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elf concept

검색결과 470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비교 (Comparison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es's Image Before and After Convergence-based Nursing History and Culture Program in Nursing Students)

  • 임소연;김희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85-9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수행 전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충남지역에 위치한 B대학 간호학과 1,2학년 학생 29명이고, 2016년 5월 12일부터 2016년 6월 22일까지 6차례에 걸쳐 대상자에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 전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 정도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후에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의 하위항목인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인식, 간호의 전문성과 간호사이미지의 하위항목인 간호사의 역할 및 대인관계 항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이미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역사문화 융합프로그램이 간호전문직관 및 간호사이미지 향상을 위해 비교과프로그램으로 정착되고 다양한 개념으로 개발 될 것을 기대한다.

한국 도시민의 목적지향 성향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Scale of Korea Citizen's Intentionality out of Inborn Ability and Mission)

  • 손주환;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056-6065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도시거주자의 목적 지향성향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목적지향성향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종교적 학문적 연구를 참조하고 기존의 생산성이나 성공적 노화 또는 삶의 질 척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설문을 위해 57개의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목회자, 신학대학교수, 사회복지사 등의 축조심의를 거쳐 44개 문항으로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이후 응답자로부터의 효과적 설문을 위해 통계전문 교수와 중복조항 제거, 체계적인 연구 모델 수립을 위해 당해 전문 교수의 검토를 통해 문항을 수정하여 최종 27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380부를 수집한 후 요인분석을 한 결과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존재의 인지", "자율적 삶", "자기완성", "적극성", "수용성", "경제성" 등 6개의 하위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뢰도의 경우 Cronbach's ${\alpha}$값이 0.6 이상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이었다.

중증장애인의 근로욕구 및 실태조사를 통한 고용확대방안 (Desire for Work of Severely-disabled People and the Plan of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through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 이순희;박석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04-312
    • /
    • 2009
  • 최근의 사회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삶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장애영역 확대로 인한 장애인구의 증가와 가족구조의 변화 등에 따라 장애인 복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개념에 대한 변화와 자립생활에 대한 확산 그리고 무엇보다 장애인 인권의식 신장 등 장애인복지를 둘러싼 환경과 패러다임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노동권은 인간의 삶에 있어 생계는 물론이고 사회참여와 자아실현이라는 삶의 가치부여에 있어 아주 중요한 부분이며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인 자립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주시 중증장애인의 근로욕구 및 실태를 조사하여 향후 중증장애인의 욕구와 청주시특성에 맞는 일자리창출 및 중증장애인 고용 기회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니체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Nietzsche's Critical Theory of Justice)

  • 강용수
    • 철학연구
    • /
    • 제147권
    • /
    • pp.1-28
    • /
    • 2018
  • 이 글은 니체의 정의론의 차별성을 드러내기 위해 '힘에의 의지'라는 근본개념을 매개로 타자와 사회적 계약을 맺는 정치적 행위에 대한 내재적 분석을 시도하고 공리주의, 자유주의, 민주주의를 포함한 근대 국가의 정치 이념에 대한 비판을 다룰 것이다. 즉 '덕'이라는 보편적 진리의 이름 뒤에 감추어진 심리적인 층위들을 벗겨내는 '계보심리학'으로 정의의 자명한 가치의 지반을 파헤쳐 허구성과 오류를 밝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덕'에 근거한 자명한 정의 개념의 의미를 '비도덕적'일 뿐만 아니라 '도덕 바깥'에서 해체함으로써 보복이 아닌 사랑에 근거해 새로운 정서적 차원을 밝히려는 것이다. 니체가 정의를 권력관계의 역동성에서 분석하면서 그 가치의 개념을 복수, 보복, 원한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아니라 '자비'와 '용서'라는 긍정적인 감정에 근거지을 때, 법의 집행에서 예외규정을 허용함으로써 보편성과 일관성을 상실하지 않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폴리포니 필름으로 본 공간적 특성 연구 -영화 <라쇼몽>을 중심으로- (Study of Spatial Characteristics with Polyphony Film -Focused on the Movie Rashomon-)

  • 박기웅;김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55-162
    • /
    • 2019
  • 영화 라쇼몽에서 보여지는 캐릭터들의 목소리는 위기의 상황을 모면하기 위한 자의식이 빚어낸 기억의 부재이다. 등장인물들의 일치하지 않는 진술과 그 진술 속에 나타난 3가지의 전혀 다른 공간 나생문의 공간(폐허), 폴리포니로서의 재현 공간(숲속), 에고이즘적 진실의 공간(관아)은 당시 일본 국민들이 품고 있었던 전쟁의 패배로 인한 서로를 믿지 못하고 의심하는 사회적 병폐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문예 비평가 M.바흐친의 폴리포니 이론과 일맥상통한다. 폴리포니 이론의 주요 핵심은 서로가 일치하지 않는 목소리들이 조화되지 않는 상태로 불일치를 이루지만, 그 각각의 목소리들은 자신의 세계를 스스로 구축하며 창작자의 영역에서 벗어나 소설 속에 참여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흐친의 폴리포니 이론이 폴리포니 필름으로서 영화적 구성을 기능하게 하고 영화 <라쇼몽>에 나타난 폴리포니 필름의 공간특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여성의 웰빙 인식과 미용관리 성향 (Perceptions of Well-Being and Beauty Care Tendencies among Wome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 김현승;조성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32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erceptions of well-being and characteristics of beauty care tendencies among women,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 well-being and beauty management direction. Methods : The domains examined for perceptions of well-being included spirit-oriented, material-oriented, self-oriented, and appearance-oriented values. The domains examined for beauty care tendencies consisted of appearance interest, social factors, and beauty care behavior. A survey of 320 women was conducted. In the analysis of the data,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well-being and beauty care tendencies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beauty care tendencies. Results :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well-being among the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tended to be more aware of the mental aspects of well-being and seldom recognized well-being as having material aspects. Therefore, they recognized the concept of well-being as something mentally oriented.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beauty care tendencie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most greatly influenced by spirit-oriented values, and the more appearance-oriented values were emphasized, the more focus there was on beauty care.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well-being is a luxury, and traditional beauty care involving care of the mind and bo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f the beauty care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mentally oriented well-being.

메타버스에서 나타나는 주거의 의미, 유형 및 특성 연구 (A Study on Meaning, Typology, and Characteristics of a Home in the Metaverse)

  • 이지헌;차승현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91-103
    • /
    • 2022
  • 주거는 현실세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에 비해 메타버스의 주거는 다양한 메타버스 서비스 플랫폼들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다른 건축 유형들에 비해 관심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주거의 의미, 유형과 특성에 기초하여 현실세계의 주거 모델을 바탕으로 메타버스 주거의 개념을 확립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조사, 기존 주거 모델 분석, 메타버스 주거 사례 연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물리적, 사회적, 개인적 모델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주거 모델을 제시하였고, 물리적 모델의 공간 꾸미기 및 피난처 특징과 개인적 모델의 자기표현 특징을 메타버스 주거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특징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메타버스 가상세계 연구 및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 및 촉진을 위한 의학교육 현황과 고려점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 한희영;서보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2호
    • /
    • pp.80-89
    • /
    • 2021
  •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is an essential concept in professional education. Many scholars have explored conceptual frameworks of PIF and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advance an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in medical education.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unclear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nd assessment practices are actually implemented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Therefor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reporting educational practices for medical learners' PIF. We searched the Web of Science database using keywords and chose 37 papers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Most empirical papers (92%) were from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and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mixed methods (99%). The papers reported the use of reflection activities and elective courses for specific purposes, such as art as an educational activity. Patient and healthcare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a central theme in medical learners' PIF. Through an iterative analysis of the key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PIF studies, we derived the following key concepts and implications: (1) the importance of creating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environments, (2) ordinary yet authentic patient experiences, (3) a climate of psychosocial safety in a learning environment embracing individual learners' background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4) the reconceptualization of PIF education and assessment. In conclusion, research on PIF should be diversified to include various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eoretical frameworks should also be diversified and developed beyond Kegan's developmental framework to accommodate the nonlinear and dynamic nature of PIF.

오프라인 영화 관람객의 가치 인식 유형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 구매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d Image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Multiplex Cinemas according to the Types of Value Perceptions of Offline Movie Viewers)

  • 이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94-504
    • /
    • 2021
  • 넷플릭스를 대표하는 OTT(Over-The-Top) 서비스의 확산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현상은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에 있어 전반적인 악재로 작용했다. 이에 더해 디지털 시프팅(Digital Shifting) 현상이 가미되며 국내 오프라인 영화관은 새로운 성장의 판로를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소비자의 가치 인식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여 소비자의 가치 인식 유형에 따른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와 구매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총 350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표집한 뒤, 연구 모형에 따른 실증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프라인 영화 관람객의 가치인식 유형 중 실용성이 브랜드이미지 구축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충실성이 오프라인 영화 관람의 구매 만족도에 대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오프라인 영화관의 브랜드이미지는 영화 관람객들의 구매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오프라인 영화관의 뉴노멀 시대 속의 새로운 생존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Teeth, Salivary Flow Rat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 Lee, JooHee;Jung, Hyo-Jung;Min, Yong-Guang;Ahn, Hyung-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6권4호
    • /
    • pp.131-135
    • /
    • 2021
  • Purpose: Depression is a condition that weakens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reduces quality of life. In Korea,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s 29.2% and depression is a considerable public health concern for the elderly. Depress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ral conditions such as number of teeth and salivary flow rat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 is the concept including subjective evaluations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aspects of oral health. Tooth loss and hyposalivation can affect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r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number of teeth, salivation,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We recruited 100 participants, aged over 65 years, and assessed their number of teeth,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ll participants filled out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OHIP-14) and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ore (SDS) for checking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R program. Results: We fou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HIP-14 and SDS after Mann-Whitney test (p=0.03). The lower SDS group had an OHIP-14 median score of 4.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SDS group had a median value of 7.5. The other factors (number of teeth and salivary flow rate) did not show correlations with OHIP-14 or SDS. Conclusions: OHRQoL and depressive symptoms have significant co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