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Phobia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초

한방치료와 인지행동 치료를 병행한 사회공포증 1례(例)에 대한 임상보고 (A Case of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Social Phobia)

  • 최보윤;정인철;이상룡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1-20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that applied to the social phobia. In this case, a female patient, 25 old, who had been treated distantly by her friends, was trained to catch her dysfunctional belief and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In this training, we used homework and counselling for 2months. And we diagnosed her state as SimDamHeoGup(心膽虛怯), so we used acupuncture treatment and herbs, for example HaChulBoShimTang(夏朮補心湯) and GuiBiWonDamTang(歸脾溫膽湯). In result, she could recover social relationship slowly. Conclusionally, cognitive & behavioral therapy can be very effective methods to treat social phobia, because patients with social phobia have maladaptive automatic thoughts, based on dysfunctional beliefs like 'I'm infelicitous' or 'I'm ineffective'.

  • PDF

생기능자기조절훈련(뉴로피드백)과 한약 치료를 병행한 사회공포증 치험 1예 (A Clinical Report about a Patient Suffering from Social Phobia and Treated by Herbal Medicine with Neurofeedback)

  • 이고은;위영만;성주원;김단영;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4
    • /
    • 2014
  • Objectives: In this case report, we will show the effectiveness of herbal medicine with neurofeedback treatment on social phobia. Methods: First, we diagnosed the patient by interview and questionnaire as having social phobia and suffering from anxiety, shaking and palpitation in public places and fear to meet new people. Beside, we examined the pattern of brainwaves by QEEG-8 system. Second, we treated the patient by herbal medicine with neurofeedback treatment for 4 months. Then we conducted new assessments by SCL-90-R, BDI, BAI and QEEG-8 system. Results: The patien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s: Herbal medicine with neurofeedback can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social phobia. Especially, it can be helpful to improve the patient's sensitivity to its physiological symptoms.

사회불안장애의 QT Dispersion 연구 (Higher QT Dispersion in Pati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 권영도;임세원;오강섭
    • 생물정신의학
    • /
    • 제17권1호
    • /
    • pp.44-48
    • /
    • 2010
  • Objectives : Social phobia is frequently accompanied with autonomic nerve system symptoms. QT dispersion(QTd) is the maximum inter-lead difference in QT interval, an indicator of the autonomic nerve system(ANS) disparity of the heart itsel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S disparity, which is measured by QTd, is associated with pathophysiology of social phobia. Methods : This research have compared QT dispersion of 25 physically healthy social phobia outpatients(16 men, 9 women, the average age $35.5{\pm}12.9$) and age and sex matched control group of mentally and physically healthy 25 volunteers(16 men, 9 women, the average age $34.83{\pm}12.7$). QTd was measured by previously described method. Results : QTd and rate-corrected QTd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ati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QTd(patients vs. controls : $52.60{\pm}27.63ms$ vs. $27.53{\pm}14.29ms$, p<0.0001), QTd(patients vs. controls : $55.79{\pm}27.98ms$ vs. $29.10{\pm}14.24ms$, p<0.0001)]. Conclusion : Our study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social phobia have higher QTd than the normal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S disparity, which is measured by QTd, is associated with pathophysiology of social phobia.

사회공포증 환자의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unctional Impairment in Social Phobia)

  • 오강섭;오명신;이시형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72-78
    • /
    • 1999
  • 본 연구는 1996년 10월에서 1997년 7월까지 강북 삼성병원 신경정신과를 처음 방문하여 사회공포증으로 진단 받은 6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회공포증의 증상정도, 기능장애의 정도, 이환 기간, 아형간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대상환자들에게 SPS(Social phobia scale), SDS(Social disability scale), LSRDS(Liebowitz self-rated disability scale)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1) 상당수의 사회공포증 환자들은 일, 여가, 가정, 사회생활 등 여러 영역에서의 중등도 이상의 기능장애를 보이고 있다. 2) 사회공포증 환자들의 기능장애는 여가, 일, 가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사회공포증 환자들의 기능장애의 정도는 이환 기간보다는 현재의 증상 정도와 관련성이 높았다. 4) 비가해형 보다는 가해형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타인에 의해 주시될 상황에 대한 주관적 두려움의 정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5) 비가해형 보다는 가해형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전반적인 기능장애의 정도가 심각하였으며 현재의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장애의 정도가 심해지는 양상이다. 결론적으로 사회공포증 환자들은 교육, 직업, 가족관계, 애정관계, 사회적 관계 등 전반적 생활영역에서의 기능장애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가해형 사회공포증 환자에서 그 정도가 심각하였다.

  • PDF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난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저하 간의 관련성 연구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Bias and Deteriorated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in Increasing the Level of Social Phobia)

  • 김상엽;정재범;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3권2호
    • /
    • pp.35-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공포증 수준에 따른 정서지각 편향성의 변화와 이 변화에 기여하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식 설문 검사인 사회공포증 검사(Korean version of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K-SAD)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지각 편향성과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와 UFOV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118명의 연구참가자가 참여하였고 응답을 성실하게 하지 않은 연구참가자들을 제외하여 107명(남: 94명, 여: 1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참가자들은 K-SAD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연구 결과, 정서지각과제에서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더 크게 나타났으며 UFOV 과제에서는 사회공포증 수준이 높을수록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공포증 수준의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방정신치료를 이용한 사회공포증 환자 치험 1례 (An Oriental Psychotherapy of a Patient Classified with Social Phobia)

  • 박세진;박상동;박영엽;이정훈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07-212
    • /
    • 2003
  • 본 증례는 대인기피, 대면시 안면홍조 손떨림 등의 증상이 있는 사회공포증 환자에게 한약 처방으로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을 투여하고 백회(百會), 소부(少府), 신문(神門), 합곡(合谷), 태충(太衝) 등 혈위(穴位)의 침치료와 지언고론요법(至言高論療法), 경자평지요법(驚者平之療法)의 한방정신요법을 사용하여 유효한 결과를 입증한 예이다.

  • PDF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

  • 정한용
    • 보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11
    • /
    • 2010
  • Anxiety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re among the most prevalent mental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xiety disorders can be viewed as a family of related but distinct mental disorders, which include following as classified in the text revision of fourth edition of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Disorders(DSM-IV-TR): (1)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agoraphobia; (2) agoraphobia with or without panic disorder; (3) specific phobia; (4) social phobia; (5)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6)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7) acute stress disorder; (8)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 acute intense attack of anxiety accompanied by feeling of impending doom is known as panic disorder. The term phobia refer to an excessive fear of a specific object, circumstance, or situat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s represented by a diverse group of symptoms that include intrusive thoughts, rituals, preoccupations, and compulsion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s a condition marked by development of symptoms after exposure to traumatic life event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s defined as excessive anxiety and worry about several events or activities for most days during at least a 6-month period.

  • PDF

대인공포증의 치료를 위한 가상 연설 시뮬레이터의 실험적 제작 (Construction of Virtual Public Speaking Simulator for Treatment of Social Phobia)

  • 구정훈;장동표;신민보;조항준;안희범;조백환;김인영;김선일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15-621
    • /
    • 2000
  • 대인공포증은 사람과의 대면을 무서워하여 그 상황을 회피하는 증상을 말한다. 이 공포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방법과 인지·행동 치료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런 기존의 방법들은 치료 효율이 떨어지며, 치료시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치료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구에서 가상현실을 정신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가상환경은 환자에게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공포감을 느끼도록 하고, 환자는 이러한 공포상황에 체계적으로 노출됨으로써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를 기반으로 가상 연설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대인공포증 치료에 이용하고자 한다. 가상 연설 시뮬레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위치센서, 머리 부착형 디스플레이장치와 사운드 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치료를 위한 가상환경은 가상청중 8명이 있는 세미나실을 배경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가상현실 정신치료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머리 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위치센서를 부착함으로써 환자의 머리이동이 가상환경에 적용되도록 하였고, 여기에 삼차원 사운드를 적용함으로써 목소리나 박수소리 등 여러 가지 소리들이 사실적으로 느껴지도록 하였다. 또한 가상청중이 환자의 발표내용에 맞게 여러 가지 행동과 표정을 변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가상연설 시뮬레이터는 경제적이고 안전한 정신치료에 이용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앞으로의 임상실험을 통한 몰입과 공포유발 인자 및 치료효과의 에 관한 정보를 얻고, 이를 시뮬레이터에 계속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청소년의 은둔형 외톨이 성향이 게임중독행태에 미치는 영향 : 가족스트레스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The Impacts of Adolescent's Oiettolie Propensity on Game Addiction Behavior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tress)

  • 김효순;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77-185
    • /
    • 2014
  •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은둔형 외톨이가 인터넷 중독을 매개로 집단따돌림과 대인기피와 정서불안증과의 관계에서 가족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청소년의 지원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지역 고등학교 재학생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생의 은둔형 외톨이가 인터넷게임중독 행태에 미치는 영향력의 관계에서 은둔형 외톨이는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터넷게임중독 행태가 집단따돌림, 대인기피증, 정서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은둔형 외톨이 성향은 대인기피증에 가장 크게 영향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변수로는 인터넷게임중독이 정서불안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행태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