 레진과 연성 이장재 간의 공극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inishing and Polishing Methods on the Gap between Denture Base Resin and Soft Liner)

  • 정승환;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4호
    • /
    • pp.325-335
    • /
    • 2008
  • 연성 이장재를 의치에 적용했을 때, 의치 변연부에서 나타나는 공극에 의한 문제점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 그래서 변연 공극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야 하고 특히 최종 과정인 마무리와 연마시의 변연 공극의 양상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계열의 연성 이장재인 $Molloplast-B^{(R)}$를 적용하였을 때, 의치와 연성 의치 이장재의 접합부에서 나타나는 공극의 양을 측정하고 연마 방법, 연마 방향이 변연 공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무리 방법과 연마 방법, 방향에 따라 군 분류를 하였고, 시편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위해 금속 틀을 방전 가공하여 제작하였고,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총 5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공극의 양은 120배 확대의 입체 광학 현미경상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부위를 측정하였고, 모든 측정치는 통계적 분석, 평가 하였다. 실험 결과, 각 분류에 따른 공극을 비교 했을 때, $Molloplast^{(R)}$-Cutter로 마무리 한 후 pumice와 tin oxide를 순행하여 연마를 한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FSQ-cross cut bur를 이용하여 마무리만 한 것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또한 연마를 할수록 공극의 양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방향에 따라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레진에서 연성 이장재 방향으로 시행하였을 때가 더 적은 값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삭제력이 우수한 버일수록 레진과 연성 이장재의 접합부에서 나타나는 공극이 커짐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연마를 시행 할수록 공극의 양이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접합부에서의 공극을 줄일 수 있는 마무리와 연마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부가적으로 최종 연마가 끝나고 공극을 막아 줄 수 있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marginal bone loss and patient satisfaction in single and double-implant assisted mandibular overdenture by immediate loading

  • Tavakolizadeh, Sara;Vafaee, Fariborz;Khoshhal, Masume;Ebrahimzadeh, Zahr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3호
    • /
    • pp.191-19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ronal bone level and patient satisfaction in 1-implant and 2-implant assisted mandibular overden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patients who had maladaptive mandibular dentures were treated in this study.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received 1 implant (Simple line II, Implantium, South Korea) in their mandibular midline and the second group received 2 implants in their B and D regions (according to Misch's category). If the primary stability of each implant was at least 60 ISQ, ball attachment was placed and denture relined with soft liner. After 6 weeks, retentive cap incorporated with hard acrylic resin. In the 6 and 12 months recalls, periapical digital radiograph were made and visual analogue scal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record patient satisfaction. The Friedman test was done for comparing the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parameters in each group and the U-Mann Whitney test (P<.05) was done for comparison of post-treatmen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ll implants achieved sufficient primary stability to be immediately loaded.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P>.05). In addition, mean marginal bone loss was $0.6{\pm}0.67$ mm in the first group and $0.6{\pm}0.51$ mm in the second group, after 12 month. Mean marginal bone lo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is preliminary one-year result indicated that mandibular overdentures anchored to a single implant can be a safe and cost-effective method as a starting step for implant-overdenture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