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3초

이집트 민주화 혁명에서 SNS와 소셜 저널리즘: 페이스북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SNS and Social Journalism during the Egyptian Revolution: A Case Study of A Facebook Page, )

  • 설진아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8권
    • /
    • pp.7-30
    • /
    • 2012
  • 소셜 미디어가 뉴스정보를 생성, 유포시키면서 부상한 소셜 저널리즘은 시민 저널리즘의 일환으로서 시민들이 SNS를 통해 뉴스정보를 생성하는 새로운 유형의 정보수집과 보도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우리는 모두 할레드 사이드이다>라는 특정한 페이스북 페이지가 이집트 민주화 혁명과정에서 특정 시위기간 중에 구체적으로 어떤 뉴스정보를 얼마나 생산하고, 공중과 상호작용을 했으며, 소셜 저널리즘 양식을 통해 뉴스를 전달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는 모두 할레드사이드이다>페이지는 일주일 동안 총 331건의 포스트를 통해 시위관련 스트레이트 뉴스를 가장 많이 생산했으며, 동영상과 사진, 만평보도가 텍스트 기사 만큼 비중있게 다뤄졌다. 특히 동영상의 경우는 대부분 연결링크를 소개하고 있어 소셜 저널리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네트워크 저널리즘을 반영하는 외신보도인용은 대부분 스트레이트뉴스 에 해당되었는데 알자지라와 영국의 가디언 신문이 주로 인용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치적 격동기에 처한 사회에서 제도권 언론이 통제 받을 때 SNS는 현실을 반영하는 뉴스나 정보를 생성, 확산시키는 저널리즘 미디어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 PDF

A Hadoop-based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for Processing Social Media in the PaaS Platform of SMCCSE

  • Kim, Myoungjin;Han, Seungho;Cui, Yun;Lee, Hanku;Jeong, Changs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6권11호
    • /
    • pp.2827-2848
    • /
    • 2012
  • Previously, we described a social media cloud computing service environment (SMCCSE). This SMCCSE supports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that include audio, image, and video formats. A social media cloud computing PaaS platform, a core component in a SMCCSE, processes large amounts of social media in a parallel and distributed manner for supporting a reliable SNS. Here, we propose a Hadoop-based multimedia system for image and video transcoding processing, necessary functions of our PaaS platform. Our system consists of two modules, including an image transcoding module and a video transcoding module. We also design and implement the system by using a MapReduce framework running on a 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HDFS) and the media processing libraries Xuggler and JAI. In this way, our system exponentially reduces the encoding time for transcoding large amounts of image and video files into specific formats depending on user-requested options (such as resolution, bit rate, and frame rate). In order to evaluate system performance, we measure the total image and video transcoding time for image and video data sets, respectively,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In addition, we compare the video transcoding performance of our cloud-based approach with that of the traditional frame-level parallel processing-based approach. Based on experiments performed on a 28-node cluster, the proposed Hadoop-based multimedia transcoding system delivers excellent speed and quality.

스마트 리트윗 : 위치기반 관심정보의 효율적인 전파방법에 대한 연구 (SmartRetweet : A Study on Method of the Efficient Propagation of Location-Based News Feed)

  • 정도성;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60-966
    • /
    • 2012
  • GPS, WiFi 등을 이용한 위치정보수집이 보편화되고, 트위터와 같은 SNS와 접목을 통해 LBSNS가 증가하고 있다. LBSNS에서 작성된 메시지에는 메시지가 생성된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 또는 메시지가 언급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위치정보 기반의 관심정보 전파가 가능해진다. 트위터에서는 자신이 전달받은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리트윗(retweet)을 통해 정보의 전파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의 사용자 관심정보를 효율적으로 전파시키기 위해서 위치기반의 자동 리트윗 기능, 즉 사용자 관심정보를 자동으로 리트윗하는 기능을 스마트 리트윗으로 정의하였다. 트위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관심지역을 설정하고 관심지역이 같은 사용자들 간의 소셜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리트윗 서비스는 트위터 Open API, 구글맵 Open API 등을 기반으로 매쉬업 서비스로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스마트 리트윗 서비스를 통해 관심정보의 공유가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TV를 위한 개인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A personalized user interface design for smart TV)

  • 최성욱;김태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106-108
    • /
    • 2012
  • 스마트TV는 스마트폰과 달리 가족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TV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웹 서비스 등 가족인 아닌 개인 단위로 사용하는 앱(application)뿐만 아니라 각 개인마다 선호하는 게임을 포함한 앱(application), VOD 리스트, TV 채널 등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스마트TV에서도 개인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TV 환경에서 기존 윈도우 로그인 시스템처럼 개인만의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그리하여 각각의 사용자들은 개인만의 환경에서 앱(application)을 실행하거나 TV를 볼 수 있다. 기존 연구되고 있는 채널 네비게이션 기법을 토대로 VOD list, 게임을 포함한 앱(App)을 개인 맞춤형 인터페이스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한다. 채널 네비게이션은 로그인한 각 자신만의 환경에서 사용자가 과거에 시청한 TV 채널을 조사하여 많이 시청한 TV 채널을 보여 주게 한다. 그리하여 보다 자신이 선호하는 채널을 쉽게 시청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VOD 리스트와 게임을 포함한 앱(application)을 과거에 시청하거나 사용했던 패턴을 분석하고 선호하는 VOD 리스트와 앱(application)을 예측하여 보여주어 개인의 맞춤형 인터페이스에서 보다 빠르게 접근이 가능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인스턴스 메신저를 활용한 자동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Communication System using Mobile Instant Messenger)

  • 김태열;이대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1-21
    • /
    • 2014
  • In this paper, concerning the various advertising and policy advertising of the election with respect to whether to deliver a message to a large number of people, we design and implement an automative system what enables sending the text messages directly from the server to the client and also fast feedback is enabled by utilizing a number of operational programs to connect to the server. Therefore, we design and implement the automative communication system which enables delivering message to each user mobile terminal from a plurality of relay mobile terminals by utilizing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not to deliver a message from the server to the mobile instant messenger user directly. In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number of times of data transmission, this automative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mobile instant messenger shows the result that it enables transmitting five times per minute as it can copy and paste in the automation system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data loading, otherwise in case of transmitting manually it show the result that the number of times of data transmission is reduced if the size of the data is larger.

User Experience and the Multi-Stage Adoption of Mobile Apps

  • Kim, Ambrose;Kim, Kyoung-jae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2호
    • /
    • pp.49-79
    • /
    • 2014
  • The adoption of technology has always been of interest to academicians and practitioners of the field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is is so because without proper and adequate adoption, technology-no matter how beneficial or advanced it may be-will be of little value to users. Numerous researches, such as the research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or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had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human nature in association with the adoption or rejection of technologies that have bombarded the users. The coming of smart technologies (i.e., smart phones and devices), however, seems to have fundamentally changed the environment for adoption. The ubiquity combined with mobility of technolog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mobile apps, seem to make the old PC era of two-stage-pre and post-adoption models obsolete. A new model of adoption that identifies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continuance is needed for the smart age. To this end, this paper undertakes an empirical study, by analyzing 229 users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mobile apps, to identify the role of user experience on the multi-stage adoption of technology, and provides results that User Experience (UX) plays the crucial role of bridging the separate stages of pre and post adoption of technologies.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new model as it relates to mobile apps and technologie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doption in the smart age.

세대별 결혼가치관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각 유형별 영향요인 탐색: 성별, 가족건강성, 자기결정성 (An Exploration of the Latent Profiles of Marriage Values Across Generation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Gender, Family Strengths, and Self-Determination)

  • 황예은;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473-486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y the types of marriage values within each generation and explore the influence of gender, family health, and self-determination on each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SNS)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Baby Boomers (1965~1974), Generation X (1975~1984), Generation Y (1985~1996), and Generation Z (1997~2003). A total of 1,11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plus ver. 8.8 software to identify the types of marriage values within each generation and explore the influence of gender, family health, and self-determination on each 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identification of a group in each generation that holds ambivalent values about marriage. Additionally, we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gender and self-determination as variables that affect marriage values, excluding family variables.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marriage values by considering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it is believed that it can provide a basi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related to marriage, reflecting the important variables unique to each generation.

혼밥 및 외식소비 관련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SNS 이용 및 추천정보활용의 영향 (Effect of food-related lifestyle, and SNS use and recommended information utilization on dining out)

  • 장진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5호
    • /
    • pp.573-588
    • /
    • 2023
  • 본 연구는 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50대 소비자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FRL)에 따른 SNS 이용 및 추천정보 활용 (SURU) 정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FRL과 SURU간의 상호작용이 혼밥 및 방문 외식소비에 있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척도는 요인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이용해 요인들을 추출하고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FRL에 따른 SURU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일변량분석을 실시했으며, 혼밥 정도와 외식정도에 있어 FRL과 SURU의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일변량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FRL은 편의성추구, 합리적소비추구, 미식추구의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합리적소비군, 편의적미식군, 스마트미식군으로 분류되었다. SURU는 한 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점수에 따라 고·중·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FRL에 따른 SURU 정도 및 SURU 그룹 비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미식군에 있어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SURU 그룹 비율에 있어 저 그룹에서는 합리적소비군, 중 그룹에서는 스마트미식군, 고 그룹에서는 편의적미식군과 스마트미식군이 유사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혼밥에 있어서의 FRL과 SURU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1, p < 0.001). FRL 그룹 중 합리적소비군을 제외한 나머지 두 군집에서 SURU가 높아질수록 혼밥 정도가 높아졌는데 그 중 편의적미식군에 있어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외식정도에 대한 FRL과 SURU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역시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p < 0.01, p < 0.001). 모든 FRL 그룹에 있어 SURU 수준이 높아질수록 외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합리적소비군에 비해 편의성과 미식성향이 나타나는 두 군집에 있어 더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스마트미식군에 있어 SURU 수준에 따라 방문 외식 정도가 더 급격히 증가하였다. 최근의 다변화, 다양화 되고있는 식생활에서 중요한 정보수집 도구이자 강력한 구전 수단인 SNS의 이용자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향후 식품 외식 SNS 관련 소비자 행동 연구 및 외식 소비자들의 시장세분화와 SNS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터넷 비즈니스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관한 연구 -중국소비자들을 중심으로- (Study on internet social commerce business loyalty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 정인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71-482
    • /
    • 2015
  • 최근 IT업계의 최대 이슈는 소셜커머스이며, 유통시장의 거대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소셜커머스의 시장은 앞으로 성장성이 높을 것이라 기대하며, 소셜커머스 업체들이 급속도로 생겨날 것이다. 현재 한국과 중국 모두 소셜커머스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소셜커머스 이용에 있어 고려하는 요인과 만족요인 그리고 손실요인과 소셜커머스 쇼핑가치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셜커머스 이용에서 고려요인은 가격요인, 편의요인, 제품요인 그리고 사이트 요인의 4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요인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손실요인을 확인하였다. 넷째, 소셜커머스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가치요인은 쾌락요인과 실용적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국인의 인터넷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와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의 문화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화장품 구매특성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급자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urchase Characteristics on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in Cosmetics Shopping : A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Media Activities of Supplier and Consumer)

  • 정종윤;현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49-257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을 판매하는 공급자와 화장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구매자의 화장품 관련 소셜미디어를 접한 고객을 대상으로 두 집단의 소셜미디어 활동이 화장품 제품 속성과 구매자들의 구매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를 접한 후 화장품을 구입한 구매자 321명이 참여했으며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해 자료를 수집했다. 데이터 분석에는 기술통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SEM)이 적용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의 구매특성은 직접적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구매의 특성은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공급자의 소셜미디어활동 영향력이 다소 더 크게 확인되었다. 셋째, 화장품 구매 속성과 구매 만족도 사이에서 공급자와 구매자의 소셜미디어 활동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 화장품 구매에 있어서, 구매자들의 소셜미디어 활동의 영향력이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구매자가 최종 화장품을 구매할 때는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보다는 구매자의 실제 사용 후기나 그 제품을 쓰는 모습들과 같은 오프라인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을 화면이나 후기로 보았을 때 더욱 고객들이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향이 강함을 알게 되었으며, 소셜미디어 활동은 공급자의 소셜미디어 활동보다는 실제 구매자의 사용 후기의 공헌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