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ax china. 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1초

토복령(土茯笭)이 피부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ilax China L. on the Growth of Skin Cancer Cells)

  • 송시열;정민영;최정화;박수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6
    • /
    • 2024
  • Objectives : We aimed to study the effect of Smilax China L.(SCL), which ha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n the growth of skin cancer cells. Methods : HaCaT cells, a normal human cell line, and skin cancer cells including A431, SK-MEL-5 and SK-MEL-28 cells were treated with Smilax China L. ethanol extract(SCL-EtOH) at concentrations of 5, 10, 20 and 40㎍/㎖. Meanwhile, JB6 Cl41, a normal mouse epithelial cell line, was treated with epidermal growth factor(EGF) and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TPA), an inflammatory factor, to induce cell transformation and treated with SCL-EtOH. In addition, we treated SK-MEL-5 and SK-MEL-28 cells with SCL-EtOH at various concentrations and checked the effect on the cell cycle. Results : As a result, it showed no toxicity to HaCaT cells up to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40㎍/㎖, and significant cell growth inhibition to A431, SK-MEL-5 and SK-MEL-28 cells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hape of skin cancer cells according to SCL-EtOH treatment, it was observed that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normally attached and growing cells decreased and the shape of the cells changed. Colony form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JB6 Cl41 cells treated with EGF or TPA. Flow cytometry analysis with propidium iodide(PI) staining showed that SCL-EtOH induced the G2/M phase arrest. We further confirmed the decrease in Cyclin B1 expression and increase in p27 expression associated with the G2/M phase of the cell cycle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Flow cytometry analysis confirmed that SCL-EtOH induced cell apoptosis. Furthermore,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of cleaved-caspase-7, which is related to apoptosis, increas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COX-2, an inflammatory marker protein, de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SCL-EtOH. Conclusions : Through the above results, we have established a basis for applying SCL to the treatment of skin cancer.

토복령 추출물을 첨가한 소스의 항산화 활성 및 저장 중 품질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ew Sauce Mixed with Smilax china L. Extract During Storage)

  • 김현수;황태영;안정좌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89-498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China root (Smilax china L.) extract on th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ausage stew sauce and the soft-tofu stew sauce over a 5-week storage period. Commercial sauces were obtained from the market, and samples were prepared using four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e China root extract (0% (control), 0.5%, 1.0%, and 1.5%) and stored at $5^{\circ}C$ and $20^{\circ}C$. Over the 5-week storage period, pH and salinity showed slight changes in both the sausage and soft-tofu stew sauc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regardless of the extract amount and temperature. At 5 week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total microbial count in groups with the China root extract (p<0.05) for both the sausage and soft-tofu stew sauces at $5^{\circ}C$. Over the whole storage period, no coliform, yeast, and mold were detected in any sample. S. aureus counts were not detected in 1.0% and 1.5% China root groups at $5^{\circ}C$, but 1.00-1.60 log CFU/g was found in the control and 0.5% group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5 weeks showed an in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the China root extract in both sau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ina root extract inhibited microbial growth during storage as well as scavenging activity and thus that it can be considered to prolong the shelf life of commercial sauces.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 투여가 실험동물의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ilax china L. Rhizome Extract on Heavy Metal Contents in Rats)

  • 강혜숙;유한춘;최유리;김후경;조선미;윤병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3-238
    • /
    • 2011
  • 한방에서 토복령으로 알려진 청미래 덩굴 뿌리(Smilax china L. rhizome) 추출물 투여가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4주령 SD rat을 대상으로 중금속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중금속(Pb, Cd, As, Hg) 투여한 대조군 및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SCE)을 체중 kg당 13 mg(SC1)과 26 mg(SC2)씩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증가나 표적 장기의 무게는 실험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에서의 중금속 축적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CE 투여군에서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SC2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간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SCE 투여군에서 Cd을 제외하고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경우 SC2군에서 Pb와 Cd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털에서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SC2군에서 Pb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체내의 중금속 축적 장기인 간과 신장 그리고 혈액 및 털에서 Pb와 Cd, As, Hg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SCE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토복령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Smilax china root)

  • 장태원;오창근;박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09-117
    • /
    • 2018
  • 최근까지도, 현대사회의 암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 내부에서 내재적 또는 외재적인 요인에 의해 DNA 손상이 발생되고, 세포는 DNA 손상에 대한 방어기작을 통해 스스로를 방어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DNA 생성 및 결손된 DNA 가닥의 복원은 노화, 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기인한다. 많은 연구자는 이러한 DNA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재 탐색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합성화합물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암 예방적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복령은 백합과(Liliacese)에 속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의 근경이며, 전통적으로 해독과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토복령의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토복령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식물이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의 활성과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HPLC 분석을 통해 phenolic 화합물을 정량 및 동정하였으며, 항산화 효과와 phenolic 화합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OH^-$ 라디칼 및 $Fe^{2+}$으로 유발된 plasmid DNA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수준에서, DNA 손상에 대한 저해 효과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NIH 3T3 세포의 ${\gamma]$-H2AX 및 p53 단백질 발현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H2AX 및 p53 mRNA 수준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토복령 추출물의 phenolic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 김미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6-175
    • /
    • 2014
  •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해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식이군(NC), 기본식이를 급여한 후 $CCl_4$ 처리군(CB), 비발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NS),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한 후, $CCl_4$를 처리한 군(FS)의 4개군(5마리/군)으로 구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ALT 및 AST 활성, GSH 및 LPO 함량, 혈청 지질 함량, XO 및 AO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CB, NS, FS)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S군과 FS군에서는 그 감소율이 낮았으며, FS군에서 더욱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간의 중량은 $CCl_4$ 처리군들에서 높았으나, FS군에 NS군에 비하여 낮았다. ALT 및 AST 활성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2.34~3.80배가 높았으며,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6.34~37.35% 및 34.97~45.66%가 낮았다. 혈청 중성 지질의 함량은 NC군에 비하여 CB군이 81.71%가 높았으며, NS군과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5.61% 및 28.22%가 낮았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4.07%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0.59% 및 17.99%가 낮았으며, LDL-cholesterol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에,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5.08%가 낮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26.96% 및 72.12%가 높았다. GSH의 함량(${\mu}mole/g$ of tissue)은 CB군(4.42)이 NC군(5.09)에 비하여 13.16%가 낮았으나, NS군과 FS군은 각각 4.84 및 4.93으로 NC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S군과 FS군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PO의 함량(MDA nmole/g of tissue)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6.71%가 높았으나, 특히 FS군에서는 NC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XO(xanthine oxidase) 활성(% against control)은 NC군이 98.45, CB군 128.97, NS군 119.70, FS군 90.65로 NS군은 CB군과, FS군은 NS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O(aldehyde oxidase)의 활성(% against control)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22.48%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4.88% 및 7.56%가 높았으며, CB군에 비하여는 각각 8.94% 및 16.1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물은 비발효 경우에 비하여 $CCl_4$를 처리한 mouse에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FS군에서 XO 및 AO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청미래덩굴잎에 존재하는 flavonoid 배당체가 발효에 의하여 분해되어 aglycone화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균주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milax china L. Leaf Teas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강윤환;서주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07-8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을 이용한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차 제조를 시도하였다. 균주로 Saccharomyces cerevisiae(S),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혼합미생물(B), Bifidobacterium bifidus(L), Monascus pilosus(M) 및 Aspergilus oryzae(A)를 사용하여 발효차(S, B, L, M, A)를 제조하였으며, 발효시키지 않은 청미래덩굴잎(C)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와 관련된 total polyphenol(TP) 및 total flavonoid(TF) 함량과 활성산소 소거계 활성으로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ferrous iron chelating ability (FICA) 및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LPOIA)와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XOIA) 및 aldehyd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AOI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수로 1% 농도로 우려낸 발효차의 색상은 A차는 적색을 띠었으나, 그 외의 모든 차는 황색을 띠었다. 차의 향, 맛, 밝기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A차 3.95점, M차 3.30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외 S, B, L차는 2.55~2.28점으로 C차와 유사하였다. C차 열수 추출물의 TP 및 TF 함량은 각각 28.94 및 18.39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34.97 및 34.44 mg/g 이었다. 발효차는 C차에 비하여 TP의 함량이 낮았으나, 에탄올 가용성 flavonoid 함량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A차는 수용성 TF 함량과 에탄올 가용성 TP의 함량이 낮았다. 청미래덩굴잎 및 그 발효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DA($1mg/m{\ell}$)는 19.25~22.48%이었으나, A차는 8.04~12.49%이었다. C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FRAP($Fe^{2+}\;{\mu}mole/g$ dry basis)는 4.38~5.84이었으며, S, B, L, M 및 A차와 대등하였다. FICA는 발효차 중에서는 A차가 높았으며, 여타 차는 발효차와 비발효차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LPOIA는 $200{\mu}g/m{\ell}$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37.08~41.42%, 에탄올 추출물은 28.66~32.57%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높았으며, 차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1mg/m{\ell}$)의 XOIA 및 AOIA는 모두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에서의 XOIA는 C, S, M 및 A차에서는 4.83~9.20%이었으나, B 및 L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9.00~19.00%이었다. AOIA는 열수 추출물은 30.17~48.52%, 에탄올 추출물은 44.09~66.93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발효차 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은 비발효차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에 의하여 TP와 TF의 감소율이 높으나, 관능적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A차 열수 추출물(0.1%)에서도 FRAP, FICA, LPOIA 및 AOIA와 같은 항산화 지표들의 활성이 나타나, 기능성 발효차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Rapid Micropropagation by Axillary Buds Cultures of Smilax china

  • Song, Hyun-Jin;Sim, Seon-Jeong;Jeong, Mi-Jin;Heo, Chang-Mi;Kim, Hak-Gon;Jeong, Gwon-Yong;Heo, Su-Yeoung;Choi, Yong-Weon;Park, Geun-Hye;Yang, Jae-Kyung;Moon, Hyun-Shik;Choi, Myung-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39-44
    • /
    • 2010
  • An efficient method for the rapid propagation of Smilax china from axillary buds was established. Plants with thick leafage were selected from Korea native S. china population. Axillary buds of S. china collected from selected plant and were cultured in various culture media (2MS, MS, 1/2MS, WPM, B5 and SH medium). Shoot was induced from axillary bud on MS basal medium after 4 weeks of culture. 1/2MS medium showed a higher growth rate than those of the others, while the lowest shoot growth was obtained in 2MS medium. Among the sucrose concentrations, 5% sucrose was the optimum level for shoots growth from axillay buds. Among cytokinins, $0.5mgL^{-1}$ 6-benzylaminopurine (BAP) treatmen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on shoot multiplication, yielding average shoot multiplication forming about 2.4. Rooting was induced directly near the base of the shoot on 1/2MS medium containing with three-auxins ${\alpha}-napthalene$ acetic acid (NAA), indole acetic acid (IAA) and ${\beta}-indolebutyric$ acid (IBA) (0.5 and $1.0mgL^{-1}$). The $1.0mgL^{-1}$ IBA treatments induced earliest rooting with maximum of root number and root growth. These roo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transferred to pots for 4 weeks hardening process, and were transferred to soil with above 90% survival rate.

토복령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milacis Chinae Radix)

  • 이은희;노미애;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36권3호통권142호
    • /
    • pp.195-200
    • /
    • 2005
  • Smilacis Chinae Radix is root of Smilax china L.. It has been known as a korean folk medicine for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diuresis, detoxification and relieving enteropathy as diarrhea. Reactive oxygen species(ROS) are continuously produced at a high rate as a by-product obtained in the aerobic metabolism. A major portion of living organisms has defense system as superoxide dismutase or catalase against damage produced by ROS.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 and vari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milacis Chinae Radix in order to screen the antioxidant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s a result, EtOAc extract of Smilacis Chinae Radix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effect on various antioxidant experiment. The major components of antioxidant activity were isolated from EtOAc extract of Smilacis Chinae Radix. Their structure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quercetin and (-)-epicatechin by spectroscopic evidence, respectively.

염분농도와 저장 온도에 따른 청미래덩굴 잎의 물리성 변화 (Changes in Leaf Physical Properties of Smilax china L.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 for Salting and Storage Temperature)

  • 박근혜;전승호;김경문;정종일;김석현;심상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13-21
    • /
    • 2011
  • 망개떡의 주원료인 청미래덩굴 잎은 소금물에 저장한 후, 이용 시 세척하여 사용한다. 이에 염장 시 저장 과정에서의 잎의 특성변화를 확인하였다.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염장 후 저장한 잎의 수분함량 변화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소금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분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실온에서는 정제염에 저장한 잎의 전단력이 높았으나, 저온($4^{\circ}C$)에서는 천일염에서 저장한 잎의 전단력이 높았고, 소금의 농도는 높을수록 저장기간은 짧을수록 전단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실온보다 저온에서 저장과 소금의 농도가 10% 이하에서 저장한 잎의 색도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미래 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Extracts)

  • 고명수;양종범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64-772
    • /
    • 2011
  •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청미래 덩굴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 잎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 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청미래 덩굴 잎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는 총 폴리페놀이 각각 $5.433{\pm}0.171mg/g$$13.060{\pm}0.110mg/g$ 함유되어 있었고,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599{\pm}0.017mg/g$$3.005{\pm}0.084mg/g$ 함유되어 있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1 mg/m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3.6% 및 92.3%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소거능이 급속히 증가하여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0.1 mg/mL에서 2.0 mg/mL로 증가할수록 열수 추출물은 37.9%에서 61.6%, 에탄올 추출물은 38.4%에서 77.8%로 증가하였고, 같은 농도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소거능이 더 높았다. 항균 활성은 공시된 6 균주 중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4균주에 대해서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ymurium, Staphylococcus aureus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에 대해서는 두 추출물 모두 1.5 mg/disc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구인 1% sorbic acid 용액과 유사하거나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고, S. aureus에 대해서는 낮은 농도에서도 대조구와 유사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65-12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 후에도 공시된 4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