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apital Theory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7초

사회자본과 정보격차의 사회적 함의 (Social Capital and the Social Implication of Digital Divide)

  • 이승민
    • 정보관리연구
    • /
    • 제38권1호
    • /
    • pp.37-58
    • /
    • 2007
  • 현재의 정보격차는 전통적인 개념의 정보격차와는 달리 상당히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과거에는 정보격차와 사회자본은 별개의 개념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현재의 정보격차는 사회구성원의 사회자본 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 간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정보격차는 사회자본의 형성과 결합함으로써 과거의 이분법적인 사회집단의 구분을 한 단계 더 분리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의 급속한 발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사회구조적 분리는 과거와 같은 정보격차 해소방안과는 다른 차원의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March 2002 survey)를 사용하여 ICT의 활용으로 인해 야기되는 정보격차와 사회자본 사이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How Social Capital Mediates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Evidence from Vietnamese Industrial Enterprises

  • TRAN, Toan Khanh Ph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647-655
    • /
    • 2021
  • Job crafting refers to changes that individuals make in their work to achieve their preferences and needs. Contingent on the social exchange theo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7 employees in Vietnamese industrial enterprise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information was then analyzed by explan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show that all three dimensions of job crating positively affect job performance and that social capital plays a mediating role in that relationship.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particularly job crafting, by examining different dimensions of job crafting that impacts job performance. Moreover, this is the first study to test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These insights may help the organizational managers to encourage beneficial job craf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ccess to Financ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Vietnam

  • Luc, Phan T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1호
    • /
    • pp.63-72
    • /
    • 2018
  • Social entrepreneurship is increasingly gaining interest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great benefits of society. In Vietnam, the concept of social entrepreneurship is still quite new.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regarded as a useful and practi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actual entrepreneuria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del based on planned behavior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perceived access to finance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confirm factor analysis to study the latent constructs underlying determinants of planned behavioral theory, perceived access to finance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n, it applies the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latent constructs.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ccess to finance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Perceived access to finance only indirec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attitude towards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al.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ceptual factor of financial access that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study does not cover other in-depth issues of social entrepreneurship such as decision making, leadership, personality traits,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To establish an environment with a strong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 focus on developing perceived access to finance is an extremely important facto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attitude towards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al have a strong impact to social entrepreneurship.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속적 사용에 대한 이해 : 기술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의 비교 (Understanding Continuous Use of Virtual Communities : A Comparison of Technical and Social Perspectives)

  • 함주연;이재남;이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9-422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del that best explains members' continued use intention in virtual communities by comparing technical and social perspectives applied in IS context. With the eight major variables identified from prior studies, four alternative models were formulated:1) A base model from Information Systems (IS) continuance perspective, 2) IS continuance model with technology-acceptance perspective, 3) IS continuance model with social-capital perspective, and 4) IS continuance model with socio-technical combined perspective. The adequacies of these four models with different perspective highlighted were tested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virtual community users in Kore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IS continuance model and social-capital perspective is the most efficient model that best explains the members' continued use intention in virtual communities.

장애인 실업의 원인 : 생산성 또는 차별? (Causes of high unemploymen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productivity, or discrimination?)

  • 유동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8권
    • /
    • pp.333-35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causes of high unemployment among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productivity and discrimination. In order to pursue such goal this study adopts human capital theory, screening theory, job contest theory, taste theory and statistical discrimination theory as theoretical background. The major findings are: (1) Among the human capital variables Education degree and job training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employment. Only degree of activity limit has significant effect. (2) Among the discrimination related variables only discrimination experiences variable has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3) Between degree of activity limit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both have similar effect on employment. But the degree of activity limit can be thought as discrimination related element. Because' not giving resonable accommodation' is regarded discrimination in ADA or DDA. These mean that it is important for society to compel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o put focus on eliminating prejudice rather than accomplishing education and job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evy for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of the disabled persons' employment promotion act and to establish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lso, integrated education starting from infancy is necessary. Educ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and Job training must focused on industry which demand more labor force.

  • PDF

사회적 자본이 이동학습자의 지식공유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mobile learners)

  • 진영;이경락;이상준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647-658
    • /
    • 2018
  • 현대사회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지식을 습득하고 창출하기 위해 지식 공유가 필요하다. 지식공유는 동료들과 협력하거나 이들을 돕기 위해 자신의 정보 지식, 노하우를 제공하는 행동이다. 본 연구는 가상커뮤니티 구성원의 모바일 지식공유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자본이론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제시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사회적 자본이론을 구조적, 관계적 그리고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구조적 측면의 척도로 사회적 유대, 인지적 측면의 척도로 공유 언어와 공유비전, 그리고 관계적 측면의 척도로 신뢰로 구성했다. 설문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2를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세부 요인이 정보 공유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식공유의 정도가 커뮤니티 촉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유대 관계, 공유된 언어, 공유된 비전, 신뢰가 지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공유는 커뮤니티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문화자본 : Bourdieu의 문화재생산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social character and cultural capital of curriculum : Focusing on Bourdieu's theories of cultural reproduction)

  • 황재연;안관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7-16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Bourdieu(Pierre Bourdieu)의 문화재생산론적 관점에서 사회계층이 학교의 교육과정에 의해서 재생산되고 있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과 문화자본의 사회통제성 그리고 이들이 계급 재생산을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계층은 교육과정의 이데올로기적 지향성에 의해서 재생산된다고 본다. 이는 학교의 교육과정이 사회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지배계급의 문화적 자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SNS에서 사용자의 정보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Factors to Affect on Users' Self-disclosure in Social Networking Services)

  • 방정혜;강소라;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9-76
    • /
    • 2016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들이 늘어감에 따라 SNS에서 정보를 공개하게 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SNS 사용시 정보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사회적 자본 이론과 조절초점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SNS 사용자들은 연결자본 중심적인지 결속자본 중심적인지에 따라, 그리고 촉진지향적인지, 방어지향적인지에 따라 정보공개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연결 자본이 클수록 SNS 셋팅 공개도 많아지고, 대화에서의 정보공개 또한 많아지지만, 결속자본은 SNS에서의 대화에 정보공개는 많아지지만, SNS 셋팅에서의 정보공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조절초점이론에 대해서는, 촉진지향성이 크면 SNS 셋팅과 대화에서 모두 정보공개가 많아졌으나, 방어지향성은 SNS 셋팅에서 정보공개는 적게 하지만 SNS 대화에서의 정보공개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로는 연결자본이 크고 촉진지향성이 큰 사람일수록 SNS 셋팅에서의 정보공개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 사용자들이 정보공개를 늘리고 SNS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들에게 관계의 형성과 확산이 중요하고 개인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SNS정보공개 및 개인의 조절초점 성향을 통합한 연구로써,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툴인 SNS에서 정보공개 및 SNS 셋팅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을 보여주고 있다. 정보를 공개하거나 보호하는 요소들을 파악함으로써 교육자들이나 연구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정보 보호나 공개의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이 대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University Students' Campus Life Adjus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 유민;이의연;전정호;이종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83-50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교 재학생들이 학업을 이수하는 데에 있어서 심리적 부담과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안녕감, 대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5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은 개인-정서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학업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은 사회적 자본과 대학교 생활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과 대학교 생활적응의 관계성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들의 상호 협력관계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은 사회교환이론에 의해 규명되어진다는 점을 밝히는데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학교차원에서 이러한 사회적 자본을 강화시키고 상호 협력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