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anxiety

검색결과 1,098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청년기 성인의 정신건강과 구강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tal Health Levels and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 in Some Adolescents)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81-387
    • /
    • 2020
  •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 수준, 평소 구강 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청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4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 영역의 정신건강 수준은 삶의 만족도(p<0.001)와 주관적 건강 상태(p<0.001), 외상 경험(p<0.01)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치료 경험자는 사회적 부적응 영역(p<0.05)의 정신건강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증상은 여성(p<0.05), 음주자(p<0.01), 외상(p<0.01)과 턱관절 치료 경험자(p<0.0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건강 수준(p<0.001), 구강 습관(p<0.001)과 턱관절 증상(p<0.001)은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구강 습관(p<0.001)이 턱관절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상(p<0.05)과 턱관절 치료 경험(p<0.001)도 턱관절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턱관절 증상을 치료 시 구강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신건강 상담치료와 평소 생활습관의 개선 노력을 병행하여 턱관절 건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화기계 암환자의 국내 간호연구 분석 (Analysis of Cancer Nursing Research in Digestive System in Korea)

  • 손수경;한영인;김경희;윤수정
    • 종양간호연구
    • /
    • 제5권1호
    • /
    • pp.52-62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centering on the theses to cancer nursing research in digestive system released in Korea. Method: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academic degrees and theses published on the book of the academic soceity from January 1993 to August, 2004, and examined 38 domestic papers of cancer nursing research in digestive system. Results: 1) As for the subject, the results were :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25(66%), colon cancer 4(11%), rectal cancer 3(8%), and others(taxi drivers 2, family of cancer patents. 2) As for the research designs the result were : quantitative studies were 33(87%),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9(23%). 3) As for key concepts of survey, the results were : life patterns of patients with rectal cancer, oral intake of stomach cancer patients, fatigue of stomach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nursing needs when discharging from hospital after operation with gastrectomy, and so on. 4) As for the comparative studies, the results were : risk factors between colorectal patients and general population, early symptom and risk factors between stomach cancer patients and general population, and risk factors between stomach cancer and patients with gastritis. 5) As for main concepts of correlational studies, the results were : quality of life, health belief, fatigue, health promotion behavior, social support, straitanxiety. 6) The treatment of experimental research, the results were : information services, arc reflex massage, acupressure, educational program for discharge, 7)As for the qualitative studies, in terms of subjects, stomach cancer patients were 2, spouse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was 1, rectal cancer patients were 2. In the theme of the qualitative studies, the results were: experience of family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experience of long 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rectal cancer, experience of disease process of rectal cancer patiens. 8) As for the used instrument in studies, the results were : Strait-anxiety Scale by Spielberger, Nausea and Vomiting Scale by Rhodes, Social support by Tae and Lee, Health belief by Champion, Becker, and Moon. QOL by NCCN, Roh, Pdilla, Kwon, Revised Fatigue Scale by Piper, Health Locus of Control by Wallston and Wallston, Uncertainty Scale by Mishel. Conclusions: More research needs to be encouraged in various subject of cancer patients in digestive system. More nonexperimental and experimental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s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providing good quality of care for cancer patients.

  • PDF

다면재활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다차원 심리상태, 역량강화, 직업복귀준비 및 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ultifaceted Intervention Program on Multi-Dimensional Psychologic Condition, Empowerment, Work Readiness, and Functional Capacity in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 노동희;송문희;조은주;강성구;김경화;감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93-301
    • /
    • 2018
  • 본 연구는 다면재활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다차원 심리 변화와 역량강화, 직업복귀준비 및 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3월부터 9월까지 경남 창원에 위치하는 C병원에 입원한 산업재해근로자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다면재활프로그램으로는 주 2회 2시간씩 8주 동안 희망찾기프로그램과 주 5회 3~4시간씩 8주 동안 작업능력강화프로그램을 병행 실시하였다. 이 때 중재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다차원 심리검사, 역량강화척도, 직업복귀준비도 및 작업능력평가를 실시하여 윌콕슨부호순위검정으로 전 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차원 심리검사에서 불안, 우울, 신체화,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p<.05), 분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역량강화척도와 직업복귀준비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작업능력평가에서는 바닥에서 허리높이로 들기, 허리에서 어깨높이로 들기, 바닥에서 어깨높이로 들기, 옮기기, 밀기 및 당기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는 사회심리적 요소와 신체적 측면을 함께 고려한 다면재활프로그램이 산업재해근로자의 직업복귀에 있어서 다차원 심리의 긍정적인 변화, 역량강화, 직업복귀준비 및 작업능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직업재활의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안한다.

월경 전기 평가서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 PAF)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 청소년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the Reliablility and Validity of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in Adolescents)

  • 조숙행;이현수;곽동일;고승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1호
    • /
    • pp.21-36
    • /
    • 1996
  • 본 연구는 월경전기 평가서(PAF)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모 여고생 300명을 대상으로 PAF를 실시하여 검사 실시 상의 신뢰성이 의심되는 것을 제외한 250명 중에서 월경전기에 불편감을 느끼는가라는 질문에 예라고 응답한 230명의 자료에 대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피험자의 평균 연령은 $16.8{\pm}30.71$세, 초경연령은 $13.1{\pm}61.12$세였다. PAF 95문항의 평균과 반응빈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문항에 골고루 응답되어 PMS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한국 청소년의 주된 월경전기증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는 21개 문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의 내적 일치도는 ${\alpha}=.95$로 상당히 높아 문항의 동질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80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검사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인분석 결과 충동성 및 불안정성 요인, 우울 요인, 철수 및 사회적 기능 손상 요인, 불안 및 인지기능 손상 요인, 신체생리적 변화 요인, 전반적 불편감 요인, 안녕감 증가 요인, 기타요인의 8개 요인구조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타당도 연구에서는 추출된 하위 요인구조 들이 월경전기 증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신뢰도 연구 결과도 만족스러운 수준을 보여 PAP가 월경전기 변화를 선별평가 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논의에서는 요인분석에 의한 분류체계를 Halbreich등(1982)의 주관적 평가기준에 의해 만들어진 형태학적 분류와 비교하여 보았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 PDF

영화 속 '고귀한 야만인 Noble Savage'에 대한 연구: <정글북>과 <타잔>을 중심으로 (A Study on "Noble Savage" in Films: Focused on The Jungle Book and Tarzan)

  • 이윤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4호
    • /
    • pp.219-235
    • /
    • 2014
  • '고귀한 야만인'이란 계몽주의 시대를 풍미했던 이상화된 인간 본성의 전형으로서, 문명의 때가 전혀 묻지 않은 채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서 자연과 하나가 되어 살아가는, 순수하며 고결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야생 아이로 자라나 고귀한 야만인이 된다는 설정은 주인공을 가장 극단적으로 문명과 격리시키기 위한 장치로, 19세기 이후 나타났다. <정글북>과 <타잔>은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 받았던 허구적 야생 아이/고귀한 야만인 캐릭터로, 소설의 성공에 힘입어 20세기 초부터 시각화되어 왔으며 현재까지도 영화나 TV 시리즈 등으로 반복하여 재생산되고 있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고귀한 야만인 캐릭터들은 알포트와 포스트먼이 주장했던 정보의 평탄화, 첨예화, 동화 과정이 강하게 일어나 있는 경향을 보이는데, 영화라는 매체 자체가 대중에게 쉽게 이해되어야한다는 상업적인 속성이 강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애니메이션 방식으로 만들어진 영화는 평탄화, 첨예화, 동화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업적 영화는 사회적 스테레오 타입을 되풀이하는 동화 현상 때문에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대중적인 생각과 편견을 그대로 보여준다. <정글북>과 <타잔>같이 시기적 차이를 두고 여러 번에 걸쳐 영화화된 작품들을 비교해보면 그 시대의 남자와 여자의 성 역할의 차이와 대표적인 사회의 악 등 사회적 통념의 변화를 볼 수 있다.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e Bahasa Malaysia Version of the EORTC QLQ-CR29

  • Magaji, Bello Arkilla;Moy, Foong Ming;Roslani, April Camilla;Law, Chee Wei;Raduan, Farhana;Sagap, Ismai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101-8105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ahasa Malaysia (BM) version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Colorectal 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QLQ-CR29).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93 patients recruited from University Malaya and Universiti Kebangsaan Medical Centers, Kuala Lumpur, Malaysia using a self-administered method. Tools included QLQ-C30, QLQ-CR29 and Karnofsky Performance Scales (KPS).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Cronbach's alpha, test-retest correlations, multi-traits scaling and known-groups comparisons. A p vaue ${\leq}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for body image, urinary frequency, blood and mucus and stool frequency scales were acceptable (Cronbach's alpha ${\alpha}{\geq}0.65$). However, the coefficients were low for the blood and mucus and stool frequency scales in patients with a stoma bag (${\alpha}=0.46$).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oderate to high (range: r = 0.51 to 1.00) for most of the scales except anxiety, urinary frequency, buttock pain, hair loss, stoma care related problems, and dyspareunia (r ${\leq}0.49$).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were achieved in all scales. Patients with a stoma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ymptoms of blood and mucus in the stool, flatulence, faecal incontinence, sore skin, and embarrassment due to the frequent need to change the stoma bag (p < 0.05)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stoma. None of the scales distinguished between patients based on the KPS scores. There were no overlaps between scales in the QLQ-C30 and QLQ-CR29 (r < 0.40). Conclusions: the BM version of the QLQ-CR29 indicated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in most of the scales similar to original validation study. This questionnaire could be used to complement the QLQ-C30 in assessing HRQOL among BM speaking population with colorectal cancer.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 후보지 분석: 2011-2016년 수도권 아파트 거래 자료를 토대로 (A Study on Public Rental Housing for Young Generation Utilizing an Alternative Investment of National Pension Fund: Using Apartment Trading Data on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2011 to 2016)

  • 조성아;홍예륜;이성민;신휴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6-172
    • /
    • 2018
  • 한국의 지속적인 인구 고령화는 다양한 사회 갈등을 야기하고 있는데, 국민연금기금 고갈에 대한 위기감은 청년층과 기성세대 간의 첨예한 갈등의 한 양상이 되고 있다. 특히 청년층의 주거복지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국민연금기금의 대체투자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공급 방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기금을 통한 청년층 공공임대주택 공급의 당위성을 검증한다. 그 후 공간통계기법에 기반한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수도권 내 후보지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세부 청년층 분류에 따른 공공주택 공급방안이 도출되었으며, 각 지역과 대상 계층에 적합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을 완화하고, 국민연금기금의 수익성과 공공성을 모두 충족함을 목표로 한다.

항만하역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b Stress of Container Termainal Workers)

  • 최은경;김공현;이종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80
    • /
    • 2002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job characteristics of container terminal workers by applying the Job Strain model,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Methods: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the container terminal workers in Pusan. Among the 200 male worker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white-collar workers and blue-collar workers were 100, respectively.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evaluate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was applied to measure the extent of their psychosocial stress. Results: In white-collar workers, the skill discretion, created skill, decision-making authority, decision-making latitude, psychological job demand, and supervisor support of the job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high, while in blue-collar workers physical exertion was significantly high. The result of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PWI) reveals that blue-collar workers were more stressed than white-collar workers, especially, the indices of depression (factor 2), sleeping disturbance and anxiety (factor 3), General well-being and vitality (factor 4)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in white-collar workers, only the index of social performance and self-confidence (factor 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PWI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ower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job demand.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PWI, blue-collar workers had increased odds ratio of 2.66(95% CI;1.11-6.41) compared with white-collar workers. The unmarried workers increased odds ratio of 3.54(95% CI;1.18-10.62) compared with married workers. And workers who have not own house increased odds ratio of 2.35(95% CI;1.15-4.79) compared with workers who have own house. Particularly, odds ratio of work-shift in blue-collar workers was 11.10(2.14-57.64). Conclusion: Skill discretion, created skill, decision-making authority, decision-making latitude, psychological job demand, and supervisor support were increased in white-collar workers. Decreased skill discretion and increased physical exertion were found in blue-collar workers, which is supported the Job Strain model. Job stress of blue-collar workers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white-collar workers, especially, skill discretion, decision-making authority, decision-making latitude, job insecurity, physical exertion were noticeable factors. Especially, sleeping, smoking, and work shifting turned out to be a main cause that increases stress.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the job stress, a health promotion program to change the health behaviors should be activated and an organized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introduced. Especially, working condition for blue-collar such as physical exertion and work-shift should be improved.

  • PDF

인생과 월경 전기 증후군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Premenstrual Syndrome and Personality)

  • 김은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0-93
    • /
    • 1988
  • This study was planned and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and personality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s basic to the prevention, alleviation, and care for the premenstrual syndrome. Data on premenstrual syndrome were gatherd from October 20 to 25, 1986 by questionnaire modifi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Endicott's Premenstrual Assessment Form.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Data on personality were gathered in March, 1986, by the high school autorities by standardized Personality Inventory Scale developed by Eung Yun Hwang were used. Subjects numbered 457, 95.2% of the first grade students of H.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premenstrual syndrome analy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analysed by the t-test. Personality traits influencing premenstrual syndromal categories were analys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I. The five highist categories of premenstrual syndrome among 18 categories revealed to be Social withdrawal, General discomfort, Lability, Fatigue and Hostility / Anger in rank order. II. Personality traits and Premenstrual syndrome ; 1. Tendency of Psychoneuroses(r=0.43, p<.001), psychoses(r=.39, p<.001) and anti-social behaviors (r=0.43, p<.001) reveal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premenstrual syndrome. Hypothesis 1 is accepted. 2. Emotional stability(r= -0.38, p<.001), reflectiveness (r= -0.14, p<.01), masculinity (r= -0.10, p<05) and antonomy (r= -0.12, p<.05)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While activity, dominance, sociability and achivement reveal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Hypothesis 2 is partially accepted. III. Significant models of personality traits influencing the premenstrual syndromal categories are ; 1. 5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emotional stability, dominance, activity and autonomy revealed to influence Low mood / loss of pleasure significantly. ($R^2$=.19) 2. 3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revealed to influence Lability significantly. ($R^2$=.15) 3. 5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activity, emotional stability, sociability and achievement revealed to influence Anxiety significantly.($R^2$=.18) 4. 3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bility revealed to influence Miscellaneous mood / behavior changes significantly.($R^2$=.18) 5. 3 personality traits : tendency of psychoneuroses, psychoses and reflectiveness revealed to influence Hysteroid features significantly.($R^2$=.16) IV.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rregularity of menstruation and premenstrual syndrome wa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of dysmenorrhea and group of non-dysmenorrhea in premenstrual syndrome was revealed.

  • PDF

ADHD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에 관한 연구 (Mothers' Experience of Treatment Servic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최말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161-184
    • /
    • 2016
  •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ADHD 아동에 대한 치료와 서비스 본질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ADHD 아동에게 실시한 치료와 서비스의 경험을 Giorgi 4단계를 토대로 단계별 치료와 서비스 경험의 의미와 정보 채널의 과정을 연구문제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문제는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의 실태는 무엇인가?,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의 구조는 어떠한가?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6월부터 전화면접을 통한 접촉을 시작하였으며, 인터뷰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실시되었다. 13명의 ADHD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통한 질적 구조는 '내가 변해야 우리 아이가 산다'는 것으로 인지의 변화를 가져온 '인식변화를 위한 동행과정'이었다. 이러한 과정은 '무지와 혼란 속에서 자기결정의 부재'를 가져온 경험을 통해 '지각한 현실과 불안에 대처하며 변화에의 욕구'를 가진 후 '변화를 시도하지만 아직 남은 미결의 과제'를 지닌 채 '긍정적 변화의 주체로' 맞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병합치료의 필요성과 치료를 지속하는데 있어 부모의 올바른 인식에 의한 치료 참여는 주요한 변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아동의 변화를 위한 어머니의 변화가 중요하지만 삶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때만이 이루어질 수 있는, 어머니의 인지의 변화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