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the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in a Rural Community  

Ahn, Ok-Hee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Bark, Young-Joo (Department of Psychology, Woosuk University)
Chung, Hae-Kyung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behavior of the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in a rural commun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5 peop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differences of health behavior by sample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ce of age, marital status, residence status,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2.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was related positively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The level of health behavior was related negatively to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3.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health behavior was 'social support,' followed by anxiety and self-efficacy. A combination of social support (42.1%), anxiety (3.0%) and self-efficacy (0.8%) accounted for 45.9% of the variance in health behavior in the middle and elderly subject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ly used to develop a practical management strategy to help promote health and health behavior of the middle and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communities. In addition, the one idea to be emphasized should be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ave a favorable effect on the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Keywords
Rural Community; Health Behavior; Middle and Elderly Genera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미정, 김옥현, 김정희. 울산지역 노인의 생활습관에 따른 항산화 영양소 섭취실태 및 혈액 내 항산화 영양상태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7(4):527-538
2 김수옥, 박영주.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2001;3(2):230-239
3 김옥수, 백성희. 노인의 외로움과 사회적지지, 가족 기능간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3; 33(3):425-432
4 송남호, 김선미. 영세 노인들의 자기효능.사회적 지지.우울 간에 관계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0;11(1):158-171
5 Sherer M, Maddux JE.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1982;51:663-671
6 Cronch MA. Enhancement of self-esteem through the life span. Family and Community Health 1983;6(2):11-28   DOI   ScienceOn
7 김정아, 정승교.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한국노년학 1997; 17(3):144-176
8 오가실 외 6 인. 한국인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소. 대한간호학회지 1999;29(4):780-789
9 이선영. 재가 노인의 자아 존중감과 죽음에 대한 불안도 연구. 공주문화대학논문집 2000;27:285-298
10 Bandura A. Self-Efficacy: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Inc, 1986
11 손숙미, 전예나. 노인들의 골밀도와 신체계측 및 생활습관과의 관련성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2;7(3):327- 335   과학기술학회마을
12 Samuel W. Personality,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mpany, 1981
13 박영주. 여성노인의 무력감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노년학연구 2001;10:75-95
14 이영호.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계: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분석[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15 탁영란, 김순애, 이봉숙. 여성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도구적 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3;9(4):449-456
16 Pender NJ, Pender A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CT: Appleton and Lange, 1987
17 김수옥. 농촌 여성노인의 건강 생활양상[박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18 통계청 . http://kosis.nso.go.kr/cgi-bin/. 2003
19 이미숙, 우미경, 김인숙. 전주지역 중년의 생활습관과 건강상태 추적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0;5(2):185-192
20 이순희, 김숙영, 이영주. 농촌과 도시 중년여성의 건강실태와 생활양식에 관한 비교. 한국학교교육학회지 2002;8(1):120-130   과학기술학회마을
21 Bandura A. The self esteem in reciprocal determinism American Psychologist 1978; 33:344-358   DOI
22 Beck A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1967
23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24 서현미,하양숙.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ender 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대한간호학회지 2004;34(7):1288-1297
25 이영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 여자대학교 대학원, 1994.
26 이미영, 최미혜, 정연강, 허은희.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계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9; 10(1):140-153
27 최영희, 김순이. 한국노인의 건강행위 사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1997;27(3):601-613
28 Spielberger CD. Anxiety: Current Trends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New York, 1972;23-49
29 김정택, 신동균. STAI 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1978;21(11):69-75
30 박영주, 정혜경, 안옥희, 신행우. 노인의 외로움과 건강행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2004;6(1):91-98
31 유양경, 고성희, 김귀분, 정승희.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004;16(1):10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