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Journalism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2초

직업이데올로기로서의 한국 언론윤리의 형성과정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Korean Journalism Ethics as Job Ideology)

  • 남재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0권
    • /
    • pp.73-93
    • /
    • 2010
  • 이 연구는 언론윤리를 기자집단의 직업이데올로기로 보고 한국 언론윤리가 형성되는 역사적 과정에 나타나는 특수한 조건들을 언론윤리의 형성에 개입하는 사회적 관계들의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언론윤리의 성격을 해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한국 언론윤리의 정립을 위한 언론현장의 실천 전략과 언론윤리 논의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했다. 그래서 한국 기자들의 직업적 위치 변화 추이와 언론윤리 담론의 전개양상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한국의 언론윤리 담론은 윤리의 전제가 되는 직업적 자율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 압력에 대응하는 도구적이고 수사적인 방편으로 이용되었음이 밝혀졌다. 그 결과 한국 언론윤리의 성격은 언론윤리 강령의 수사적 성격, 구조화된 인식과 실천의 괴리, 책임과 윤리의 개념적 혼동 등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직업이데올로기로서 언론윤리의 정립을 위해서는 윤리에 접근하는 기자집단 내부의 방식이나 사회적 논의의 양상이 기자의 직업적 현실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 PDF

Emergency-response organization utilization of social media during a disaster: A case study of the 2013 Seoul floods

  • Kim, Ji Won;Kim, Yonghee;Suran, Melissa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4권2호
    • /
    • pp.5-15
    • /
    • 2015
  •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evance and impact of social media in building organizational resilience, which the ability to recover from a crisis, in the field of emergency management. However, few studies have assessed how these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s perceive their own use of social media in crisis situations. In attempting to fill this gap,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survey with emergency-response organization representatives in Seoul, South Korea, to examine how such organizations evaluate their utilization of social media in an urban emergency situation and how their social media uses are related to promoting organizational resilience during adverse events such as a flood. Overall, the findings imply that organizations are not yet taking full advantage of social media. Respondent evaluations of their own social media use in all three assessment areas-information provisio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emotional messages-were not satisfactory. However, their perceptions of how well they utilize social media were positively related to how they view their organizational resilience. Therefore, it may be that these organizations realize the powerful role of social media in building organizational resilience but lack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to make the best use of social media services.

신자유주의에 대한 언론과 비판언론학 비판 (A Critique on th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and Journalism Focused on the Neoliberalism in Korea)

  • 손석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5권
    • /
    • pp.49-76
    • /
    • 2009
  • 신자유주의는 1997년 이후 한국 사회에 큰 흐름이 되었다. 이른바 ‘워싱턴 컨센서스’에 따라 진행된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한국 사회는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와 노동시장 불안정을 맞았다. 하지만 한국 사회 구성원 대다수는 신자유주의 개념을 아예 모르거나, 그것을 ‘글로벌 스탠더드’로 인식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회 구성원 대다수가 신자유주의 개념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그것을 불가피한 현실로 인식하는 데 일차적 책임이 한국 저널리즘에 있음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 그 현상을 비판적으로 논의해야 할 비판언론학이 한국 언론을 견제하거나 감시하는 데 소홀했음을 분석했다. "한국언론정보학보" 에 실린 모든 논문에서 ‘신자유주의’를 저널리즘과 연관지어 연구한 논문이 한 편도 없었다는 사실을 새삼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비판언론학이 자기 정체성을 찾아 신자유주의를 일방적으로 옹호하는 언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언론학계 내부의 상호비판에도나서 저널리즘 현장과 연관성을 높여나가야 함을 제안했다.

  • PDF

시장지향적 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수용태도 (The Journalists' Acceptance Attitudes toward Market-Driven Journalism)

  • 정동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9권
    • /
    • pp.81-98
    • /
    • 2010
  • 신문독자들의 뉴스 소비성향 변화로 기사를 가볍고 짧고 비주얼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과 신문이 미래에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길고 분석적이며 타 매체와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상반되고 있다. 이 연구는 신문을 독자가 원하는 쪽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시장지향의 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됐다. 이를 위해 국내 종합 일간지 중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소속의 기자와 데스크 2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 연구결과 기자들은 기사를 흥미보다는 유익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또한 한국에서는 공공의 이슈를 사회적 쟁점으로 이끌고 정파적으로 신문을 제작하는 것이 시장지향적 저널리즘이 된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아울러 신문은 콘텐츠와 기사의 질로 승부를 해야 하며 기사는 길고 분석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보수신문과 진보신문 소속 기자들 사이에는 다소의 인식차이가 드러났지만 기자와 데스크 사이에는 인식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 PDF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몰입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Experience of Flow in Mobile Social Network Games)

  • 김슬이;정용국;진메이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5-68
    • /
    • 2013
  • 본 연구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인터넷과 온라인 게임의 몰입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몰입의 결정요인을 콘텐츠 요인 (그래픽디자인, 도전과제, 보상), 기기요인 (접근성, 조작성), 사회적 요인 (상호작용, 커뮤니티)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개별 결정 요인과 몰입의 연관성을 상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어떤 요인이 몰입에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는 그래픽 디자인, 보상, 커뮤니티 활동은 게임 이용자의 몰입을 증가시키고, 반면에 도전과제와 조작성은 몰입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그래픽 디자인, 커뮤니티 활동, 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만화의 시사저널리즘으로서의 가능성 연구(Yellow Journalism으로서의 MAD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es of Journalism as a cartoon)

  • 오유미;정성환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41-50
    • /
    • 2003
  • 만화는 시각예술의 한 분야로서 창작이라는 예술의 본질을 추구하고 있으며, 대중예술문화에서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지니고 있다. 만화는 글과 그림이 공존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으로 인해, 문자와 사진을 이용한 사실전달기능의 저널리즘에서 보다 효과적인 이해의 도움을 주기 때문에, 매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MAD는 시사 만화 잡지로서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신랄하게 비판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만화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그 접근 방법은 장르별 비교 수강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만화장르의 확대 또는 상승단계에 도달할 때에 만화는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측면, 저널리즘 측면, 또는 학문에서 문학, 디자인, 예술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각 정보 매체로서의 위치에 설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청년주체들의 '자기소개서' 작성을 중심으로 한 구직 경험의 문화적인 분석 (A Cultural Analysis of Self-introduction Letters by Young Job Seekers)

  • 이기형;송동욱;구승우;정준;김지수;이단비;박주화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2권
    • /
    • pp.7-51
    • /
    • 2015
  • 주지하다시피 현재 한국사회 내 대다수의 청년주체들은 취업과 관련하여 '개미지옥'이라는 표현이 단순한 은유를 넘어 구직의 특성을 체화하는 현실 속에서 절박하고 불안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자기소개서' 작성과 구직에 관한 청년세대의 구체적인 체험과 판단을, 특히 이 과정을 복합적으로 담아내는 자기기술지 자료를 매개로 한 상세한 문화적인 해독을 통해서 접근한다. 이 탐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불안정한 노동시장과 취업이라는 심각한 압박에 직면하고 있는 청년주체들의 인식과 경험 그리고 감정구조의 함의를 다면적으로 '읽어내려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러한 지적-비판적인 관심은 자기소개서의 복합적인 '사회적인 텍스트'로서의 위상과 쓰임새에 주목함과 동시에, 자기소개서를 쓰는 '불안의 주체'들에 관한 재귀적인 사유를 통해서, 자신의 모습과 기업에 의해 구성된 또 다른 '나'와의 균열과 간극을 마주하는 청년주체들의 현실인식과 고민을 '근접해서' 포착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 PDF

Social Media News in Crisis? Popularity Analysis of the Top Nine Facebook Pages of Bangladeshi News Media

  • Al-Zaman, Md. Sayeed;Noman, Mridha Md. Shible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18-32
    • /
    • 2021
  • Social media has become a popular source of information around the world. Previous studies explored different trends of social media news consumption. However, no studies have focused on Bangladesh to date, where social media penetration is very high in recent years. To fill this gap,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its popularity trends during the period. For that reason, this work analyzes 97.67 million page likes and 3.48 billion interaction data collected from nine Bangladeshi news media's Facebook pages between December 2016 to November 2020.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rowth rates of page likes and interaction rates declined during this period. It suggests that the media's Facebook pages are gradually losing their popularity among Facebook users, which may have two more interpretations: Facebook's aggregate appeal as a news source is decreasing to users, or Bangladeshi media's appeal is eroding to Facebook users.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previous results, i.e., Facebook's demand as a news source is increasing with time. We offer four explanations of the decreased popularity of Facebook's news: information overload, exposure to incidental news, users' selective exposure and different aims of using Facebook, and conflict between media agendas and users' interest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has been discussed as well.

신문기업이 저널리즘의 정체성을 견지하며 수행할 수 있는 수익사업에 관한 연구: 현직 언론사 간부기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a Business Model that Respect the Responsibility of Journalism as Well as Business Profit: Based on Incumbent Senior Reporters)

  • 김진국;김영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9권
    • /
    • pp.162-179
    • /
    • 2012
  •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인터넷 등 '디지털뉴미디어 혁명'으로 위기에 처한 신문기업이 회생하기 위하여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독립하여 정론적 논조를 견지해야 한다'는 저널리즘의 정체성을 훼손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 수익사업 분야로는 어떤 것이 바람직한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현직 신문사 간부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신문사 경영위기에 대한 인식, 광고수주와 신문판매와 같은 전통적 신문산업 비즈니스모델을 제외한 여타 수익사업에 대한 필요성, 수익사업 수행 시 저널리즘 정체성과의 충돌 가능성, 바람직한 수익사업 분야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자들은 신문기업들이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의 급속한 팽창 등 디지털뉴미디어 혁명에 대처하는 경영전략이 부재하며 이에 따라 광고수주와 신문판매 이외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사업을 개발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같은 수익사업에 무분별하게 뛰어들기보다는 공익(public interest)적이면서도 경영적 이익을 보장할 수 있는 사업이 바람직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 같은 사업에 대하여 기자들은 인터넷, 방송, 공연, 전시, 교육, 출판, 영화, 음악, 게임, 등 뉴미디어 정보문화사업 분야를 꼽았다.

  • PDF

한국(韓國) 패션저널리즘의 현황(現況) 연구(硏究)(1) - 5개 종합일간지(綜合日刊紙) 기사(記事)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Daily Newspaper)

  • 이성희;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4호
    • /
    • pp.45-5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esent situation of fashion journalism, which is a collaborator and watchdog of the fast-growing fashion business industry, then to proffer fundamental data for the setting of desirable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newspaper. Unlike magazine and internet news service which are focused on a specific group, daily newspaper has a far-reaching influence without regarding the age, gender and social status of the readers. Therefore, how newspaper deals with fashion and fashion phenomena has immense influence on the attitude and understanding of common people on fashion. Defining fashion journalism is an activity of gathering and mediating of various ideas and opinions on fashion, the beginning of fashion journalism of newspaper traces back to the late of 19th century. From then to the period of Japan's occupancy by force, newspaper used fashion articles to lead enlightenment of lifestyle. After Korean War, newspaper was one of the main path of in-flowing western culture and fashion trend till 1970s. During $1980s{\sim}1990s$, fashion articles in newspaper were separated from woman and family section and fashion journalism made their own way to a specialized field. In the beginning of 21st century, fashion journalism in the field of newspaper is armed with more various and profound contents then ever, but it is also true fashion journalism is not free from accusation of commercialization and agitation of preference on imported luxury goods. Today fashion articles of daily newspapers are not subordinated to the common idea, 'fashion is only for women'. Fashion articles deals with men as well as women. Information on new products is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fashion trend. Articles are not restricted in the fashion section. It means fashion journalism is expanding its territory to business section, opinion section and so on. However, fashion news dealing with aged people or young children are very rare. It suggests target readers of fashion news are concentrated on the people who have a considerable buying power. An main article usually has more than 3 photos. That means not only photos in fashion news are established as essential visual information today but also commercialization of fashion news makes rapid progress in this field. Also the considerable dependancy on the information sources from manufacturing side can be a problem of sustaining accuracy and impartiality of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