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e scor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StyleGAN Encoder를 활용한 표정 이미지 생성에서의 연령 왜곡 감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ge distortion reduction in facial expression image generation using StyleGAN Encoder)

  • 이희열;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64-47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StyleGAN Encoder를 활용한 표정 이미지 생성에서의 연령 왜곡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표정 이미지 생성 과정은 StyleGAN Encoder를 사용하여 얼굴 이미지를 생성하고, SVM을 이용하여 학습된 boundary를 잠재 벡터에 적용하여 표정을 변화시킨다. 그러나 웃는 표정의 boundary를 학습할 때 표정 변화에 따른 연령 왜곡이 발생한다. 웃는 표정에 대한 SVM 학습에서 생성된 smile boundary는 표정 변화로 인해 생긴 주름이 학습 요소로 포함되어 있으며 연령에 대한 특성도 함께 학습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에서는 smile boundary와 age boundary의 상관계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smile boundary에서 age boundary를 상관계수에 비례하여 조절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공개된 표준 얼굴 데이터셋인 FFHQ 데이터셋을 사용하고 FID score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mile 이미지에서는 기존 방법에 비하여, Ground Truth와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0.46 향상되었다. 또한, Smile 이미지에서 기존 방법에 비하여, StyleGAN Encoder로 생성된 이미지와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1.031 향상되었다. Non-smile 이미지에서는 기존 방법에 비하여, Ground Truth와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non-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2.25 향상되었다. 또한, Non-smile 이미지에서 기존 방법에 비하여, StyleGAN Encoder로 생성된 이미지와 제안된 방법으로 생성된 non-smile 이미지의 FID score가 약 약 1.908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각 생성된 표정 이미지의 연령을 추정하여 StyleGAN Encoder로 생성된 이미지의 추정된 연령과 MSE를 측정한 결과, 기존방법 대비 제안하는 방법이 smile 이미지에서 약 1.5, non-smile 이미지에서 약 1.63의 성능 향상되어 제안한 방법에 대한 성능의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치아결손, 보철물의 장착 및 치열부정이 미소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MISSING TEETH, PROSTHESIS AND MALALIGNMENT ON THE SMILE)

  • 고준원;진태호;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42-548
    • /
    • 199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ssing teeth, prosthesis and malalignment on the smile. The full smile photographs of 145 Korean adults(male 114 : female 31) were taken and classified by the lip patter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p and the teeth, and the number of teeth displayed in a smile. Besides, the esthetic smile score were estimated by five dentists. Obtain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esthetic level of missing teeth group and malaligned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2. The esthetic level of prosthesis group had no difference with that of the normal group. 3. The Number of teeth displayed in a smile had the most effect on the esthetic level in each experimental group.

  • PDF

20년전과 비교한 한국청년의 미소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ile of Korean Youth compared with twenty years ago)

  • 범승균;정지혜;김태영;이경은;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2-168
    • /
    • 2012
  • 연구 목적: 일반적으로 치아는 미소 지을 때 가장 많이 노출되며, 미소 시에 나타나는 치아와 연조직과의 관계 등은 심미적인 보철 수복에 있어서 중요한 지침이 된다. 본 연구는 20년 전 한국 청년들의 미소와 현재 한국 청년들의 미소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신체적인 발육 상태가 정상적이고 전신적 또는 유전적 질환이 없으며, 안모가 양호하고 치아의 결손이 없으며 교정 및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교합상태가 비교적 정상적인 20-29세 사이의 청년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Cephalometer에 사용되는 두부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F-H plane이 지면에 평행하도록 한 후, 35 mm 카메라(400D. Cannon, Japan), 120 mm 렌즈 그리고 삼각대를 사용하여 피검자의 midsagittal plane에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맞추고 상악 중절치 절단과 렌즈와의 거리를 930 mm로 하여 안정위 및 full smile 시의 안모 정면 사진을 3회씩 촬영하였다. 1991년 윤 등이 촬영한 대학생 240명 중 무작위로 선택한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의 미소사진과 함께 개인용 컴퓨터 및 V-ceph 6.0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Hulsey의 미소 계측 방법을 참고로 하여, 상순의 형태, 상순과 치아와의 관계, 하순과 상악 전치 절단연과의 평행 관계, 하순과 상악 전치 절단연과의 접촉 관계, 미소시 나타나는 치아 등을 계측하고 분석하였다. 한편 치과의사 10인이 남,녀 각 2회씩 미소에 대한 미적평가를 시행하여 미소평점을 기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지난 20년간 한국 청년의 미소가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상순의 형태가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는 형태의 미소가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인 반면 입 꼬리가 아래로 처지는 형태의 미소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 지난 20년간 한국 청년의 미소가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변화는 주로 상순의 형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 인식도와 구강관리실태가 미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its actual Oral Condition on Smile)

  • 신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58-265
    • /
    • 2013
  • 구강보건에 관한 인식도 및 관리실태와 미소평점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시내 남녀 고등학교 학생 150명(남자80명, 여자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강보건 지식의 수준과 일상 치아 관리실태에 관하여 설문지를 통해 평가한 후 아무런 부담을 주지 않은 편안한 상태에서 설문지 해당 각자의 미소 시 정면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이연구와 상관이 없고 근무지와 직책이 다른 5명의 치과의사를 무작위로 선출하여 연구 대상자의 미소를 다섯 분류의 점수로 평가한 후 각각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강보건에 관한 인식도 및 관리실태와 미소평점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 인식도조사에서는 오답이 많았지만 관리실태 조사에서는 일상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강보건의 인지특성이나 관리실태의 실천보다는 미소는 평상시 반복된 습관적 행태에 더 많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얼굴 표정을 이용한 코딩 스타일 점수 시각화 (Coding Style Score Visualization Using Facial Expression)

  • 지정훈;이윤정;우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7호
    • /
    • pp.578-58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소스코드의 코딩 스타일을 검사하고 코딩 스타일 점수를 얼굴 표정을 이용해 시각화하는 시스템인 StyleVisualizer 를 제안한다. StyleVisualizer 는 스타일 평가 점수에 따라 몇 가지 얼굴로 표현한다. 웃는 표정은 소스코드가 코딩 표준을 잘 준수했음을 의미한다. StyleVisualizer 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분반의 실용 컴퓨터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서는 StyleVisualizer 를 사용한 분반과 사용하지 않은 분반에 대해 코딩 표준 준수에 대한 오류 비율을 비교했다. 실험결과, StyleVisualizer 를 사용한 경우 30% 이상 오류 비율이 감소하였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자신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시각화된 결과를 피드백해 줌으로써 코딩 표준을 준수하고 가독성이 높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정환자의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지식도와 태도 및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Research on the usage of oral hygiene devices and the general knowledge, attitude on oral health care in the orthodontic patients)

  • 민희홍;라은주;전지현;박영남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99-407
    • /
    • 2012
  • Objectives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d the general knowledge on oral health and the usage of oral hygiene products in the orthodontic patients and try to provide an appropriate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patients. Methods :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in Daejeon were selected and data from 352 patients were collected. Questionnaire based on survey was conducted from 1st of March to 30th in 2011 and all the data was analys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VER 15.0). Frequency analysis, $x^2$ test, T-test and the amount of diurnal variance analysis (one-way ANOVA) were also used. After that, scheffe's post-test method was conducted. Results :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al health care knowledge score was $2.87{\pm}0.60$, the attitude score was $2.96{\pm}0.57$. toothbrush replacement cycle were less than 3 months (p=0.007, p=0.000) and frequency of brushing one day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in patients with knowledge to help attitude. according to the sex, age, and dura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with oral hygiene devices of usage was higher in the calibration toothbrush usage, awareness was higher in the interdental toothbrushes. according to the type of orthodontic devices from the oral hygiene devices usage, removable group was the orthodontic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group were highest in the 'unknown', the fixed group was orthodontic toothbrush(67.3%) and electric toothbrushes(40.8%) was higher in the usage. Patients who used oral hygiene devices such as orthodontic tooth brush, interdental brush, electric toothbrush, water pik and fern solution showed wider knowledge on oral health care and oral hygiene devices compared to patients who answered as does not aware of oral hygiene devices and never used these products before. Conclusions : Orthodontic patient's oral health attitudes, knowledge, and oral hygiene devices usage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highest in the orthodontic toothbrush usage, awareness was higher in the interdental brush. Water pik and fern solution, rubber and gingival interdental stimulator turned massage does not use or low. Based on results from research, overall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ed a dental clinic had low awareness and usage of oral hygiene devic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ducate general publics and the orthodontic patients and also promote the importance of usage of oral hygien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