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 culture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2초

뚝새풀을 이용(利用)한 사과원 초생재배(草生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 (Alopecurus aegualis var. amurensis) in Apple Orchard)

  • 정재식;이재석;최충돈;정종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8-135
    • /
    • 1998
  • 뚝새풀의 초생재배(草生栽培)에 의한 사과원 잡초(雜草) 방제(防除)의 실용화(實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뚝새풀 발생(發生) 생태(生態)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 종자(種子)의 파종(播種) 시기별(時期別)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數)는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일(日)로 가장 짧았고, 11월(月) 25일(日) 파종(播種)에서 111일(日)이 소요(所要)되어 가장 길었으며, 출아(出芽) 소요(所要)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월(月) 15일(日) 파종(播種)이 $139^{\circ}C$로 가장 적었고, 8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988^{\circ}C$로 가장 많이 소요(所要)되었다. 2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생육양상(生育樣相)은 3월(月)부터 8월(月) 사이에 S자형(字型)의 생장곡선(生長曲線)을 나타내었고, 초장(長草)과 건물중(乾物重)이 3월(月) 중순(中旬)에서 4월(月) 중순(中旬)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月) 중순(中旬) 이후(以後)로는 증가율(增加率)이 거의 정체(停滯)되었다. 3. 뚝새풀을 초생재배(草生栽培)한 사과원에서 뚝새풀을 제외(除外)한 초종(草種)으로는 발생량(發生量)이 망초>왕고들빼기>냉이>꽃다지 순(順)이었고, 뚝새풀의 발생(發生)이 거의 없는 포장(圃場)에서는 냉이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왕고들빼기>망초>꽃다지 순(順)으로 발생(發生)되었다. 4. 뚝새풀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인 3월(月) 중순(中旬)에 뚝새풀의 우점도(優點度)가 90%정도(程度)가 되면 생육(生育) 후기(後期)까지 문제(問題) 잡초(草種)인 망초 왕고들빼기 냉이 등(等)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할 수 있었으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에 우점도(優點度)가 20%미만(未滿)이면 뚝새풀의 생육(生育) 성기(盛期)인 5월(月) 까지는 다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으나 이후(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초생재배(草生栽培)는 다른 잡초(雜草)들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시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성력화(省力化)와 하절기(夏節期)의 과다(過多)한 지온상승(地溫上昇)을 방지(防止)하여 과수(果樹)의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 PDF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액 침지 발아현미를 첨가한 머핀의 식품학적 특성 (Food Quality of Muffin with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Mycelial Culture Broth of Phellinus linteus)

  • 정경임;조은경;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75-884
    • /
    • 2011
  • 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상황버섯 침지발아현미 머핀의 식품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성분, 전분 가수분해율, 유리아미노산 조성, 구성아미노산 조성, 단백질 소화율, 단백질 효율비 및 이화학적, 기계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최적화 머핀은 대조구 머핀에 비해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총 당류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 머핀 330.913 mg/100 g, 최적화 머핀 270.992 mg/100 g이었고, 총 구성아미노산은 대조구 머핀 8.02 g/100 g solid(96.61 g/16 g N), 최적화 머핀은 7.15 g/100 g solid(106.51 g/16 g N)이었다. 전분 가수분해율은 대조구 머핀, 단백질 소화율과 단백질 효율비는 최적화 머핀이 높게 나타났다. 머핀의 중량은 최적화 머핀(p<0.01), 높이(p<0.01)와 pH(p<0.001)는 대조구 머핀이 높게 나타났다. 경도(p<0.05)와 씹힘성(p<0.05)은 최적화 머핀, 응집성(p<0.01)은 대조구 머핀이 높게 나타났으나 부착성, 탄력성, 검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향(p<0.05)과 맛(p<0.01)은 최적화 머핀이, 색(p<0.05)은 대조구 머핀이 높게 나타났으나 외관,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총 폴리페놀 함량(p<0.01), DPPH radical 소거능(p<0.01), SOD 유사활성(p<0.05)은 최적화 머핀이 높게 나타났다.

배 유기재배에서 녹비작물 재배에 의한 식물양분 환원효과 (Nutrient Contribution of Green Manure Crops in an Organic Pear Orchard)

  • 임경호;최현석;김월수;김선국;송장훈;조영식;최장전;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7-48
    • /
    • 2012
  • 본 연구는 유기재배 배 과수원에서 녹비작물 재배에 의한 식물양분의 환원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처리는 녹비작물 재배방법에 따라서, 1) 방임초생, 2) 겨울철 녹비작물 재배(호밀+헤어리베치), 3) 겨울철 녹비작물+여름철 녹비작물[그린솔고(수단그라스 품종($Sorghum$ $bicolor$ L.))+네마장황(클로타라리아 품종($Crotalaria$ $juncea$ L.))]으로 나누었다. 겨울철 녹비작물인 호밀과 헤어리베치는 각각 6.4kg/10a와 3.0kg/10a로 2008년 10월 17일에 파종하였으며, 여름철 녹비작물인 그린솔고와 네마장황은 각각 2.0kg/10a와 3.0kg/10a로 2009년 6월 4일에 전남 보성의 배 과수원 독농가에 처리하였다. 녹비작물의 건물중은 겨울+여름녹비작물>겨울녹비작물>방임초생 순으로 나타났다. 녹비작물의 건물중의 차이는 전질소와 인산 그리고 칼륨의 환원량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10-12년생 '신고' 배나무가 필요로 하는 질소와 인산 그리고 칼륨의 요구도에 비교해서 다소 많은 양을 공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과다한 무기성분 공급량은 토양의 유기물과 칼륨 그리고 마그네슘 농도를 적정농도 이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배나무의 영양상태의 지표인 잎의 무기성분은 녹비작물 연용에 따른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명자 추출물의 추출특성 및 항산화 효과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 나경민;한호석;예수향;김현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9-505
    • /
    • 2004
  • 결명자 추출액의 추출 특성과 추출액의 항산화성을 검토하여 결명자의 추출 조건을 결정함으로써 결명자 유효성분의 식품 소재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용매와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8배, 10배, 12배, 14배의 water를 가하여 추출 수율을 비교한 결과 water와의 비율이 10배일 때 추출 수율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탁도는 water 추출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추출용매의 ethanol 공노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적정산도는 추출용매의, 50% ethanol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산도가 매우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08{\sim}0.11mg%$, glucose $0.09{\sim}0.32%$, sucrose $0.08{\sim}1.26mg%$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50% ethanol 추출액에서 2.0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75% ethanol 추출액은 0.02%로 다른 용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50% ethanol에서 66.,39%로 나타나 다른 용매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는, 50% ethanol 추출액에서 50.5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었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50% ethanol 추출액이 다른 두 용매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처리된 무 추출물의 궤양성 대장염증 예방 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ated Radish Extract on the Prevention of Ulcerative Colitis Inflammation)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317-326
    • /
    • 2019
  • 본 연구는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표준치료제인 설파살라진과 비교하여 열처리된 무 추출물의 궤양성 대장염증의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쥐에 덱스트란나트륨설페이트(DSS)로 유도된 UC에 대한 설파살라진 투여군과 열처리된 무추출물 투여군에 대해 약리효능의 비교 평가를 알아보았다. Balb/c 마우스는 7일동안 식수에 5 % DSS를 투여하여 대장염을 유도하였다. DSS+ sulfasalazine(30 mg/kg), IV-DSS + sulfasalazine(60 mg/kg), 5-DSS +, V-DSS + 설파살라진(30 mg/kg) + 무우 엑기스 혼합물(30 mg/kg) (SRE). DSS 처리된 마우스는 심한 피의 설사 및 체중 감소와 같은 인간 UC와 유사한 증상을 보였다. 설파살라진 뿐만 아니라 SRE보충은 결장길이와 점막염증 침투를 억제하였다. 또한 SRE 치료는 MAPK와 nuclear factor-kappa B(NF-${\kappa}B$)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전염증 신호분자의 발현을 현저히 감소 시켰으며 결장의 세포 사멸을 예방하였다. 또한, SRE 투여는 SOD 및 카탈라아제를 포함한 항산화 효소의 상향 조절을 의미있게 만들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열처리된 무추출물과 설파살라진의 병용 투여가 sulfasalazin 표준과 매우 유사한 염증과 세포사멸의 억제. 열처리된 무추출물은 궤양성 대장염 유발에 의한 대장의 길이 감소와 조직학적 변화에 의한 대장 길이의 감소나 조직학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 하였다.

저염도에서 생육가능한 미생물 probiotics가 저염분 양식의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성장 및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salinity probiotics on the growth and non-specific immunity of whiteleg shrimp Litopenaeus vannamei cultured under low salinity conditions)

  • 배준성;이채원;양찬영;정은하;김은진;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5-151
    • /
    • 2020
  • 흰다리새우는 광범위한 염도(1-40 psu)에서 생존 가능하다. 하지만 염도의 변화, 특히 낮은 염도(1-5 psu)는 생존율, 비특이적 면역능 및 항병능과 같은 다양한 생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73일 동안 경구 투여 및 사육수 첨가를 동시에 수행한 뒤 성장, 비특이적 면역 및 질병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사육수의 염도는 주기적으로 소금을 첨가하여 3 psu를 유지하였다. 그 결과 73일간 사육 후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5.6 vs. 15.4%),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산과 phenol oxidase (PO) 활성의 유의성있는 증가가 확인되었다. 대조적으로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새우에서 Vibrio alginolyticus의 인위 감염 시험의 결과, 프로바이오틱스 처치구에서 약간의 폐사 감소가 관찰되었다(100 vs. 79%). 결과적으로 저염도(3 psu)에서 양식된 흰다리새우의 생산은 저염도에서 생존가능한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해 증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보성녹차 감압증류추출물의 주름개선, 미백 효능과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항균효과 (Wrinkle Improvement, Whitening Effect of Boseong Camellia sinensis Vaccum Distilled Extract and Antioxidant, Antibacterial Efficacy of its Hydrothermal Extract)

  • 이광원;홍정현;정선화;김영균;박신성;박수인;신문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845-855
    • /
    • 2021
  • 본 연구는 보성에서 재배된 녹차잎을 감압증류와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항주름, 미백, 항균 in vitro 실험과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성녹차 감압증류추출물은 주름개선(Elastase 활성 저해 실험)과, 미백(Mushroom tyrosinase 활성 저해 실험) 효능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열수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IC50 값이 측정되었다. 보성녹차 열수추출물은 항산화 시험(DPPH,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균 실험에서는 보성녹차 열수추출물에 의해 Staphylococcus aureus, Cutibacterium acnes 균주에 대하여 Clear zone이 형성되었다. HPLC 분석 결과로, EGCG와 Caffeine이 열수추출물에서 40.29 mg/g, 9.94 mg/g 검출되었고, 감압증류추출물에서는 Caffeine이 3.4 mg/g 검출되었다. 따라서 보성녹차 감압증류추출물은 주름개선과 미백효과가 탁월하며, 보성녹차 열수추출물은 항산화, 항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전통 생약재에서의 항노화와 주름 개선 활성 신소재 탐색 (Screening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to Develop New Materials for Anti-aging and Anti-wrinkle in the Skin)

  • 이상은;손동욱;윤여필;임태형;조자운;김현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7-152
    • /
    • 2005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개발에 있어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초학과 식품공전에 수재되어 있는 전통생약재에 대한 연구는 국내 화장품 원료개발의 중요한 부분으로써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부분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는 폐와 피부 질환에 사용되는 전통생약재 121종을 선별하였다. 이들 전통생약재 추출물들을 대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법과 SOD 활성 측정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주름 생성의 주 기전에 관련된 elastase 효소 억제 활성을 관찰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보이면서도 주름 형성관련 효소인 엘라스타제에 대한 억제 활성을 지니는 전통생약재 9종을 선별하였다. 항주름/피부탄력 활성을 나타내리라 사료되는 9종의 생약재에 대한 각각의 정상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효과를 나타내리라 여겨지는 0.1 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체피부 일차 자극 실험을 통해 피부자극 유무를 측정한 결과 피부자극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공전과 동의보감 자료에 의거, 폐와 피부질환에 관련된 전통생약재 121종 중 9종에 대해 항주름과 피부탄력에 관련한 향장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박 추출물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ung-pyun added with Ju-bak Powder)

  • 고연숙;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0-200
    • /
    • 2014
  •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jeung-pyun made with ju-bak powder were investigated. Jeung-pyun added with 10% ju-bak powder had a total polyphenol content of 54.27%,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91.98%, reducing power of 0.51% and SOD-like antioxidant activity of 18.21%. Jeung-pyun added with ju-bak powder had a moisture content of 52.65 to 46.94%, crude fat content of 1.61 to 1.29%, crude protein content of 3.50 to 4.66%, crude ash content of 0.68 to 0.82% and dietary fiber content of 0.12 to 1.46%. Ju-bak powder added with jeung-pyun had a pH level from 4.86 to 4.39. As ju-bak content increased, the pH decreased significantly. Color L value were 78.82 to 68.67. As ju-bak content increased, the Color L value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a value ranged from -1.89 to 0.69 and b value from 2.99 to 14.25. As ju-bak content increased, the color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As ju-bak content increased, the volume significantly decreased (ranged from 42.50 to 30.00 mL),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ohesivenes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SEM, as ju-bak content increased, the pores merged and collapsed, whereas the number of pores decreased and pore size became larger. Sensory evaluation of color, flavor, taste, texture, appearance, cell uniform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for various levels of ju-bak powder showed that 10% had the highest acceptability. Therefore, 10% ju-bak power added with jeung-pyun has both high antioxidant capacity and sensory acceptability.

난백분말을 첨가한 마카롱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acaron with the Addition of Egg White Powder)

  • 김민지;심기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9-281
    • /
    • 2017
  • In this study,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evaluated between the macaron with egg white powder added at the ratios of 2, 4, 6 and 8% and the macaron with added liquid egg white,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acaron with added egg white powder. The analysis of amino acids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8% of egg white powder added showed the highest total amino acid content of 7,584.20 mg/100 g. The group with 4% of egg white powder added showed the highest sweetness (p<0.01); whereas, and the group with 2% of egg white powder added showed the highest pH (p<0.001). In terms of the chromaticity, L (p<0.01) and a values (p<0.05)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percentage of added egg white powder. With the increasing percentage of added egg white powder, textures such as hardness (p<0.01), chewiness (p<0.05), gumminess (p<0.001), and cohesiveness (p<0.001) decreased; whereas, adhesiveness (p<0.001) and springiness (p<0.01)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macaron containing 6% white egg powder, in all item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egg white powder (p<0.001). Coll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macaron with the addition of 6% of egg white powder is the most suitable mixing ratio for enhancing the preference and quality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