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card Data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의사결정 학습 모델 기반 교통카드 데이터 하차 정류장 추정 모델 연구 (A Study of Estimating the Alighting Stop on the Decision Tree Learning Model Using Smart Card Data)

  • 유봉석;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30
    • /
    • 2019
  • 교통카드 데이터는 다양한 대중교통 통계 지표 산출, 정책 및 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 그 활용범위가 상당히 높다. 그러나 교통카드 데이터 내 주요 문제점은 하차 정류장에서 태그를 안 하고 하차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는 교통카드 이용자의 불완전한 OD 통행 자료로 활용범위에 있어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의사결정 모델 기반 교통카드 데이터 하차 정류장 추정 방법을 적용한 결과 오차 범위 2개 정류장 이하에서 하차 정류장 추정 정확도는 89.7%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교통카드 데이터의 불완전성을 해소함으로써 다양한 대중교통 분석 및 평가 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거리 접근성과 교통카드 기반 통행량을 이용한 OD별 잠재적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량 분석 (Analysing Potential Improvement of Public Transit Services in OD Level Using Time-Distance Accessibility and Smartcard Traffic Volume)

  • 양현재;남현우;전철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0-93
    • /
    • 2018
  •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분석은 형평성의 관점에서 공급과 수요의 상관관계로 분석되고 있다. 공급은 접근성을 이용하여 계산하고 있으며, 수요는 거주인구를 기반으로 추정한 통행수요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추정에 의한 수요는 교통카드 기반 통행량에 비하여 정확성과 미시적인 공간 단위의 개선지역을 도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통카드 데이터 기반의 통행량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의 잠재적인 서비스 개선량을 산출하였다. 대중교통의 공급은 시간거리 접근성으로 계산하였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출 도착지 쌍(OD)을 이용하는 승객이 손해 보는 시간비용을 계산하였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모든 OD의 시간비용을 계산하였으며, 분석 결과 서대문구, 구로구, 노원구 등지에서 개선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Kerberos와 X.509를 이용한 스마트카드 기반 인증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card-based Certification System using Kerberos and X.509)

  • 박정용;남길현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5-124
    • /
    • 2000
  • In this paper, we are introduced a certification system for open network environment. The Kerberos which was developed by MIT uses a secret key cryptosystem for authentication. It is secure and efficient for closed network users to authenticate each others. However, the kerberos has a disadvantage of managing a lot of secret keys for In this paper, we are introduced a certification system for open network environment. users in the open network environment.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hat uses X.509 to provide public keys with certification to Kerberos users for authentication in the X.500 directory standard. And we also suggest the smartcard as data storage device to enhance the security and availability.

  • PDF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모바일 교통결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a Mobile Transportation Payment System of Used Smartcard)

  • 이상범;정현호;최이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1-179
    • /
    • 2011
  • 오늘날 발달된 무선 네트워크 통신의 기술로 인해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가 있으며, 또한 더 좋은 단말기의 등장으로 멀티미디어 정보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SKT나 LGT와 같은 통신업체는 2.5세대 무선 기술과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온라인 쇼핑, 모바일뱅킹 등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핸드폰을 대부분 사람들이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교통 시스템에 유용한 지불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모바일 지불 시스템이 무선 온라인 서비스로 이미 개발되어져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교통 지불 시스템이 소개되고 있다. 운전자는 고속도로를 이용할 때 통행료를 지불해야한다. 최근에 하이패스 시스템이 개발되어 자동차는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정지하지 않고 톨게이트를 지나가면서 자동적으로 지불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불은 장착된 지불 시스템으로 인해 가능하다. 우리는 좀 더 발전된 형태로 스마트카드를 장착한 핸드폰을 지불 기기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인과 금전 정보는 스마트카드에 저장되고 단말기와 OBU와의 통신은 불루투스 방식을 사용한다.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대중교통 승객의 통행목적 추정 (Estimating the Trip Purposes of Public Transport Passengers Using Smartcard Data)

  • 전인우;이민혁;전철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8-38
    • /
    • 2019
  •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개별 승객의 대중교통 이용기록이 저장되고, 이를 활용하면 정류장별, 시간대별 통행수요를 분석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카드 자료에는 통행목적이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근, 통학, 여가 등의 목적별 수요는 설문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설문조사 자료에는 일부 표본의 통행만 기록되어 있어 전반적인 대중교통 통행수요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만약 스마트카드 자료에서 통행목적을 추정할 수 있다면, 전수조사에 가까운 통행목적별 대중교통 수요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카드 자료에 기록된 승객의 O-D 통행빈도, 체류 시간, 출발 시각 등을 고려하여 통근, 통학, 귀가의 통행목적을 추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승객 중 근로자와 대학생을 분류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의 검증으로는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의 목적별 통행패턴과 본 연구를 통해 추정한 목적별 통행패턴을 비교하였다.

Mondex Electronic Cash

  • Kim, Do-Hyung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2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233-237
    • /
    • 2002
  • The smartcard is a processing platform & a store or data it can perform calculations and run programs It contains its own memory (RAM), storage (ROM and EEPROM). and (Central Processing Unit) CPU like a PC If it had its own power supply. keyboard and screen. it would be a fully independent computer Requires an Interface Device (IFD) to supply the power and provide suitable input and display mechanisms. Some examples of IFDs are: point of sale terminal(POS) telephone ATM etc.(omitted)

  • PDF

스마트카드에 적용가능한 분산형 인증 및 키 교환 프로토콜 (The Distributed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Protocols for Smartcard)

  • 오흥룡;윤호선;염흥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7-30
    • /
    • 2005
  • PAK(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1,2]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암기하거나 휴대하기 쉬운 짧은 길이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통신 주체들간에 상호 인증하고, 결과적으로 통신주체간에 추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충분히 큰 길이의 세션키를 분배하는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MTI(Matsumoto, Takashima, Imai) 키 분배 프로토콜 [3] 과 PAM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스마트카드에 적용가능한 분산형 키 분배 프로토콜들을 제안한다. 그리고 단일 서버에 패스워드를 저장할 경우, 공격자가 서버와 타협하여 통신 주체들간에 비밀 정보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패스워드 검증 정보를 여러 서버들에 분산시켜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카드의 비밀키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과 세션키 분배를 수행하는 분산형 키 분배방식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또한 서버 타협 공격을 피하기 위하여 임계치 비밀 분산(threshold secret shoring) 기법을 적용하여 공격자가 서버와 타협이 이루어졌을 경우라도 비밀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MTI 키 분배 프로토콜을 이용한 분산형 키 분배 프로토콜들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분산형 키 분배 프로토콜의 안전성 분석 및 기존의 방식과 비교 분석한다.

  • PDF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안전한 경량급 사용자 인증 스킴의 설계 (Security Enhancement of Lightweight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card)

  • 이영숙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09-215
    • /
    • 2020
  • 인터넷을 통한 통신환경은 연결 가능한 사물들 간에 효율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이런 환경에서의 정보통신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는 하나 여러 형태의 보안위협이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접속하여 제공받는 서비스에 존재하는 보안위협 중 대부분은 전송되는 정보의 유출과 클라이언트 서버 간 인증에 대한 손실이다. 2016년 Ahmed 등이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안전한 경량급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Kang등이 제안한 논문에서 그들이 제안 프로토콜은 identity guessing attack에 취약하고 session key confirmation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Ahmed 등이 제안한 논문의 취약점을 개선하여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경량급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열차운행계획을 반영한 수도권 도시철도 열차 혼잡도 분석모형 연구 (Train Crowdedness Analysis Model for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 Considering Train Scheduling)

  • 이상준;윤성진;신성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17
    • /
    • 2022
  • 수도권 도시철도 혼잡으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도시철도 혼잡을 정확히 분석하는 연구 또한 해결방안 중 하나일 것이다. 현재 계수법, 중량검지법, CCTV, 모바일 Wi-Fi 등을 활용한 혼잡도 분석방법론은 결과의 정확성이 낮거나 단일 노선 및 열차에만 국한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승객의 다중경로 이용행태와 수도권 도시철도 열차운행계획을 반영한 열차 혼잡도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열차 용량 초과시 승객이 대기한 후 다음 열차에 탑승하는 통행패턴을 고려하여 열차 혼잡도 산정의 정확성을 제고하였다. 열차 혼잡도는 10분 단위로 갱신되어 시민에게 혼잡정보 제공이 가능하므로 사회적 편익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단거리 순환버스 도입을 위한 통행패턴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방법 (A Prioritization Method Considering Trip Patterns to Introduce Short-turn Buses)

  • 문세동;김동규;조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8
    • /
    • 2019
  • 기존 노선의 일부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를 '단거리순환버스(short-turn bus)'라 하는데, 단거리순환버스 관련 연구는 버스 네트워크보다 단일 노선에 대해 최적 회차지점을 결정하였으며, 대중교통의 편의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차내혼잡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스 네트워크의 노선별 및 구간별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의 우선순위를 차내 혼잡을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카드 데이터 기반으로 단거리 순환버스 노선과 중복되는 기존 버스 노선들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전후의 재차인원을 산정하고,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전후의 버스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차내혼잡 감소 편익을 산정하였다. 또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으로 인한 운영자 및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여 단거리순환버스를 도입할 노선 및 그 노선 내에서의 운행 구간을 변화시켜 반복적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 노선 내에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의 비용/편익 비(B/C)가 가장 큰 구간을 그 노선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구간으로 채택하였다. B/C 값을 기반으로 버스 노선들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우선순위를 결정하였으며, 여러 노선에 도입할 경우의 최적 대수를 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