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검색결과 2,429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daptati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on Smartphone Addiction)

  • 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03-111
    • /
    • 2017
  •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이 스마트중독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광주 지역 소재한 대학교 38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을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은 4학년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보건계열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이용실태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3시간 미만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은 대학생활 만족도와 전공 만족도에서는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마트폰 중독여부이었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현상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VoIP 암호화 기술 연구 (A Study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Encryption in Smart Phone)

  • 천우성;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1-284
    • /
    • 2011
  • 스마트폰은 시간과 장소와 기기의 제한을 받지 않는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전환과 업무에 도입되고 있다. 급속한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는 모바일 업무의 활성화와 행정기관에서도 스마트사회로 전환을 가져왔다. 최근 스마트폰을 이용한 VoIP서비스가 활성화 되고 있지만, 스마트폰과 VoIP가 가지는 무선인터넷 취약점에 노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VoIP서비스에 대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한 암호화 기술을 연구한다. 내 외부 신호 및 통화 암호화와 행정기관 인터넷전화 보안 규격을 연구한다. 스마트폰 VoIP서비스에 대한 기기 인증서 보안과 내부 신호 및 통화 암호화를 연구한다. 본 논문은 스마트 시대에 스마트폰 VoIP사용의 안전성과 사용성에 기여할 것이다.

  • PDF

50세 이상 성인의 보행 시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자세 조절 전략 (Postural Control Strategies on Smart Phone use during Gait in Over 50-year-old Adults)

  • Yu, Yeon Joo;Lee, Ki Kwang;Lee, Jung Ho;Kim, Suk Bum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77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ostural control strategies on smart phone use during gait in over 50-year-old adults. Method: 8 elderly subjects (age: $55.5{\pm}3.29yrs$, height: $159.75{\pm}4.20cm$, weight: $62.87{\pm}8.44kg$) and 10 young subjects (age: $23.8{\pm}3.19yrs$, height: $158.8{\pm}5.97cm$, weight: $53.6{\pm}5.6kg$)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alked at a comfortable pace in a gaitway of ~8 m while: 1) reading text on a smart phone, 2) typing text on a smart phone, or 3) walking without the use of a phone. Gait parameters and kinematic data were evaluat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vement analysis system. Results: The participants read or wrote text messages they walked with: slower speed; lesser stride length and step width; greater flexion range of motion of the head; more flexion of the thorax in comparison with normal walking. Conclusion: Texting or reading message on a smart phone while walking may pose an additional risk to pedestrians' safety.

대학생의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 행동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mart Phone Use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Class)

  • 이종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91-199
    • /
    • 2013
  •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왜 대학생들이 수업 중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를 조사하고, 지각된 이익, 지각된 비용, 태도, 사회적 영향, 의향, 습관으로 구성된 하나의 스마트폰 사용행동 예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안 모형은 120명의 대학생 스마트폰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LS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향과 습관은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행동의 중요한 예측요인들로 밝혀졌다. 둘째, 태도와 사회적 영향뿐만 아니라 지각된 이익과 지각된 비용도 수업 중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위치정보를 활용한 스마트폰 기반의 버스정보시스템 (Bu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mart-Phone Apps using GPS Information)

  • 김승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69-174
    • /
    • 2011
  • 본 논문은 위치정보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버스정보시스템 구현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기본적으로 모든 스마트폰이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운전자 스마트폰에서 주기적 혹은 이벤트에 기반해서 전송하고 이를 서버에 저장한 뒤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개인 사용자 스마트폰 앱에 표시하거나 혹은 정류장의 전광판에 표시하도록 하여 기존의 버스정보 시스템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버스 운전자용 스마트폰 앱에서는 버스내에서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특수 과정을 거쳐서 상용화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폰의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물리적 동작 인식 기법 (Real-Time Physical Activity Recognition Using Tri-axis Accelerometer of Smart Phone)

  • 양혜경;용환승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06-513
    • /
    • 2014
  • In recent years, research on user's activity recognition using a smart phone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s. A smart phone has various sensors, such as camera, GPS, accelerometer, audio, etc. In addition, smart phones are carried by many people throughout the day. Therefore, we can collect log data from smart phone sensors. The log data can be used to analyze user activities. This paper proposes an approach to inferring a user's physical activities based on the tri-axis accelerometer of smart phone. We propose recognition method for four activity which is physical activity; sitting, standing, walking, running. We have to convert accelerometer raw data so that we can extract features to categorize activities. This paper introduces a recognition method that is able to high detection accuracy for physical activity modes. Using the method, we developed an application system to recognize the user's physical activity mode in real-time. As a result, we obtained accuracy of over 80%.

IoT 기반의 비전 및 원격제어 소형 이동 로봇 시스템 (Iot Based Vision and Remote Control a Compact Mobile Robot System)

  • 전윤채;최혜리;윤기철;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67-273
    • /
    • 2021
  • Recently, the small-size mobile robots with remote-control are rapidly growth which market of mobile is increased in the world. Especially, the smart-phones are widely used for interface device in the small size of a mobile robot. The research goal is control system design which is applied to miniaturiz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smart-phone and it can be confirmed performance for designed system. Meanwhile, the fabrication of mini-mobile robot can also be remote-control operation through the WIFI performance of a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used to remote-control for robot operation which control data transmit to robot via the WIFI network. To drive the robot, we can observe by the smart-phone screen and it can easily adjust the robot drive condition and direction by smart-phone button. Consequentially, there was no malfunction and images were printed out well. However, in drive, because of blind spot, robot was bumped into obstacle. Therefore, the additional test is necessary to sensor for blind spot which sensor can be equipment to mobile robot. In addition, the experiment with robot object recognition is needed.

웹 영상을 활용한 "섬"앱 서비스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ervices, "Islands" utilizing web-picture)

  • 권오태;강효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712-2716
    • /
    • 2011
  • 시대의 변화에 따라 휴대폰의 발달도 크게 확산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화만 받고, 거는 형식의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휴대폰도 멀티서비스 기능이 부과되어, 다양하고도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폰이 탄생하게 되었다. 새로운 디지털혁명 속에 스마트폰 가입자가 대중화의 기준점, 1,500만을 넘어선 것은 2011년 9월이다. 본격적인 스마트폰 대전의 1차전이라 할 수 있는 삼성전자의 '옴니아2'와 애플의 '아이폰'이 2009년 말에 출시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스마트폰은 가히 폭발적으로 성장했다고 할 만하다. 앞으로 스마트폰이 휴대폰 시장, 아니 우리들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렇듯 스마트폰은 날이 갈수록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주 5일제 근무 등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여행과 여가를 즐기기 위하여 많은 여행 정보를 찾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바다의 섬 여행이라는 테마를 갖고 이에 따른 웹 영상을 활용한 섬의 앱 서비스에 관련하여 연구를 시작하고자 한다.

초등학생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phones on Elementary Students)

  • 김동균;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67-373
    • /
    • 2013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은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기기의 사용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 변인을, 재학 중인 학교소재 지역, 성별, 학년, 스마트폰의 필요성, 스마트폰 사용 여부, 일반 핸드폰 사용 여부의 총 6개로 정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수준을 분석하였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방안으로는 교육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음은 분명하나, 교육적 효과는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실태 분석을 제시한다.

모바일 플랫폼 경쟁과 모바일 생태계에 관한 고찰 : 스마트폰 운영 플랫폼의 지속사용 의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Competition and Ecology of Mobile Platform : Based on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mart-Phone OS Platform)

  • 이보경;심선영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47
    • /
    • 2012
  • Contemporary smartphone competition is generally described as the battle between Apple's proprietary platform and Google's open platform. However, this competition is not limited within smartphone adoption itself. User's pre-adoption of one mobile platform via smartphone can be connected to the post-adoption of the same mobile platform based on the other smart devices (e.g. smart pa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whether user's preference to a certain platform is persistent over mobile ecology, from the pre-adoption of one smart device to the post-adoption of following devices. For this investigation, we adopt the dual-model as the ground theory, where post-adoption of IT product is explained by both dedication and constraint factors. The empirical testing first evidences that dual model works well as our research model for identifying the reasons of post-adoption. Next, we group our data into two parts in order to compare the switching behavior of iPhone users and Android phone users. iPhone users show much lower switching rate to Android based smart pads, while Android phone users show higher churn rate to iPad (49.3% : 96.3%). Especially, satisfaction showed much stronger effect than switching cost on the continuing intention of existing platform, when the analysis is given to the iPhone user's group. From this result, we can conjecture the relatively stronger loyalty of iPhone users. More managerial implications on the mobile platform strategy are dri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