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Generations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8초

일개 농촌지역 중.노년층의 건강행위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the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in a Rural Community)

  • 안옥희;박영주;정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3-46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the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in a rural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5 peop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differences of health behavior by sampl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ce of age, marital status, residence status,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2.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was related positively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was related negatively to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3.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behavior was 'social support,' followed by anxiety and self-efficacy. A combination of social support (42.1%), anxiety (3.0%) and self-efficacy (0.8%) accounted for 45.9% of the variance in health behavior in the middle and elderly subject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used to develop a practical management strategy to help promote health and health behavior of the middle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communities. In addition, the one idea to be emphasized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ave a favorable effect on the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지역갈등해소를 위한 사회자본 형성방안 -천안시를 중심으로- (Plan of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for the Resolving the Regional Conflict -focus on the case of Cheonan-)

  • 박종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67-175
    • /
    • 2013
  • 본 논문은 지역사회자본 형성을 통한 지역갈등해소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자본에 대한 이론적 배경, 사회자본의 기능과 구성요소, 지역갈등요인을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분석변수를 제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크게 사회자본과 지역갈등을 대칭으로 하고 인적요소를 독립변수로 놓은 형태로 구성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은 빈도분석, 회귀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빈도분석 결과 지역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자본형성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귀분석 결과, 사회자본 구성요인과 지역갈등요소인 지역이기주의, 지역참여, 지역문제 정도가 각각 결정계수 5.1%, 5.5%, 1.6%로 나타났으며, F 값은 4.030, 4.351, 1.194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자본형성이 높을수록 지역갈등 정도는 낮아지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즉, 사회자본형성이 지역갈등 해소에 상관성이 많음이 증명되었다. 사회자본형성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자지단체. 지역주민들이 함께 협력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회자본이 취약한 20대. 30대에 대한 사회자본 형성 전략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기성세대와 대학생의 가족생활에 대한 가치의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Value Orientation about Family Life between the Older Generations and College Students.)

  • 김일명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7권1호
    • /
    • pp.59-7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value orientation about family life between the older generations and college student.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the older generations and college students in Seoul. Among them 920 data were obtained To obtain the family value scale, item analysis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in pretest,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ile, mean , t-test , and step-wise multipl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ale college students show traditional tendency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how modern tendency especially sex-role attitude, ancestor worship attitude, patriarchy attitude. 2) Male and female of the older generations how traditional tendency. 3) The older generations show traditional tendency, college students show modern tendency, especially sex-role attitude and kinship attitude. 4) Male adults and male college students show traditional tendency. 5) Female adults show traditional tendency , female college students show modern tendency. In female, generation gap is more serious than males. 6) the most influencial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family value consciousness of the older generations are the religion and education, In case of college students, sex, major, religion, family income grown-up area effect on their value consciousness about family lif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 we should develop school education and many social programs to reduce the generation gap.

  • PDF

사회적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 홍효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93-104
    • /
    • 2022
  • 본 연구는 사회적협동조합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4차에 걸친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협동조합 7대 원칙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지속가능성의 문제는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 자원의 이용, 투자의 방향, 기술의 발전 그리고 제도변화가 서로 조화를 이루며 현재와 미래의 모든 세대의 필요와 욕구를 증진시키는 변화의 과정"으로 정의되었듯이. 사회적 가치와 환경보전 그리고 경제성장이 상호 대립되는 개념이 아닌 조화와 균형으로 미래 세대에도 지속가능한 사회를 연결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담겨진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협동조합 7대 원칙과 연계성을 정리한 결과, 사회적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에 노력해야 한다. 둘째, 공익과 더불어 수익모델을 창출해야 한다. 셋째,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 본연구를 통해 사회적협동조합이 실현하고자 하는 공익적 가치와 목적을 살펴볼 때, 지속가능한 발전의 세 가지 범위는 현 사회적경제 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경제적 가치 추구를 위한 중요한 행위자로서의 역할과 직결된다 하겠다. 따라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 문제는 사회적협동조합이 추구하는 목적과 가치가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의 조화와 균형발전이라는 개념에 기초하여 사회적협동조합 스스로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생애체험전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센타 내 생애체험학습센타 사례를 바탕으로 - (A Study on Space Formation of the Senior Simulation Center)

  • 이윤희;서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6-164
    • /
    • 2005
  • Like other countries undergoing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ncreases in the aged population have raised serious issues in Korea. The proportion of elderly will be foreseen over $14\%$ of population in 2019, over $20\%$ in 2026 in korea. Due to the rapid increasing in the aged population, it calls for social countermeasures urgently, And recent researches about attitude to the aged find out in general negative attitude to the aged of other generations. It is thought desirable that comprehension to the aged of the commonalty should be educated on the school basis or a variety of informal ways.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space formation of the senior simulation center that suggest to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the aging of all social members, particularly for the younger generation. In such space formation, it is important to work out a plan of efficiency education according to the systematic environmental setting with a focus on the minimization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living disabilities of aging, as interactive experiences gain malfunctions by ag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a focus on the integration of the whole generations and improved design management for the environment of a welfare policy for the aged.

세대별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세대의 탐색적 비교연구 (Exploratory Study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 김여진;최유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27-736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삶의 의미와 가치의 맥락을 담은 유데모니아 관점에서 사회적 세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층화표집법을 활용하여 전국 19세 이상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유데모니아 관점에서 측정하였으나, 물질적인 요인이 여전히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 세대의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제수준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는 모든 세대에 공통적으로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사회참여활동은 세대별로 다른 유형의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급격한 사회변화를 다르게 경험한 세대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으며, 향후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심층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sociology of generations - an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the generation concept)

  • 전상진
    • 한국인구학
    • /
    • 제25권2호
    • /
    • pp.193-230
    • /
    • 2002
  • 지난 수년 동안 세대현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 이와 같은 발전은 무엇보다 기존의 집단적 정체성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조건들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대에 대한 일반적 관심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일종의 저발전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무엇보다 개념 자체의 모호성과 다의성에 기인한다. 이 글의 목적은 세대개념에 내재된 다의성과 모호함을 개념의 사용맥락에 따라 분석적 구분을 통해 통제함으로써, 사회변동과 혁신을 파악할 수 있는 세대개념과 세대사회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있다.

Exploring the Motivation in Using Facebook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Generation X and Y in Indonesia

  • Hartijasti, Yank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0권1호
    • /
    • pp.53-66
    • /
    • 2013
  • Social reason was mostly the motivation for using Facebook among Generation Y, but results on Generation X were still inconclusive due to limited studies. By using content analysis of 93 participants' written statements gathered on April to May 2012, this study compared motivations among Facebookers from two generations. The study finds that Generation X and Y shared similar motivations. The majority of both generations use Facebook to keep in touch with their friends, as well as to seek updated information. A smaller number use Facebook for entertainment, online business, and self-expression.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continue using Facebook in the future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Twitter accounts.

빈곤의 세대간 탈피 경험 (Experience of Poverty Exit across Generations)

  • 김교성;노혜진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1호
    • /
    • pp.243-2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센의 실현가능능력 접근을 활용하여 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빈곤을 조망하면서, 빈곤의 세대간 탈피에 관한 삶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생애초기 빈곤을 경험했으나 현재 이를 탈피한 자녀세대와 부모세대 참여자와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빈곤의 세대간 탈피과정에서 발생하는 경험과 상호작용을 보다 심도있게 파악하고자 근거이론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빈곤' 의 의미는 자원 및 상황에 대하여 개인이 통제를 발휘하는 주체성의 성취와 자유가 부족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빈곤의 탈피는 기능의 성취뿐만 아니라 실현가능능력을 회복한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세대간 탈피과정을 살펴본 결과, 관계로부터의 도움과 생애주기에서 단계별 이행이 연속적이었다는 것이 중심 현상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중심현상은 빈곤의 탈피에서 중요한 사건이지만 동시에 불완전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관계로부터의 도움은 개인의 통제범위를 일정부분 벗어난 것이고, 참여자들이 이행의 과정에서 충분한 기간을 가지지 못해 2차 노동 시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로부터의 도움이 가지는 한계와 이행이 주는 소득상실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우선과제로서 국가복지의 확대와 이행지원 전략을 제안하였다.

생애사를 통해 본 중산층 기혼 여성의 첫 자가마련을 위한 주거경로 (Housing Pathways of Middle-class Married Women Toward Owning the First Home Through Life History)

  • 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89-10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ousing pathways of middle-class married women toward owning a first home. In doing so, an in-depth interview as a qualitative method was conducted, life history was utilized to track down the path to first-home owning, and all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well-educated middle-class full-time housewives owning a hom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amily formation through marriage and child birth was a primary driving force to buy a home. It was shown that owning a home was perceived not just as a stepping stone for building both family wealth and social capital but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pillars to reinforcing traditional family values. In spite of some intergenerational distinctions on the path toward home owning, commonalities across generations included that home owning was considered to be a social icon for middle-class, it became almost impossible for younger generations without parental support which stimulated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wealth, and it was greatly determined by both family income (affordability) and home finance options(borrowing capacity).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changing social landscape transforms the value on homeownership and could undermine the socioeconomic strengths of home owning. Nonetheless, it's of importance to strategically assist first homebuyers who are likely to be a member of middle-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