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City

검색결과 970건 처리시간 0.022초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시티 정책 (Smart City Policy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 배성호
    • 지역연구
    • /
    • 제35권3호
    • /
    • pp.25-32
    • /
    • 2019
  • 도시문제 해결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의 신(新)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의 전략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2003년 '유비쿼터스 도시(U-City)'를 한국의 고유 스마트시티 브랜드로 도입하여 추진하였다. U-City의 한계 극복을 위해 2018년 백지상태 부지에 4차 산업혁명기술의 테스트베드로서 국가 시범도시(세종 5-1생(生), 부산 EDC; Eco Delta City) 조성을 포함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이 수립 및 발표되었다. 이후 국내외 변화된 여건과 그간의 정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도시성장단계별(신규-기존-노후) 맞춤형 스마트시티 조성·확산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조성 및 확산은 혁신 생태계 구축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강화를 위한 중장기 로드맵으로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19~'23)을 중점으로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는 시민, 민간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하여 따뜻한 삶의 공간으로 열린 도시이자 포용 도시로서 스마트시티를 조성 및 추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up the Concept of Smart City through Analysis on the Term 'Smart')

  • 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43-949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홈 등 스마트 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공상과학이나 영화에서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현실화되 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스마트" 용어의 시대이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스마트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적 혼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향후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 용어가 도시 및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하여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란 용어는 '지능화, 첨단적'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다양한 견해로 보이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쓰리 티어 방식의 스마트시티 관리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Smart City Security Management in Three Tier Smart City Management System)

  • 황의동;이용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5-33
    • /
    • 2019
  • 스마트시티 시스템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개인의 사생활이나, 공공재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하며, 따라서 스마트시티 시스템에서 보안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 티어(Tier)로 구성된 스마트시티 시스템을 위한 보안 요소들을 정의하고, 각각에 필요한 기술들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스마트시티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도시구성요소와 미들웨어와의 보안 관리를 위하여 스마트시티 미들웨어에 보안계층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소개한다. 인프라보안계층은 블록 암호 (Block Cipher) 알고리즘과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 정책서버를 통한 장치 접근 관리를 하여 인가된 장치만 스마트시티 구성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Smart City Feature Using Six European Framework and Multi Expert Multi Criteria: A Sampling of the Development Country

  • Kurniawan, Fachrul;Haviluddin, Haviluddin;Collantes, Leonel Hernandez;Nugroho, Supeno Mardi Susiki;Hariadi, Mochama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43-50
    • /
    • 2022
  • Continuous development is the key of development issue in developing nations. Smart city measurement is prevalently carried through in the cities in which the nations have been classified as industrialized countries. In addition, cities in Europe becomes the models of smart city system. Smart city concept used in the cities in Europe applies six predominant features i.e. smart economic, smart mobility, smart environment, smart people, smart living, and smart governance. This paper focuses on figuring out city' development strategy in developing nations particularly Indonesia in regard with European Framework by way of Multi Expert Multi Criterion Decision Making (ME-MCDM). Recommendation is resulted from the test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one of the metropolis cities in Indonesia, whereby issuing recommendation must firstly implement smart education, secondly communication, thirdly smart government, and fourthly smart health, as well as simultaneously implement smart energy and smart mobility.

공간정보 기반의 스마트시티 핵심가치 및 지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City Core Value and Indicator Design)

  • 박근완;박현지;배성훈;김민관;황승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8-207
    • /
    • 2020
  • Smart City operates with the purpose of solving urban problems. The important thing in smart city operation is that spatial information must be managed at a high level. In addition,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managed by one platform. This study presented the core value dimension of smart city based on analysis of various domestic and overseas smart city operation cases. Smart cities are basically operated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patial information, the more smart city services can be connected and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The performance dimension of smart city core values presented in the study includes prosperity, personalization, convenience, accuracy, sustainability, safety, environment, integration, etc., and there is a connectivity dimension, a concept that can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empirical research on smart city performance dimension design and surveys based on case studies. It will also help field managers who develop, operate, and manage smart cities when quantifying performance dimensions.

A Study on Strategies of Smart Green City - The Priority Analysis and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 -

  • Lee, Seo-Jeong;Oh, Deog-Seong
    • KIEAE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5-17
    • /
    • 2015
  • Purpos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planning techniques of Smart Green City with Ubiquitous method and carbon-neutral city planning techniques and to induce the main planning techniques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and practical adaptation. Method: First of all, eighteen planning techniqu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organization systems and six se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GI analysis considering the applicability of Ubiquitous service for carbon-neutral city planning techniques. Secondly, based on expert surveys and AHP analysis, the importance of Smart Green City planning techniques was evaluated. Thirdly, using case study, six cases related to Smart Green City were analyzed for the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planning techniques. Last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lanning techniques and practical aspects,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Green City and its implication were estimated. Result: Energy, Resource and Waste and Transportation sector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sectors for Smart Green City. In addition, 'Construction of Smart Grid', 'System for Utilization of New & Renewable Energy', 'Smart Resource Circulation Management System', 'Establish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basis', 'Construction of Pedestrian / Bicycle oriented Road Environment' are essential planning techniques to create Smart Green City.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스마트도시계획간 연결성 연구 - 광명시와 춘천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Planning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Smart City Services)

  • 김홍광;이미숙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01-609
    • /
    • 2018
  • 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 건설사업의 기본방향, 추진전략, 서비스 구축 및 운영방안 등을 제시하여야 하고, 상위계획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의 내용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나 스마트도시계획 위계에 따라 계획 내용이 체계적으로 수립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스마트도시계획이 국가 차원의 마스터플랜인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은지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스마트도시계획이 승인된 광명시와 춘천시를 대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제2차 스마트도시종합계획에서 108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키워드와 스마트도시계획의 연결성을 분석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결과, 광명시의 스마트도시계획의 총연결수가 371개로 춘천의 307개 보다 높았고, 키워드당 평균 연결정도와 네트워크 밀도도 광명 스마트도시계획이 춘천 스마트도시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실제로 연결성이 높았으며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지자체마다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자체가 수립한 스마트도시계획이 상위계획과 계획간 연관성이 높은지 판단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 (Implement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Smart City)

  • 반영운;김유미;홍나은;한경민;백종인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45-5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발전, 스마트 도시 관련 이론 및 두 개념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국내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의 개념을 정의한 후 경제, 사회, 환경부문의 목적을 도출하고 부문별 전략을 구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가 추구해야 할 통합적인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 방안은 '4차 산업혁명시대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로의 전환'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1)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조성, (2) 스마트 인프라 구축 및 유지관리, (3) 스마트 도시재생 등 3가지 전략 및 전략 부문 별 17개 주요 기술로 구성되었다.

Smart City 시공단계 시설물 통합품질관리 프로세스 제안 (Suggestion for Integrated Process Quality Control for Facility Management of Smart City at Construction Stage)

  • 박인우;김인한;최중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35-544
    • /
    • 2016
  • 정부차원에서 한국형 'K-Smart City'모델을 활용하여 건설과 ICT산업의 융합사업인 해외 Smart City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Smart City사업의 특성상 시설물 시공품질과 ICT시스템 개발품질이 동시에 확보되어야 Smart City시설물의 품질향상이 가능하다. 그러나 Smart City사업 특성에 맞는 통합된 품질관리 프로세스 및 가이드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인해 국내 실증 프로젝트에서는 건설 품질관리와 ICT 품질관리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어 Smart City시공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mart City프로젝트 구축단계의 시공품질 향상을 위하여 현장시공(통합운영센터 및 현장설비)과 ICT시스템 개발공정이 융합된 통합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연구하였다. Smart City사례 프로젝트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통합품질관리 프로세스를 적용한 결과, 시공검측시 시설물 부적합건 발생이 22% 감소하였고, ICT인프라 납품자재의 품질시험을 추가로 실시하여 18%의 부적합 사항을 설치전에 조치하여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통합품질관리 프로세스는 향후 Smart City 현장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시티: 최근 문헌에 대한 리뷰 (Smart Cities: A Review of the Most Recent Literature)

  • 마크 호프만
    • 정보화정책
    • /
    • 제27권1호
    • /
    • pp.3-35
    • /
    • 2020
  •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도시계획, 도시경제발전, 보건 등의 다양한 분야가 스마트시티 연구 혹은 실무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때로는 혼란도 가지고 온다. 연구자들의 전공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관한 전반적인 리뷰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스마트시티라는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주요 구성요소 그리고 실제적으로 집행되어 왔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2016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술적 연구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전 초기부터의 연구 정리는 Albino외 (2015), Cochia(2014)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소개하고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발전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인 인덱스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연구의 건설적 비판(critique)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로는 스마트시티 연구를 어떻게 분류하고 구분할지에 대한 분류 체계(taxonomy)에 대한 제시가 있다. 여섯 번째로는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여섯 가지의 분야- 스마트 경제, 스마트 거버넌스, 스마트 리빙,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리뷰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