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ssibilites of Journalism as a cartoon

만화의 시사저널리즘으로서의 가능성 연구(Yellow Journalism으로서의 MAD를 중심으로)

  • 오유미 (전북대학교산업디자인대학원) ;
  • 정성환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Cartoons as one of visual art forms seek the essence of an, which is creation. They also have great ripple effects as popular art and culture. Cartoons as a communication tool by means of visual image give a better understanding thanks to its function of combining messages and animation. That is why cartoons have a unique place in journalism as the function of delivering facts through messages and pictures. MAD, a cartoon magazine for current issues, reveals and harshly criticize social contradictions, thereby eliciting readers'positive response. To effectively utilize cartoons, an approach in phases should be taken. First, different genres should be compared and embraced. And then, when the genre of cartoons enters the stage of expansion or growth, cartoons will become a new visual information medium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journalism, and literature, design and art in academia.

만화는 시각예술의 한 분야로서 창작이라는 예술의 본질을 추구하고 있으며, 대중예술문화에서 광범위한 파급효과를 지니고 있다. 만화는 글과 그림이 공존하는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으로 인해, 문자와 사진을 이용한 사실전달기능의 저널리즘에서 보다 효과적인 이해의 도움을 주기 때문에, 매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MAD는 시사 만화 잡지로서 사회의 모순을 드러내고 신랄하게 비판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서 독자들의 공감을 이끌어 낸다. 만화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그 접근 방법은 장르별 비교 수강 단계를 거치게 함으로써 만화장르의 확대 또는 상승단계에 도달할 때에 만화는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측면, 저널리즘 측면, 또는 학문에서 문학, 디자인, 예술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각 정보 매체로서의 위치에 설 수 있게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