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nflict

검색결과 836건 처리시간 0.03초

귀농·귀촌의 경험 여부에 따른 갈등 요인과 관리에 대한 인식 차이 (The Perception Gap about Conflict Factors and Solutions by Experience of Returning to Farming)

  • 이성일;안민지;김용근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77-87
    • /
    • 2016
  • Targeting people returning to farming and also people preparing for returning to farming,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awareness of conflict factors and conflict management focusing on the conflicts experiencing in the process of their movement and settlement process in rural area. In the results, people preparing for returning to farming showed higher awareness of conflicts and also higher necessity of conflict management than people already returning to farming. Also, both groups preferred individual conflict management to structural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like above, the implications can be summarized like below.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programs informing possible conflicts in advance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farming and also relieving psychological anxiety by providing prior-learning to people preparing for returning to farming.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individual conflict management measures to establish mutual trust and to form community spirit through regular social gatherings between original residents and people returning to farming. Since the effect of conflict management can be maximized only when the structural and individual conflict managements are properly harmonized,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structural conflict management which is relatively felt difficult.

사회적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간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of Social support, Marital conflict, Self-efficac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of infants)

  • 김종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24-393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그리고 양육스트레스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이 양육행동에 각각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연구: 2009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는 11~18개월의 영아 1,467명(남아 739명, 여아 728명)의 어머니이고, 연구방법으로 양육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원,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했으며, 이들 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양육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원, 부부갈등과 양육행동 간의 상관은 사회적지원,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p<.01)을,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p<.01)이 있었다. 둘째, 양육행동에 대한 이들 변인들의 중다상관계수는 .533으로써 양육행동 변량의 28.4%를 설명하고 있다. 그 중에 양육스트레스(${\beta}$=-.396)가 가장 많은 변량을 설명하고, 다음으로는 사회적지원(${\beta}$=.223)이였다. 부부갈등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간접적인 효과는 확인된 것으로 보아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of Dual-Earner Couples: Moderating effect of three types of coping strategies)

  • 임인혜;유성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551-57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6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 369쌍(아내 369명, 남편 36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문제중심, 사회적 지지추구, 긍정화), 일-가정 갈등, 결혼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기반으로 세 가지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각각의 조절효과를 일→가정, 가정→일 갈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6개의 연구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조절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문제중심대처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자신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아내의 문제중심대처가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가정→일 갈등이 본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남편 자신이 사용하는 문제중심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추구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아내가 사용하는 사회적 지지추구가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화 대처의 경우에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가정→일 갈등에서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향상 관련 변인 메타분석: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Focused on Social Support)

  • 윤민지;윤수란;공현정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113-138
    • /
    • 2021
  •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 및 일-가정 향상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총 34편(학술지 논문 14편, 학위논문 20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17,530). 일-가정 갈등과 향상은 방향에 따라 일→가정, 가정→일, 구분하지 않음으로, 사회적 지지의 지지자원은 가정, 배우자, 조직, 상사, 동료, 구분하지 않음으로, 지지유형은 정서적, 도구적, 정보적, 평가적 지지로 나누어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지자원과 지지유형 모두 일-가정 갈등 및 향상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지지자원에 따라 일→가정에서는 갈등과 향상 모두 상사가, 가정→일에서는 갈등에는 가정이, 향상에는 배우자가 가장 유의하였고, 지지유형은 일-가정 갈등에서 일→가정은 평가적, 정서적 순으로, 가정→일은 평가적 정보적 순으로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제시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부갈등, 자녀 양육 스트레스 및 애정 - 거부적 양육행동간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rital Conflict, Child-rearing Stress and Affection - Rejection Parenting for Mothers of Preschooler -)

  • 민하영;이영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6호
    • /
    • pp.203-213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conflict, child-rearing stress, and affection-rejection parenting for mothers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208 mothers who lived with at least one preschooler in Daegu or Gyeo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ingle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1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thers' marital confli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ffection parenting. However, the negative influence of mothers' marital conflict on affection parenting was mediated by child-rearing stress. (2) Mothers' marital conflic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jection parenting. However, the positive influence of mothers' marital conflict on rejection parent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child-rearing stress.

대인 갈등 조정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Conflict Mediation in Interpersonal Conflict Situations)

  • 김인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1권
    • /
    • pp.87-116
    • /
    • 2010
  • 본 연구는 대인 갈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갈등 조정의 서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구성되며, 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해체 과정을 통해 대안적 이야기로 변화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갈등조정가가 동원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중심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밝히려는 것도 또 다른 연구의 목적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포스트모던 이론의 하나인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서사적 갈등 조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사적 갈등 조정은 과거의 경험에 대해서 심리 중심으로 접근하는 갈등에 대한 치료적 방식과 함께 미래에 대한 대안을 행위 중심으로 접근한다. 특히 갈등의 문제를 대화로 연결하고, 갈등과 문제의 의미를 공동으로 창조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체계로서의 서사 조정은 인간의 주체성과 갈등의 고유성을 전제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지점이 갈등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들이 갈등 조정에 결정적인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은 갈등 현장에서의 조정 전문 분야 중의 하나로 커뮤니케이션학을 정립할 수 있는 핵심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개인변인과 부모변인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Individual and Parent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 이경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161-17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individual and parental factors that affect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For an analysis, perceived competence, intrinsic locus of control were included in individual variables. For parental variables, parental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and marital conflict were examined. The sample consisted of 561 fifth and sixth grade childre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r than boys. No age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fifth and sixth grade. Second, boy's and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competence, intrinsic locus of control, parental support and achievement pressure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l marital conflict. Third,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boy's and girl's achievement motivation were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perceived social competenc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boy's individual and social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the other hand,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individual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perceived social competence,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intrinsic locus of control a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social 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nd mother's support.

대인접객서비스 근로자의 성별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Gender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Service Workers)

  • 이복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2-24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female and male service workers an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influencing depression. Metho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hotel, wholesale, and insurance companies. A total of 244 workers were recruited. Among them, 118 were female worker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person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daily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a CES-D Korean version. Result: The average job stress of female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workers (P<.05). The average depression scores of female worker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work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ole conflict and low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in female workers. In male workers, role conflict, low social support, and under-utilization of abilit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p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pression of service workers may be prevented by creating a workplace environment that focuses on role conflict and social support. Also, health providers should consider the vulnerability of working women to job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