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Loaf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1초

경찰공무원의 조직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lice Organizational Culture &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ocial Loafing)

  • 주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38-444
    • /
    • 2016
  • 집단과 조직에서 수행되는 업무가 필수적인 경찰활동의 특성 상 경찰공무원의 사회적 태만 정도를 줄이고 조직에 몰입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는 지금가지 사회적 태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으나, 개인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인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했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문화 인식과 조직몰입이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조직문화인식의 하위 요인으로 '합리문화', '발전문화' '위계문화' '집단문화'의 4개 변수를, 조직몰입의 문화의 하위변수로는 '감정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의 3개 변수를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사회적 태만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조직문화인식 중 집단문화는 사회적 태만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합리문화는 사회적 태만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몰입의 하위변수 중 감정몰입과 지속몰입은 부(-)적인 영향을, 규범몰입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의 사회적 태만과 지식 공유: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worker Social Loafing and Knowledge Sharing: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Effects)

  • 박지성;채희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56-262
    • /
    • 2017
  • 본 논문은 조직 내 지식 공유에 있어 동료 효과와 성별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논문은 동료의 사회적 태만과 지식 공유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동료의 사회적 태만과 지식 공유 간 관계에 있어 성별 차이가 어떠한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사회적 교환관계이론에 근거하여 동료의 사회적 태만에 대해 강하게 인지할수록 개인의 지식 공유 정도는 감소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지식 공유 감소 효과는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보다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가설화하였다. 이러한 가설 검증을 위하여 상사-부하 설문(170부)을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론 부분에서 예측한 바와 같이 동료의 사회적 태만은 개인의 지식공유 행동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식 공유 저하 효과는 여성에 비해 남성의 경우 감소 폭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진 함의와 한계를 결론에 제시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Loafing in Ho Chi Minh City, Vietnam

  • Thanh, Vu Ba;Toan, Ngo V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3호
    • /
    • pp.179-18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social loafing of organizations in Ho Chi Minh City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from the survey data for the 228 employees are working at the Organizations in Ho Chi Minh City. The instrument of collecting data was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2 and employ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ronbach's alph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wo factors are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is to have the reverse effect on social loafing of employee.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has the opposite effect of social loafing, which demonstrates that when individuals feel that their work is spent on Perform tasks in a clearly divided and they will receive a worthwhile result in the group when performing the task then the individual's collective indifference to the organization will decrease. And motivate the employee to make more efforts to work and contribute for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factor of Procedural justice also has the opposite effect of collective redundancy, which demonstrates that employees are more concerned about fairness in official policies and organizational procedures.

Avoiding collaborative paradox in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 Kim, Hyunseok;Kim, Hyunseok;Lee, Donghun;Jang, Ingook
    • ETRI Journal
    • /
    • 제43권6호
    • /
    • pp.1004-1012
    • /
    • 2021
  • The collaboration productively interacting between multi-agents has become an emerging issue in real-world applications. In reinforcement learning, multi-agent environments present challenges beyond tractable issues in single-agent settings. This collaborative environment has the following highly complex attributes: sparse rewards for task completion, limited communications between each other, and only partial observations. In particular, adjustments in an agent's action policy result in a nonstationary environment from the other agent's perspective, which causes high variance in the learned policies and prevents the direct use of reinforcement learning approaches. Unexpected social loafing caused by high dispersion makes it difficult for all agents to succeed in collaborative tasks. Therefore, we address a paradox caused by the social loafing to significantly reduce total returns after a certain timestep of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We further demonstrate that the collaborative paradox in multi-agent environments can be avoided by our proposed effective early stop method leveraging a metric for social loafing.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The Interaction Effects of Team Efficacy and Perceived Loafing on Learning Outcome in Team-Based Project Learning)

  • 좌현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47-456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효능감과 태만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H 대학교 사회복지학과에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으로 진행된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2019년에 개설된 전공수업에 참여한 5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팀효능감은 학습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태만은 개인의 학습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팀효능감과 지각된 태만의 상호작용효과는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태만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팀효능감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학습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해군장병이 인식하는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연구: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와 동료의 사회적 태만 조절효과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by Korean Navy Personnel: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Coworker Social Loafing)

  • 이홍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81-99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해군함정에서 근무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장병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서적몰입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정서적몰입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동료의 사회적 태만은 조직문화(집단/위계)와 정서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군장병들은 동료의 사회적 태만을 높게 인식할수록 조직문화와 정서적몰입 간에는 부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로서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균형된 조직문화의 향상과 함께 조직구성원들이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주요 영향요인을 강화하고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Effect of Real-Time Individual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on Computer-based Group Idea Generation

  • Jung, J.H.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2호
    • /
    • pp.91-107
    • /
    • 2014
  • In computer-mediated idea generation where contributions can be anonymous, the ability to accurately monitor performances is limited, inducing social loafing. Prior research has suggested that social loafing is likely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task performance. Researchers have theorized that loafing could be minimized if clear performance feedback is provided. Our prior study evidences a substantial performance gain by the provision of real time performance information about who is contributing and who is not. However, our prior study incorporated the quantity feedback only to create a larger pool of ideas based on the long-standing assumption (i.e., quantity breeds quality), not considering the quality feedback. As a result, taking advantage of anonymity in the form of pseudonymity, individuals in almost all groups exhibited a tendency of self-presentation by capitalizing on ideas of which quality was low and even frivolous (i.e., junk comments) toward the later stages of the session. Thus, we have learned that the quantity performance feedback alone does not have enough restrictiveness to consistently control the performance behavior throughout the session. Since a process chart allows participants to monitor process variation by comparing new performance data to past performance data, we incorporated real-time visual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to reveal performance histories by connecting the sequence of idea quality scores in a time-series format. Using this environment,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member groups that examined the influence of both identifiability (i.e., anonymity versus pseudonymity) and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i.e., yes or no) in a $2{\times}2$ factorial design. The result showed that groups in the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treatment outperformed groups in the no feedback treatment. Additionally,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and identifiability interacted such that groups in the process performance feedback/pseudonymity treatment had the highest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group idea generation procedures are discussed.

갈등관리와 이직의도: 다수준 비선형성과 리더신뢰의 조절효과 (Conflict Man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Multi-level Curvilineari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Trust in Leader)

  • 김철영;박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53-263
    • /
    • 2018
  • 본 논문은 이탈-목소리내기 이론과 밴드웨건 효과, 사회적 태만이론을 이용하여 팀 수준의 갈등관리 참여와 개인수준의 이직 의도간의 비선형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팀 수준의 갈등관리와 개인수준의 이직 의도 간 비선형 관계에 더하여, 리더에 대한 신뢰가 이러한 관계에 있어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두 가지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의 제조업 회사의 48개 팀에서 331명의 팀원들로부터 한 달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검증 결과, 가설 1에서 예측한 것처럼 위계선형모형의 분석결과 팀 수준의 갈등관리 참여와 개인수준의 이직의도간의 비선형관계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설 2의 예측과는 달리 이 관계에 대한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되었다. 이 논문은 팀 내부의 상호작용에 따라 개인의 이직의도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갈등관리에 있어서의 팀 수준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논문의 마지막에 논문의 한계를 논의함과 더불어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효과적인 협력 학습을 위한 위키의 활용 (Attitudes of Students towards Group Projects and Use of Wiki for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 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99-41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협력학습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서 서울 소재 한 대학에서 진행된 네 과목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협력학습보다는 개별학습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선호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발견되었지만 대부분 협력학습의 문제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학습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조원들 간의 친밀성이 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덧붙여, 협력학습을 돕기 위해 사용된 웹 2.0 도구중의 하나인 위키는 공개성과 수정가능성, 효과성의 측면에서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었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해 (1) 조원평가, 자기평가를 통해 무임승차 문제 해소, (2) 조원 간의 친밀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 (3) 위키의 적극적인 활용이 제안되었다.

팀 프로젝트 무임승차 방지 방안에 관한 연구 (A Method to Deal with Free Riding in Team Project)

  • 박종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1-147
    • /
    • 2013
  • 비즈니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팀 활동은 매우 흔한 현상이 되었다. 그러나 팀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사회적 태만과 무임승차 현상은 교수자에게 있어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로 남는다. 이에 본 연구는 '넌 해고야' 방식을 우리 대학의 비즈니스 교육 현장에 해당 방식을 적용해보고, 실질적 효과가 있는지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넌 해고야' 방식은 2단계를 거쳐 팀 프로젝트 활동을 실시하는 수업에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다. 팀원들은 팀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무임승차자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이메일로 당사자와 교수자에게 동시에 보내 공식적으로 경고하고, 이후에도 팀 참여 활동이 수정되지 않으면 두 번째 이메일로 팀에서 해고시킬 수 있다. 총 257명의 학부 학생을 대상으로 '넌 해고야' 방식의 실질적 효과를 검증한 결과, 무임승차를 방지하고 팀 활동 참여와 학습 동기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기제로 활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