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mparison

검색결과 1,660건 처리시간 0.033초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SNS 이용중단 의도 (An Empirical Study of Discontinuous Use Intention on SNS: From a Perspective of Society Comparison Theory)

  • 차경진;이은목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9-77
    • /
    • 2015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발전과 확산으로 사람들은 타인의 정보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쉽게 공유할 수 있게 되었고, 타인과의 관계형성 또한 더욱 쉽고 빠른 방법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페이스북 같은 SNS는 광범위한 사용성과 빠른 확산성과 함께, 타인과의 풍부한 사회비교 기회를 갖게 한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 기반한 사회비교 노출이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과 SNS의 사용중단 의도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사회비교 활동이 크게 3가지로 나뉜다고 보았는데, 가장먼저 본인의 위치와 비슷하다고 느끼는 상대와 자신을 평가하려는 자기평가욕구에서 시작하는 유사비교활동, 본인보다 더 열등한 사람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정서가 다치지 않게 하려는 자기방어욕구에서 비롯되는 하향비교활동, 마지막으로 자신보다 더 나은 상대와 비교함으로써 자신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자기향상욕구와 관련되는 상향비교활동이다. 이러한 사회비교활동들은 사람들이 매일매일 SNS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상향비교, 유사비교와 관련된 정보들에 자주 노출됨으로써,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부정적인 감정들과 피로감으로 이어져 SNS 중단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9명의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SNS 이용자들이 타인과 상향비교와 유사비교를 할수록 부정적 감정을 느끼게 되어, 이러한 감정들이 결국 SNS에 대한 부정적 태도(Attitude)를 거쳐 SNS 이용중단(Behavior)에 이르게 된다는 것을 밝히고자하였다. PLS 분석결과, SNS 사용 중 일어나는 사회비교와 타인탐색위주의 SNS의 사용은 사용자들에게 부정적인 감정들을 느끼게 하며 이 부정적인 감정들이 SNS 이용중단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이용중단 의도에 관한 연구를 사회 심리학적 관점으로 확대하여 실증적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과 상향비교 또는 유사비교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기존의 심리학연구결과를 SNS 환경에서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여자 청소년의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2년 추후연구 - (The Effects of a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for Social Anxiety in Female Adolescents)

  • 김정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13-24
    • /
    • 2008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cognitive-behavioral group therapy program for social anxiety in Korean adolescents and to examine its efficacy through pre-, post- and 2-year follow-up tests. The program included cognitive restructuring, exposure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KSAS-A and SASC-R were administered to 588 1st grade middle-school female students to assess their social anxiety levels. On the basis of double criteria procedure(top 10% scores on both scales), 59 students were selected initially. Individuals currently receiving clinical treatment were excluded. Finally, 40 stud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treatment group or a wait-list control group. The program consisted of 12 weekly sessions, approximately 1.5-2 hours in duration. Whereas pre- an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follow-up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treatment group onl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t post-tes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very significant reduction in social anxiety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by other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wait-list group. 2) At post-tes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wait-list group. 3) At post-tes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social skill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wait-list group. 4) At post-test students in the wait-lis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social anxiety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the treatment group. 5) At 3-month, 1-year and 2-year follow-ups,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maintained.

A Study on Information Graphics i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Lee, Sang-Boc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3호
    • /
    • pp.603-60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dea of data view and information graphics is used in the social studios middle school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social studies middle textbooks for 7-9 grades. We set up three questions for this studies; what kinds of information graphics are used in the textbooks, how the graphics are organized in the social studies middle school, and how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lated with the 7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Photographs, illustrations, information maps, etc., are used and frequencies of their usages are in descending order, 2) double lines graphs, circle graphs, and stripe graphs nip often adopted for the comparison of populations, 3) the relation of the two subjects curricula is not so good, especially in the curriculum steps of information mads scatter diagrams, and comparison of populations. Finally we suggest that new web site of data view or information graphics be provided for two curricula, workshop of information graphics are need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 PDF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Social Factors and Achievement in On-offline Blended English Writing Class

  • Kim, Jeong-Yeo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97-12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motivational constructs are interrelated with social, context-specific factors and, as a result, contribute to L2 writing achievement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data consisted of 67 Korean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 responses, final scores in an on-offline blended writing course, an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5 students. In the descriptive and the correlation analyses, the participants' extrinsic motivation was found higher than intrinsic motivation, with low amotivation. Among social factors, immersion environment, foreign instructor, and peer comparison marked high scores, whereas Korean instructor and online material gained low scores. Those contextual factors we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immersion factor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Korean instructor and peer comparison.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al subscales engendered strong correlations with the high-scored social factors, i.e., immersion, foreign instructor, and peer comparison, which were also closely interrelated with L2 writing achievement. The findings illuminate intricate workings of motivation in its effects on L2 achievement and corroborate the roles of contextual factors. The effect of motivational subscales on achievement may be valid through interplay with some social factors. The dynamics of motivation is discussed for pedagogical applications.

  • PDF

Differences in Reactions to Sales Promotions: Superior or Inferior to Your Product?

  • Kim, Chang Soo;Jo, Myung-Soo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99-116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oduct promotions are influenced by the market standing of promoted products, using social comparison theory (upward versus downward comparisons). It is hypothesized that people in possession of a product that is inferior to the one on promotion express less discomfort about the promotion and use the information more than do people in possession of a superior product. People in possession of an inferior product may also exhibit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on promotion, but may show poorer attitudes toward their own possessed product than do people with a superior product. This is because people in an inferior socioeconomic position show a strong motivation to improve themselves through upward social comparison, whereas people in a superior socioeconomic position maintain a strong sense of superiority in downward social comparison, which suggests strong endowment effects. The findings mainly support the hypotheses, and suggest that sales promotions are more effective for people who currently own an inferior product, but not for people with a superior product, who have a strong motivation to maintain their sense of superiority. The findings also imply that,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in the superior market, managers for inferior products need to turn to methods other than sales promotions, which may include introducing a new brand or sub-brand, or emphasizing luxury and modern features. In contrast, managers for superior products may emphasize product functions and attributes of superior products in their promotions, as people with inferior products may consider such information as benefits of the superior products.

  • PDF

브랜드 명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이 AI 추천 제품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 미치는 영향연구 (The Effects of Brand Repuration and Social Comparison on Consumer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a Product Recommended by AI)

  • 이성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1호
    • /
    • pp.67-75
    • /
    • 2024
  • 최근 검색사이트의 인공지능 기반 제품 추천 서비스의 도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반 제품 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 및 광고효과를 이해하고자 브랜드의 특성과 소비자 성향에 따라 AI 상품추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브랜드 명성(높음 vs.낮음)과 비교성향수준(높음 vs.낮음)이 AI가 추천한 상품의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브랜드 명성과 비교성향 수준은 AI가 추천한 상품의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 상품추천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보다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요인들을 검증하였으며 AI를 활용한 서비스 전략 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의 다중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of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Self-Criticis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 손영미;박정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145-166
    • /
    • 2020
  • 본 연구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을 매개하여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4학년 재학 이상의 취업경험이 없는 20대 미취업자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며, 사회비교를 하는 경향성이 있고, 자기비난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며, 자기비난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사회비교의 경향성은 낮았다. 둘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진로미결정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애착불안, 애착회피, 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애착유형에 따라 진로미결정수준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의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애착불안은 자기비난과 사회비교경향성을 부분매개하여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애착회피는 자기비난과 사회비교경향성을 완전매개하여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경제수준, 사회수준, 그리고 사회복지수준 : 국제간 사회복지수준 비교 (Economic development, Social Condition, and Social Welfare Development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 김철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155-179
    • /
    • 2003
  • 본 논문은 국가간 사회복지수준을 비교하는 기준으로서 경제수준과 사회수준 중 후자가 보다 적절한 기준임을 밝혀냈다. 또한 사회복지지출이 많은 나라들일수록 사회수준이 경제수준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경제성장 위주의 정책보다는 사회 각 부문의 균형적 발전을 통한 보편적 삶의 질, 즉 사회수준 향상이 사회복지수준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는 결과였다. 한국의 사회복지수준은 우리의 경제, 사회수준을 고려한 기대수준보다 현저히 낮다는 기존의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보편적 삶의 질과 빈곤층의 삶의 질 수준과의 격차를 해소하여 권리로서의 사회복지를 실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것과 사회수준 자체의 향상을 통해 사회복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증가시키고, 사회복지부문간 격차, 즉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와의 현격한 차이를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