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ducation

검색결과 1,470건 처리시간 0.032초

예비 교사를 위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 설계 (The Design of a Smart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 전미연;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7-251
    • /
    • 2014
  • 스마트교육의 시행과 함께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교원 양성 대학에서도 예비 교사들을 위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방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초 중 고등학교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유형 분석과 CTLA(Creation Teaching Learning Assessment) 모델 분석을 통해 예비 교사에게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였다. 스마트교육의 목적은 학습자의 역량 강화에 있다. 예비 교사들의 Smart Literacy 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된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은 앞으로 스마트교육을 받을 예비 학습자의 역량 강화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 설계는 교원양성 대학의 예비 교사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15주차로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수 학습 모형은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 Based Learning),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모형, 협동학습 모형 등을 주차별 수업에 맞게 적용하였다. 향후에는 제안된 교수 학습 모형의 점진적 개선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Smart Literacy 역량 강화의 효과성을 입증하고 지속적인 스마트교육 교수 학습 모형 개발 및 검증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스마트 교육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 간 활용 의도 경로계수 차이 분석 (An Analysis about of Path Coefficient Difference of Intention to Use between Smart Education Experience Group and Non-Experience Group)

  • 김상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83-395
    • /
    • 2012
  • 본 연구는 ICT 기반의 맞춤형 학습 방법인 스마트 교육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 교육 활용 의도와 그에 대한 영향 요인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스마트 교육 경험 유 무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의 활용 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합리적 행동 이론의 모형을 토대로 확장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제시하였고, 스마트 교육 경험 유 무별로 스마트 교육 활용 의도에 미치는 경로계수 차이를 비교 검증한 결과 스마트 교육 무경험 교사 집단에서 교사 효능감이 수업 부담감에 부적으로 더 크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교육 경험 교사 집단에서는 스마트 교육에 대한 태도가 활용 의도에, 조직시민행동이 활용 의도에, 교사 효능감이 스마트 교육에 대한 태도에, 교사 효능감이 조직시민행동에 더 크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가설에서는 집단 간 경로계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마트 교육 도입과 촉진 요인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교육의 핵심요소에 대한 제안 (Suggestion on the Key Factors of Smart Education)

  • 이성근;류희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1-113
    • /
    • 2013
  • 아이폰의 출시로 시작된 스마트기기의 급속한 도입과 첨단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이 시작되고 있다. 우리는 이것을 모바일이라는 DNA를 가진 '스마트시대'로 정의하였다. '스마트'라는 용어는 그 말이 쓰이는 분야나 사람에 따라서 다르지만 '스마트'라는 용어의 핵심은 '인간', 즉 사람에 있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스마트시대의 중심은 사람이어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분야와 영역이 더 중요해질 것이며 기술도 인간이 더 편리하고 인간의 감정이나 감성까지 읽을 수 있도록 발전할 것이다. 이런 사회의 변화는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서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공감대 속에 교육계에서는 '스마트교육'의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디바이스, 정보통신기술과 SNS의 발전으로 인하여 그것들을 교육에 도입하려는 것이 아니다. 글로벌 시대에는 새로운 인재가 필요하고 그것을 위해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시도를 스마트교육이라고 보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스마트교육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스마트교육의 핵심요소를 4C(Creativity, Collaboration, Content, Curation)로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Quality Standards of Educational Smart Contents

  • Jun, Woochun;Hong, Suk-K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6호
    • /
    • pp.2152-2170
    • /
    • 2014
  • With advances in smart an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our life style has been changing dramatically. Now everybody can enjoy the benefits of such technologies in every aspect of his/her daily life. Curr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trying to have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so that smart devices become the bare necessities. New smart technologies have created a new concept called smart learning in education area. As educational smart contents become popular, we need quality standards for the contents. Those standards are essential for evaluating the smart contents and suggesting guidance for future smart contents production. Although there are some standards for the existing e-learning environments, to our best knowledge, there are no standards for educational smart contents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quality standards for educational smart contents. The proposed quality standards are based on the existing quality standards in e-learning environments and include some characteristics of smart learning. For development of quality standards, wide experts group from academy and industry are selected and surveyed. Their responses are analyzed based on thorough statistical analysis so that final quality standards for educational smart contents are developed.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과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 적용 방안에 대한 의견 조사 (Investigation of Teaching Practices using Smart Technologies and Science Teachers' Opinion on Their Ap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 양찬호;조민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29-840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고, 스마트교육의 실행에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교육 요구,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의 적용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지역의 과학 교사 모임에서 스마트교육 관련 소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 7명이었다. 교사들이 수업에 사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한 후 스마트기기를 사용한 실제 수업에 대해 1차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의 요소별 정의를 정교화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면담에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응답내용을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교사들이 필요할 때 즉시적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하였으나, 질의응답이 일어나는 정도의 단순한 수준이었다. SNS, 위키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한 협력적 상호작용 요소를 활용하는 경우는 적어서 스마트기기가 상호작용 지원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습자 수준에 따른 개별화 측면에서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수집하여 피드백을 하였으나, 학습자의 맥락, 상황 및 위치 인식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모든 과학 교사들은 학습 기회의 확대요소를 수업에서 주로 활용하였으나, 자기주도 학습 지원 요소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현재 학생들에게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기 위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고 있으나, 향후 스마트교육이 학생들의 협력적 상호작용과 자기주도 학습을 돕는 방향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많이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교사 연수와 환경적인 지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서 스마트교육을 정착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이은정;이재신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64-83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의 교육방안 (Education plan for informatics gifted using SMART education methods)

  • 박재형;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447-449
    • /
    • 2014
  •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방식의 변화,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보영재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적절한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협업 능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협업,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정보영재 학생을 위한 SMART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스마트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Study on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and Usage of SMART Education)

  • 서순식;고유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9-150
    • /
    • 2016
  • 스마트디바이스의 기술적 발전은 학교 교육체제의 변화를 이끄는 동인이다. 스마트교육이 학교 내 안착하려면 최종 수용자 집단인 다수 일반교사들이 스마트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들의 실제 활용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일반교사들이 인식하는 스마트교육의 특성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도출한 후, 학교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의 활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차이를 양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일반교사가 체감하는 스마트교육의 실태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스마트교육 속성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8명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심층면담 등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고, 스마트교육에 대한 그들의 1차 핵심 개념 72개를 선정하였다. 그 후 연구자간 논의를 거쳐 16개의 최종 개념, 6개의 하위 범주, 3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16개 개념을 토대로 일반교사들의 스마트교육 속성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를 분석(IPA)하였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중요성 인식과 활용 수준에 대한 도출 결과를 토대로 진일보한 스마트교육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