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ket Interfac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56초

하악 임플란트 오버덴쳐에서 어태치먼트 종류에 따른 응력분포 (The Influence of Attachment Type on the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in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 성채련;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75-390
    • /
    • 2009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이공 사이에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4종류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하악 오버덴쳐를 제작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만들고 여기에 3가지 하중 조건을 가하여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 10.0을 이용하여 어태치먼트 종류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골과 보철물 및 임플란트와 골 사이 계면에 발생하는 최대 응력의 크기와 응력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하악골체의 전체적인 골격구조에서 치아 부분은 오버덴쳐로 모델을 형성하였고 오버덴쳐와 하악골 사이에 2mm 두께의 점막을 삽입하였다. 임플란트 오버덴쳐의 유한요소 모델은 ball and socket, Locator, magnet, bar의 각각 4가지 형태를 제작하였다. 고정체의 식립 위치는 양측 이공 전방이고, 경계 조건 중 고정점은 하악각 부위와 모형의 최후방 절점들을 고정점으로 설정하였다. 하중조건은 오버덴쳐의 좌측 제 2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편측 부위에 170N의 하중을, 좌 우측 제 2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양측 부위에 170N의 하중을, $90^{\circ}$수직 방향, $45^{\circ}$경사, 그리고 $0^{\circ}$ 수평 방향으로 가하였다. 결과 분석시 모든 하중방향에서 응력의 크기는 bar에서 임플란트나 오버덴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계면에서의 응력은 모든 어태치먼트에서 비슷한 응력분포가 나타났다. Ball and socket, Locator, magnet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응력의 분포도에서는 4종류의 어태치먼트 모두 임플란트 치경부에서 응력이 집중된 양상을 보였으며 bar타입에서는 bar의 중앙에 응력이 크게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응력분포의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태치먼트의 선정 시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설계와 선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Pull 및 Push 서비스 연구 (A Study of Pull and Push Service Based on Sensor Networks)

  • 김규리;김도현;변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289-1295
    • /
    • 2008
  • 최근에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Push와 Pull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Pull/push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Open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Push와 Pull 서비스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OpenAPI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ull 서비스와 Push 서비스를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Push 서비스와 Pull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Push 서비스와 Pull 서비스를 제공하는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웹 서비스 기반의 Pull 서비스 구조를 제시하고, .Net 프레임워크 기반의 원격 서비스(Remote Service)를 이용하여 센서 네트워크에 수집된 온도, 습도 등의 상황 데이터를 Pull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더불어 TCP/IP 소켓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Push 서비스 구조를 제안하고,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특정 데이터베이스 중심의 센서 네트워크의 폐쇄적인 응용 인터페이스를 개방적인 표준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여러 곳에 널려 있는 많은 상황 데이터를 쉽게 접근하여 확인할 것으로 기대한다.

DVCR용 2-4-8 DCT/IDCT core의 VSIA 2.2 compliant Soft-IP가공 (Implementation of VSIA 2.2 compliant Soft-IP about 2-4-8 DCT/IDCT core used for DVCR)

  • 민경욱;박보윤;이영호;정정화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2)
    • /
    • pp.157-16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DVCR용 2-4-8 DCT core의 VSIA(Virtual Socket Interface Allience) 2.2 compliant IP의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한 2-4-8 DCT/IDCT core는 Soft IP이며, VSIA의 deliverable document ver. 2.2에서 정의한 Soft-IP에 대한 72가지의 필수 항목, 조건부 필수 항목, 권고 항목 등의 전달물을 각 DWG(Development Working Group)의 사양에서 정의하고 있는 규격에 맞추어 가공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Soft-IP에 대한 VSIA 권고안 및 VSIA deliverable list에 대하여 기술하고, VSIA compliant IP화를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PDF

소켓 인터페이스의 바이너리 호환성을 제공하는 TCP/IP Offload Engine 용 Linux 커널 모듈 (Linux Kernel Module for TCP/IP Offload Engine Supporting Binary Compatibility of Socket Interface)

  • 오수철;김성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95-1198
    • /
    • 2006
  •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의 대표적인 통신 프로토콜인 TCP/IP 가 호스트 CPU 에서 처리되는데, 이는 호스트 CPU 에 많은 부하(load)를 발생시켜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TCP/IP 를 처리하는 TOE(TCP/IP Offload Engin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TOE 가 성공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는 운영체제용 커널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며, 커널 모듈은 기존의 TCP/IP 를 위한 소켓 인터페이스를 바이너리 수준에서 호환성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inux 시스템에서 소켓 인터페이스에 대한 바이너리 수준의 호환성을 제공하는 TOE 용 커널 모듈을 제안하고 개발하였다. 또한, 실험의 통하여 TOE 커널 모듈이 CPU 에 부하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PDF

지능형 PVR의 원격제어를 위한 홈 서버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home-server for intelligent Personal Video Recorder)

  • 손강선;오영호;장대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14-416
    • /
    • 2004
  • The intelligent PVR(Personal Video Recorder) is an enhanced PVR that provides viewers with some advanced features as well as pause, instant replay, search and skip forward found in conventional PVRs. By embedding a home server into a PVR, it is possible for an intelligent PVR to provide a powerful web-based management user interface constructed using HTML, graphics and other features common to web-browsers. When applied to other embedded systems, web technologies offer graphical user interfaces which are user-friendly, inexpensive, cross-platform and network-ready.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introduce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PVR which is control by internet. We present the architecture of an home- server with a simple but powerful web-based network interconnection.

  • PDF

PSO를 이용한 지능형 로봇의 원격 주행 제어 (Remote Navigation Control for Intelligent Robot Using PSO)

  • 문현수;주영훈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4-69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remote navigation control for intelligent robot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PSO).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interfaces for intelligent robot navigation and user interface in order to control the intelligent robot remotely. And communication interfaces using TCP/IP socket is used. To do this, we first design the fuzzy navigation controller based on expert's knowledge for intelligent robot navigation. At this time, we use the PSO algorithm in order to identify the membership functions of fuzzy control rules. And then, we propose the remote system in order to navigate the robot remotely. Finally, we show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controller and remote system through some experiments.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Integrated Bio-signal Management System Through Network)

  • 석주현;윤영로;윤형로;강동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63-26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Bio-signal Management System. (IBMS) using the network. IBMS is the system to manage the medical signals that measured from the each independent medical measurement system module. Each has a LAN Card. We developed the Network Application using Socket Library. Also, we developed the Graphic User Interface software for IBMS using Visual C++ on Windows 95.

  • PDF

A Real-time Remote Logging Model for Development of Location-Based Mobile Applications

  • Choi, Yun-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9-76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remote logging model for development of android applications using LBS(Location based Service). The model has two major parts: Mobile Log Management Service and Remote Log Server. Mobile Log Management Service consists of the log collector and the remote log manager. The log collector is an aspect of AOP which can collect logs from the target application without modifications of source codes. The remote log manager has a background service component so that it can receive logs whenever the log collector captures logs from the target application. Remote Log Server communicates with Mobile Log Management Service by socket interface. Therefore, Remote Log Server can show logs in real-time. To validat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odel, we show a case study, and compare the model with other models.

RFID와 연계한 인체자원관리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Intelligent Human Cell Management System with RFID)

  • 김기봉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311-316
    • /
    • 2013
  • 극저온 환경에서 인체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센서네트워크 장비들과 의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지능형 시료케이스의 RFID 태그를 다중으로 감지하는 기능을 위한 미들웨어와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유전자원업무 프로세스에서 나타나는 특정 업무를 복합기에서 수행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 지원을 위한 원격제어 UI 어플리케이션 설계 (Design of Remote Control UI Application for Support of Silver Generation's Smartphone Uses)

  • 유재형;윤종원;한창희;권명준;오창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9-711
    • /
    • 2018
  • 최근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보급이 증가하고 있으나, 낮은 학습 및 경험 수준, 이해도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 시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 지원을 위한 원격제어 UI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홈 화면에 피쳐 폰의 주요 기능들을 $3{\times}2$ 배열형태로 아이콘을 배열하여 빠른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Node.js 서버와 Socket 통신을 통한 원격제어를 제공하여 부수적인 기능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시, 원격 제어를 통한 사용 지원이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실버세대의 사용성과 이해도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