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identification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35초

온라인 공동체 이용의도의 영향요인 - 대학생의 인식을 중심으로 - (The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Online Community - Based on Undergraduates' Perceptions -)

  • 김구
    • 정보화정책
    • /
    • 제18권2호
    • /
    • pp.23-48
    • /
    • 2011
  •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공동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적 영향, 온라인 공동체 일체감, 온라인 공동체 이용에 대한 의견 그리고 유용성 인식 등을 중심으로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대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공동체 웹사이트는 싸이월드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밖에 카페, 블로그, 페이스북 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념적 제안모델에서 제시된 사회적 영향은 주관적 규범과 분류되었으며, 사회적 영향은 유용성 인식에 유의적인 변수로 확인되었고, 주관적 규범은 온라인 공동체 일체감과 유의적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변수간의 경로관계에 있어서 온라인 공동체 일체감과 유용성 인식은 온라인 공동체 이용의도에 대해 온라인 공동체 이용에 대한 의견을 매개한 간접효과로써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공동체 이용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공동체 일체감을 강화하고, 유용성 인식 수준을 높이는 것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온라인 공동체 이용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Neuroscience and the Social Powers of Narrative: How Stories Configure Our Brains

  • Armstrong, Paul B.
    • 영어영문학
    • /
    • 제64권1호
    • /
    • pp.3-24
    • /
    • 2018
  • Stories are important instruments for configuring our cognitive and social worlds, but they do not necessarily make us more caring or less aggressive and self-involved. The ability to tell and follow a story requires cognitive capacities that are basic to the neurobiology of mental functioning, and so it would stand to reason that our experiences with stories would draw on and re-shape patterns of interaction that extend beyond the immediate experience of reading or listening to a narrative. Our intuitive, bodily-based ability to understand the actions of other people is fundamental to social relations, including the circuit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a configured action emplotted in a narrative and the reader's or listener's activity of following the story as we assimilate its patterns into the figures that shape our worlds. The activity of following a narrative can have a variety of beneficial or potentially noxious social consequences, either promoting the shared intentionality that neurobiologically oriented cultural anthropologists identify as a unique human capacity supporting culturally productive collaboration, or habitualizing and thereby naturalizing particular patterns of perception into rigid ideological constructs. The doubling of "me" and "not-me" in narrative acts of identification may promote the "we-intentionality" that makes socially beneficial cooperation possible, or it can set off mimetic conflict and various contagion effects. Neuroscience cannot predict what the social consequences of narrative will be, but it can identify the brain- and body-based processes through which (for better or worse) stories exercise social power.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 기부자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와 경제형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Image, Trust and Respons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on Continuing Sponsorship of Private Donor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Moderation Effect of their Financial Status)

  • 이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58-270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이 개인후원자들의 후원지속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그리고 경제형편 수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기초한 주요 변수들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개인 후원자들의 경제수준과 상관없이 사회복지조직에 대한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은 후원지속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경제형편이 좋은 집단의 경우, 조직 이미지, 신뢰성, 반응성은, 조직동일시에 각각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고, 조직동일시는 후원지속성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다. 조직동일시를 완전매개로 하여, 조직이미지, 신뢰성, 반응성 등이 각각 후원지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반면, 경제형편이 좋지 않은 경우는, 조직이미지와 신뢰성만 조직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후원자들의 경제형편 수준에 따라 후원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 간접효과가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되어, 경제형편의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잠재평균 분석결과, 경제형편 수준에 따른 주요변인들의 차이는 후원지속성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평균값, .197, Cohen's D=.779). 개인 기부자들의 후원기관에 대한 동일시가 후원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면서,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관계혜택과 브랜드 동일시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브랜드 동일시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Relational Benefits and Brand Identity : mediating effect of brand identity)

  • 방정혜;정지연;이은형;강현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155-175
    • /
    • 2010
  • 본 연구는 관계혜택과 브랜드 동일시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온 관계 혜택과 브랜드 동일시를 함께 고찰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관계 혜택과 브랜드 동일시는 각각 충성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왔으나, 그들 간의 관계를 함께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으로는 카드산업에서 관계혜택이 중요한 전략적 요소인 동시에 최근에는 브랜드 개성과 이미지를 카드에 연결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 혜택과 충성도와의 관계를 브랜드 동일시가 매개할 것으로 보고 그 영향을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관계혜택 차원, 즉 확신적 혜택과 특별대우혜택이 개인적 동일시와 사회적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적 동일시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확신적 혜택은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기업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평가 및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북경지역과 삼성/농심제품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Korean Compan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Evaluation of Korean products and Behavioral Responses -In terms of Beijing region and Samsung/Nongshim product-)

  • 윤성환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1호
    • /
    • pp.189-217
    • /
    • 2009
  •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와 기업 간의 동일시정도가 한국제품에 대한 평가와 소비자의 행위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다. 또한 기업-소비자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기업의 능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이라는 두 가지 기업이미지 변수를 선정하고 이들이 기업-소비자 동일시 정도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함께 분석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능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은 전반적으로 기업-소비자 동일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기업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기업-소비자 동일시는 한국제품에 대한 평가에, 한국제품에 대한 호의적인 평가는 중국 소비자들의 행위적 반응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소비자와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업의 능력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는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온라인게임 애호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g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Relationships Among Determinants of Loyalty in Online Games)

  • 엄명용;권문주;변완수;김태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3-9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loyalty in online games.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factors explaining the loyalty level from gamers, employing social identification, flow, and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as major research variables, and collected 1308 survey responses from gamers. Within the context of arguing that the exploration of age range issues with respect to online games is important,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age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To this end, the structural model was tested with the data from entire data sample (i.e., the age of 10s, 20s, and 30s pooled together) and each of the subsamples (i.e., teens taken separately, twenties taken separately, and thirties taken separately). Properties of the causal paths, including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in the hypothesized model, are also presented, so that we can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s of different dominants, demonstrating how teens, twenties, and thirties differ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regarding the flow, social identification and loyalty from online games.

TsCNNs-Based Inappropriate Image and Video Detection System for a Social Network

  • Kim, Youngsoo;Kim, Taehong;Yoo, Seong-eu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8권5호
    • /
    • pp.677-687
    • /
    • 2022
  • We propose a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ree-structur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sCNNs) that finds pornography, propaganda, or other inappropriate content on a social media network. The algorithm sequentially applies the typical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in a tree-like structure to minimize classification errors in similar classes, and thus improves accuracy. We implemented the detection system and conducted experiments on a data set comprised of 6 ordinary classes and 11 inappropriate classes collected from the Korean military social network. Each model of the proposed algorithm was trained, and the performance was then evaluated according to the images and videos identified. Experimental results with 20,005 new images showed that the overall accuracy in image identification achieved a high-performance level of 99.51%,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reduced identification errors by the typical CNN algorithm by 64.87 %. By reducing false alarms in video identification from the domain, the TsCNNs achieved optimal performance of 98.11% when using 10 minutes frame-sampling intervals. This indicates that classification through proper sampling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computational burden and false alarms.

A Simple and Fast Anti-collision Protocol for Large-scale RFID Tags Identification

  • Jia, Xiaolin;Feng, Yuhao;Gu, Ya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460-1478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nti-collision protocol for large-scale RFID tags identification, named Bi-response Collision Tree Protocol (BCT). In BCT, two group of tags answer the reader's same query in two response-cycles respectively and independently according to the bi-response pattern. BCT improves the RFID tag identification performance significantly by decreasing the query cycles and the bits transmitted by the reader and tags during the identification. Computation and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BCT improves the RFID tag identification performance effectively, e.g. the tag identification speed is improved more than 13.0%, 16.9%, and 22.9% compared to that of Collision Tree Protocol (CT), M-ary Collision Tree Protocol (MCT), and Dual Prefix Probe Scheme (DPPS) respectively when tags IDs are distributed uniformly.

기업연상이 소비자의 자아연관성과 개별브랜드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dividual Brand Loyalty and the Self-Corporate Connection Induced by Corporate Associations)

  • 최낙환;박덕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5-15
    • /
    • 2011
  • 이 연구는 기업연상의 유형을 기업능력연상과 사회적 책임연상으로 구분하고, 기업연상의 유형에 따라 기업과 연관되는 소비자의 자아 유형이 다르며, 기업과 소비자의 자아와의 연관성이 기업의 개별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기업능력연상이 자신의 능력이나 개인적 성공의 관점에서 자신의 개인적 자아와 연관성을 형성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연상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관련된 소비자의 사회적 자아와의 연관성을 형성함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개인적 자아 및 사회적 자아와의 연관성은 기업과의 동일시를 유도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인적 자아연관성은 기업의 개별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또 동일시를 통하여 개별 브랜드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침을 탐색하였다. 그런데 사회적 자아연관성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동일시를 통하여 개별 브랜드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침을 탐색하였다.

  • PDF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Role of Facebook in Universities

  • NGUYEN, Thi Nguyet Dung;NGUYEN, Thi Thu Huong;NGUYEN, Thi Phuong Anh;NGUYEN, Thi Thu Huong;VU, Thi Phuong Thao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5호
    • /
    • pp.75-84
    • /
    • 2022
  • Purpose: The paper employ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social identity theory, social presence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to propose a model for using the social media platform Facebook in distributing information in univers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ata were obtained from 618 students at Hanoi University of Industry (HaUI) in Vietnam. The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PS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AMOS version 24 to explore the information distribution role of Facebook. Results: Findings reveal that subjective norms and social presence play a key role in driving students to use Facebook for studying. In addition, university administrators can boost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Facebook. Interestingly, students who strongly identify with the brand name of the university have a strong connection with the university are more likely to engage in behaviors supportive toward the university. Conclus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Facebook had played a key information distribution role in universities. Thus, the study provides the executive board of the university and teachers can gain new understanding of why students employ Facebook for studying as well as capitalize on the platform to improve several operational metrics such as brand identification, student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