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Robot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2초

퍼지 로직을 이용한 문화 패러다임 기반의 로봇 성격 개발 (Development of a Robot Personality based on Cultural Paradigm using Fuzzy Logic)

  • Qureshi, Favad Ahmed;Kim, Eun-Tai;Park, Mi-Gno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5-391
    • /
    • 2008
  • Robotic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field for the future. It is our vision that robots in future will be able to transcend these precincts and work side by side humans for the greater good of mankind. We developed a face robot for this purpose. However, Life like robots demands a certain level of intelligence. Some scientists have proposed an event based learning approach, in which the robot can be taken as a small child and through learning from surrounding entities develops its own personality. In fact some scientists have proposed an entire new personality of the robot itself in which robot can have its own internal states, intentions, beliefs, desires and feelings. Our approach should not only be to develop a robot personality model but also to understand human behavior and incorporate it into the robot model. Human's personality is very complex and rests on many factors like its physical surrounding, its social surrounding, and internal states and beliefs etc.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is platform to evaluate this and develop a standard by a society based approach including the cultural paradigm. For this purpose the fuzzy control theory is used. Since the fuzzy theory is very near human analytical thinking it provides a very good platform to develop such a model.

  • PDF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예비교사의 통합기술수용모델 (UTAUT Model of Pre-service Teachers for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 한정혜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4권2호
    • /
    • pp.95-101
    • /
    • 2018
  • 언어교육이나 특수교육을 위하여 지능형 소셜 로봇이나 원격연결 로봇을 교육현장에 활용하는 로봇보조학습이 도입됨에 따라 기술수용모델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지능형 소셜 로봇에 대한 통합기술수용모델까지 연구되어 있으나,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 논문은 원격연결형 로봇보조학습이 미래학교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로봇보조학습을 체험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추정된 통합모델은 자율 지능형 로봇보다 간결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외형의 하위요인이 영향을 끼치는 유희성의 중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예비교사들은 얼굴영상 원격연결로봇의 자유로운 이동성,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직접 만질 수 있는 외형으로 구성된 유희성을 높인 로봇에 대한 유의미한 수용도를 보였다.

성격과 친밀도를 지닌 로봇의 일반화된 상황 입력에 기반한 감정 생성 (Robot's Emotion Generation Model based on Generalized Context Input Variables with Personality and Familiarity)

  • 권동수;박종찬;김영민;김형록;송현수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91-101
    • /
    • 2008
  • For a friendly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robot, emotional interchange has recently been more important. So many researchers who are investigating the emotion generation model tried to naturalize the robot's emotional state an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model for the designer of the robot. And also the various emotion generation of the robot is needed to increase the believability of the robot. So in this paper we used the hybrid emotion generation architecture, and defined the generalized context input of emotion generation model for the designer to easily implement it to the robot. And we developed the personality and loyalty model based on the psychology for various emotion generation. Robot's personality is implemented with the emotional stability from Big-Five, and loyalty is made of familiarity generation, expression, and learning procedure which are based on the human-human social relationship such as balance theory and social exchange theory. We verify this emotion generation model by implementing it to the 'user calling and scheduling' scenario.

  • PDF

자율섭취기능을 갖는 바퀴구동형 생체모방로봇 개발 (Development of a Biomimetic Wheeled Robot with Autonomous Eating Functionality)

  • 조익진;이연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73-579
    • /
    • 2006
  • Most of the recently developed robots are human friendly robots which imitate an animal or human such as entertainment robot, biomimetic robot and humanoid robot. Interest in these robots is increased because the social trend is focused on health, welfare, and graying. By these social backgrounds, robots become more human friendly and suitable or home or personal environment. The more biomimetic robots resemble living creature, the more human feels familiarity. Human feels close friendship not only when feeding a pet, but also when watching a pet having the food. Most of entertainment robots and pet robots use internal-type batteries and have a self-recharging function. Entertainment robots and pet robots with internal-type batteries are not able to operate during charging the battery. So far there have been a few robots that do not depend on an internal battery. However, they need a bulky energy conversion unit and a slug or foods as an energy source, which is not suitable for home or personal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biomimetic entertainment robot with autonomous eating functionality, called EPRO-1(Eating Pet RObot version 1). The EPRO-1 is able to eat a food (a small battery), by itself and evacuate. We describe the design concept of the autonomous eating mechanism of the EPRO-1, characteristics of sub-parts of the manufactured mechanism and its control system.

목적과 사양이 다른 다양한 인간 친화 로봇에 적용하기 위한 감성 행동 생성 방법 및 범용성 실험 (Emotional Behavior Decision Method and Its Experiments of Generality for Applying to Various Social Robot Systems)

  • 안호석;최진영;이동욱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4호
    • /
    • pp.54-62
    • /
    • 2011
  • 감성 행동을 표현하는 것은 인간 친화 로봇의 필수 요소 중 하나이다. 하지만 감성 행동은 로봇의 목적이나 사양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감성 행동을 생성하고 표현하는 방법은 로봇마다 다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로봇의 목적이나 사양에 상관없이 다양한 인간 친화 로봇에 적용될 수 있는 감성 행동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감성 행동 생성 방법의 입력 값으로 다중 감정값을 이용한다. 다중 감정 공간을 이용하여 각 감정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목적에 따라 사용하고자 하는 감정을 취사선택할 수 있다. 로봇의 사양에 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므로, 로봇의 표현 부위를 나누고, 각 표현 부위별로 표현할 수 있는 행동을 데이터화한다. 이렇게 나누어진 행동들을 단위 행동이라고 정의하며, 각 단위 행동이 표현할 수 있는 감정에 대한 반영도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주어진 다중 감정값에 최적화된 단위 행동 조합을 결정한다. 이 과정을 사양과 목적이 다른 사이버 로봇 시뮬레이터, 3D 캐릭터 헤드 로봇, 기계적인 설계 기반의 헤드 로봇 등에 적용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의 범용성을 실험한다.

원격로봇교사의 키와 초등 수업 통제력의 영향 분석 (Analysis on Teacher's Height and Authority in Robot-assisted Learning)

  • 배일한;한정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501-1507
    • /
    • 2017
  • 로봇보조학습의 원격로봇교사의 키는 작동의 안정성, 사용자의 편리성과 심시적 안정감의 이유로 실제 교사의 키보다 작은 경우가 선호된다. 그러나 원격로봇교사는 수업에서 때때로 학생을 통제해야할 필요성을 고려한다면, 로봇의 플랫폼은 실제 교사의 키 정도가 좋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원격연결 로봇교사의 키와 수업통제력의 영향을 실험해 보았다. 사전과 사후 실험비교를 통하여 아동크기의 원격교사 로봇과 실제 교사 크기의 원격교사 로봇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얻지 못하였으나, 행동분석관찰에서는 큰 키의 로봇이 학생을 통제하는 데에는 장점이 있음을 보였다.

자폐아 치료를 위한 로봇 설계 및 동작 연구 (Robot Design and Action Study for the Treatment of Autistic Spectrum Disorders Children)

  • 이진규;이보희;정진순;권자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96-199
    • /
    • 2016
  •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갖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지능형 로봇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여, 의사소통의 부적절함 등 특징적 증상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 아동들의 치료 및 교육을 위한 치료용 로봇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양이 형태의 치료용 로봇에 대한 설계 및 동작을 다루고 있다. 현장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동작을 구상하여 감성 치료를 유도하였으며 동작에 필요한 센서, 자폐아 특성을 고려한 로봇 구조를 설계하였다. 아울러 현장 실험을 진행하여 동작의 효율성을 보였다.

치매노인에 대한 동물로봇 매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Robot Pet-assisted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송정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62-57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mood, social behavior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robot pet-assisted progra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32 elders with dementia. Sevente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to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a week for 6 weeks. Results: 1) After the program, cognitive function, ADL, and social behavi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2) After the program, mood of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3) After the program,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diminish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 robot pet-assisted program was effective such as inducing a positive emotional state and increas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Conclusion: The robot pet-assisted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mood and diminishing problematic behaviors and had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for elders with dementia. Therefore, this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for elders with dementia.

"Live within your role!": 소셜 로봇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사용자와의 동반자 관계에 미치는 영향 ("Live within your role!": The impact of communication style of social robot on companionship)

  • 이원욱;전성준;김진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10
    • /
    • 2018
  • 본 연구는 기계와 사용자의 동반자 관계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시한 연구이다. 인간 - 로봇 관계가 중요해짐에 따라 로봇의 역할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어떻게 디자인해야하는지 보기 위해 사전 연구를 기반으로 시나리오를 생성했다. 예상되는 역할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라 4 가지 조건을 비교하기 위해 $2{\times}2$ 실험을 수행했다. 예상되는 역할을 지배력에 따라 역할을 담당하고 역할로 나눴다. 또한, 한 가지 조건에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맞추었고 다른 한 가지에서는 일치하지 않게 설정했다. 연구결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일치하는 역할이 어떤 역할에서는 중요하지만 모든 역할에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HCI가 인간 - 컴퓨터 관계로 확장되며, 인간과 로봇 간의 교제에 대한 미래의 연구에 영감을 줄 것이다.

  • PDF

텔레프레즌스 로봇을 통한 권리행사의 세대간 수용성 격차 (Generation Gap of Expected Rights through Telepresence Robots)

  • 배일한;한정혜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8
    • /
    • 2020
  • There exists a popular belief that the elderly are more conservative than the younger people in acceptability of new technology.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generation gap in technology acceptance exists in the case of using telepresence robots, which project the presence and mobility of remote operator, for the universal purpose of social participation rather than for specific applications. Two groups of senior citizens and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twenties personally experienced the telepresence robots oper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n how they perceive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a remote operator mediated by telepresence robot and to what extent the remote operator deserve equal rights to be treated as if one really exists in the local environ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have higher expectation on the role and functions of telepresence robots, and more favorable in principle for a remote operator to exercise equal rights by operating telepresence robot. It suggests that the stereotypes, the elderly lag behind younger generation in accepting new technology, is unlikely to fit into the telepresence robot market, for the elderly have more favor and support using telepresence robots as an universal avatar for social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