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ax china.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9초

토복령(Smilax china)의 Steroid Saponin이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영향 (Mutagenic Effect of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Rhizomes)

  • 김성환;손건호;정규찬
    • 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85-289
    • /
    • 1989
  • Pontential mutagenic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four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rhizomes were investigated. These saponins did not revealed mutagneicity in the Ames and SOS umu test. For antimutagenic activity by SOS umu test, two spirostanol glycosides, dioscin and gracillin, inhibited the activity of ${\beta}-galactosidase$ induced by AF-2, but their proto-type furostanol glycosides did not show this activity.

  • PDF

쇠무릎과 청미래덩굴 부위별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hyranthes japonica and Smilax china Extracts)

  • 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317-3326
    • /
    • 2011
  • 야생생물자원의 기능성 탐색의 일환으로 쇠무릎과 청미래덩굴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추출률은 증류수>메탄올>에탄올 순이었으며, 추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총 16종으로서 쇠무릎은 proline이, 청미래덩굴은 phosphoser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갈변도와 방향족 화합물 함량은 청미래덩굴 잎은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고 에탄올, 증류수 순이었으나, 쇠무릎 잎의 경우 증류수 추출물의 흡광도가 가장 높고, 메탄올, 에탄올 순으로 나타났다. 청미래덩굴 잎과 뿌리의 전자공여능은 잎은 에탄올>메탄올>증류수, 뿌리는 메탄올>에탄올>증류수 순이었고 쇠무릎은 증류수>에탄올>메탄올 순이었다. 올리브유에 대한 산화억제 작용은 TBA가를 기준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에 비해 쇠무릎 잎은 82.1%, 청미래덩굴 잎은 84.0%의 값을 보였다. 쇠무릎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subtillis에 대해 항균력을 보였으며,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은 Bacillus subtillis, Vibrio vulnificus 및 Salmonella enterica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었다. 그리고 중금속 이온의 흡착 및 회수실험 결과 동일한 금속농도에서 Cd(II)에 대한 청미래덩굴의 흡착률보다 Pb(II)에 대한 쇠무릎의 흡착률이 더 높았다.

토복령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To Bog Ryung)

  • 박종희;김정묘;도원임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169-172
    • /
    • 2002
  • Chinese crude drug 'To Bog Ryung' has been to cure chronic aperient, syphilis cough and diabetes.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ever been studi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To Bog Ryung,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s of Smilax species growing in Korea, i.e. S. china, S. riparia var. ussuriensis, S. nipponica, S. sieboldii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o Bog Ryung was the rhizome of Smilax china and Smilax sieboldii.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 차배천;이은희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36
    • /
    • 2007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in order to find the antioxidant substances which has an scavenging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rom natural products. As a result, EtOAc and n-BuOH extracts of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effect on various antioxidant experiment. The major components of antioxidant activity were isolated from EtOAc and n-BuOH extracts of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Their structure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kaempferol-7-O-${\alpha}$-L-rhamnopyranoside and kaempferol-3,7-O-${\alpha}$-L-dirhamnopyranoside by spectroscopic evidence,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kaempferrol-7-O-${\alpha}$-L-rhamnopyranoside at 23 ${\mu}g$ and in kaempferol-3,7-O-${\alpha}$-L-dirhamnopyranoside at 27 ${\mu}g$ as concentration of DPPH 50% reduction.

Steroidal Saponins from the Rhizomes of Smilax china

  • Kim, Sung-Whan;Chung, Kyu-Charn;Son, Kun-Ho;Kang, Sam-Sik
    • 생약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6-82
    • /
    • 1989
  • Five known diosgenin glycosides have been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Smilax china rhizomes and characterized as prosapogenin A of dioscin, dioscin, gracillin, methyl protogracillin, methyl protodioscin and its corresponding 22-hydroxy analog. This is the first isolation of the former four compounds from this plant. ${\beta}-Sitosterol\;glucoside$ was also isolated and identified.

  • PDF

A Further Furostanol Glycoside From Smilax china

  • Kim, Sung-Whan;Chung, Kyu-Charn;Son, Kun-Ho;Kang, Sam-Sik
    • 생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5-146
    • /
    • 1989
  • A furostanol glycoside, $mp\;190{\sim}198^{\circ}$, was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Smilax china rhizomes. The structure was established as a mixture of $26-O-{\beta}-_D-glucopyranosyl-(25R)-22-methoxy-furost-5-en-3\beta,26-diol\;3-O-\alpha-_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_D-glucopyranoside$ and its 22-hydroxy derivative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and chemical correlations.

  • PDF

청미래덩굴(망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milax China Leaf)

  • 최한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3호
    • /
    • pp.22-30
    • /
    • 2004
  • The extract with the dilution of $50\%$ ethanol and treatment of $121^{\circ}C$ for 15min were inhibited highly the growth of staph aureus, Ent. cloacae, Sh. sonnei, A. hydrophila, b. subtilis, St. faecalis and L. casei. of food samples, red-bean dregs with addition of extact of smilax china. leaves or sorbic acid took the similar inhibition effect to microorganisms for the early storage days(1-3days). There was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strawberry Juice added to 20m1 of $1\%$ extract solution for one storage day in comparison with no addition of smilax china L. Over all with growth inhibition capability to microorganisms and foods, it was believed that the effect and value as the natural food preservatives and the extracts like as this natural plant material took the food safety and it was capable to develop the natural food preservation.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bacteria of Smilacis glabrae Rhizoma extracts)

  • 박장순;권혜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25-430
    • /
    • 2017
  • 본 연구는 토복령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방부효과를 측정하여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합성방부제의 대체 가능한 천연 항균 추출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하였다. 토복령은 국내산으로 건조한 후 증류수와 95% EeOH 두 가지 용매를 각각 사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그 결과 2종 P ropionibacterium acnes 3314, Propionibacterium acnes 3320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특히 증류수 추출물의 clear zone이 16.61 mm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피부오염 군집을 채취한 결과에서는 24.48 mm의 clear zone을 보여 토복령 추출물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활성뿐 아니라 그 외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상의 결과로 토복령 추출물은 항균효능 및 방부 효능을 갖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천연 방부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청미래덩굴 잎(Smilax china L.)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Smilax china L. Leaves)

  • 김주영;성기운;정신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614-1618
    • /
    • 2014
  •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는 청미래덩굴 잎을 천연 보존료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분획하고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 성분을 TLC와 HPLC로 분석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활성은 ethyl acetate, n-butanol, n-hexane 분획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보다 월등히 높았다. 청미래덩굴 잎의 용매 분획물은 시험균주인 S. aureus에 대하여 12.4~8.5 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P<0.05).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청미래덩굴의 ethyl acetate 분획물을 TLC로 확인 후 다른 분획물들과 HPLC로 분석하여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을 확인하고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나타냈고, ferulic acid가 그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활성 물질로 사료된다.

토복령 추출물 첨가로 인한 돼지갈비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Kalbi Sauce Added with Smilax china L. Extract during Storage)

  • 안정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66-174
    • /
    • 2019
  • 본 연구는 토복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저장성 증진 가능성을 보고자 돼지 갈비소스의 5주간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4주째에 총 균수는 대조군과 0.25% 첨가군에서 0.5%와 0.75% 첨가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토복령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총 균수는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토복령 추출물 0.75%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토복령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TBARS는 낮아졌으며, 0.5%와 0.75%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본 실험 결과로 토복령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통한 기능성 향상과 항균 효과에 의한 저장성 강화로 식품 첨가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