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education

검색결과 1,463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교육의 속성과 구현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ed and Realized Attributes of SMART Education)

  • 윤가영;이효진;박인우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83-204
    • /
    • 2017
  • 스마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스마트 매체의 등장은 개인의 학습 환경과 학교교육 현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에 정부는 학습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2011년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했고, 스마트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등장시켰다. 이후 정부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학교 현장에 도입하고자 다양한 정책이 실행되어 왔으며, 스마트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교육이라는 개념이 등장한지 6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스마트교육은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안고 있으며, 스마트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재한 상황에서 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책이 추진되면서 일선현장의 교사들은 스마트교육을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스마트교육은 단순히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이론적 기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스마트교육의 속성을 정의하였으며, 스마트교육 연구 가운데 실증 및 사례 연구를 검토 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교육이 어떤 속성들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T), 열린 학습 환경(E), 자기주도 학습(S), 맞춤형 학습(C), 소셜 러닝(SL)의 5가지로 나타났다. 실증 및 사례연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구현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속성은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기기 및 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 학습, 맞춤형 학습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추후 연구를 통해 스마트교육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활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A Conceptual Model of Smart Education Conside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 조재춘;임희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1-49
    • /
    • 2012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대중화로 인한 관심과 열풍은 문화적인 이슈를 넘어 교육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교육의 학습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스마트교육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지 않아 스마트 디바이스를 도구적으로 적용한 연구에만 머물러 있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스마트교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교육환경, 학습자 특성, 스마트 교육 특징, 그리고 스마트교육 활동을 고려한 CTLA(Creation,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모델과 이를 적용한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CTLA 모델은 스마트교육을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핵심적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기본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향후에는 제안된 모델을 기본으로 한 다양한 스마트교육 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스마트교육 시스템의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esearch on Policy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Oriented Society

  • Chang, Yo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16
  • Regarding the role of infrastructure in the university and education sector,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curing future competitiveness of a country, timely application from qualified applicants is an important factor. Thus, this study is to propose creative value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which will be a major topic in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over the next 10 more years, and to bring out ripple effects by policy research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oriented society. This research on policy regarding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in the software oriented society can be used as a guideline in education and certification for smart IT sector at colleges and can be also used for establishing groundwork for completing practical education required in smart ICT field at colleges and for cultivating mobile app program developers required by enterprises.

AHP를 활용한 특수교사 관점에서 특수교육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시 (Policy direc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using AHP)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81-689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특수교사 관점에서 장애학생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고 도출한 정책을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통해 중요도 측면에서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사들이 생각하는 중요한 정책은 스마트교육 콘텐츠 개발, 교수 학습, 스마트교육 네트워크 확보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인프라지원 순이었으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수 학습 지원 정책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며 장애학생들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활성화 및 보급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Technology Utilization for Smart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한옥영;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71-82
    • /
    • 2018
  • As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gan, it is possible to provide smart education by utilizing various new technologies. This paper included 6 steps to prove that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can be improved by applying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oward smart education. The first step is to review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ould enable smart education. The second step is to define areas that smart education should include by adopting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ird step is to extract the keyword through literature review while the keyword can constitute the smart education for the defined areas. The fourth step is to present the research model by using the extracted keyword. The fifth step is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rough questionnaires. The last step is to analyze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to suggest better educational method. Consequent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by measuring students' expectation about smart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 As a result, students responded that the presented factors of smart education could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education field and apply the smart education method for better education.

The Role of Smart Technologies in Training Future Specialists

  • Oksana, Popovych;Rostislav, Motsyk;Iryna, Mozul;Karina, Fedchenko;Andrii, Zhbanchyk;Olena, Terenko;Oleksandr, Kucha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53-159
    • /
    • 2022
  • The article discusses the use of smart technologies in the training of future specialists. Today, learning using smart technologies is becoming a new educational standard, where information is presented in a logical sequence, computer training systems have powerful functions for the educational process. The functions of smart technologies are highlighted. It is noted that smart technologies are successfully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The concept of "smart education" is characterized. Smart education is an educational paradigm that underlies a new type of education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the smart education paradigm is aimed at the process of obtaining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for flexible and adapted interaction with the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 Smart education should ensure that the benefits of the global information society can be used to meet educational needs and interests. A special place is occupied by computer-based educational multimedia systems that allow you to deepen your knowledge, reduce the duration of training, and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The main principles of smart education are highlighte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in a moder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ies in the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클라우드와 N-스크린 기반의 스마트 교육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SMART Education System Based on Cloud and N-screen)

  • 김봉현;오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3
    • /
    • 2014
  • 스마트 교육은 정보형 인재에서 창의형 인재로 변화되는 현대사회에서 스마트화, 자동화 교육을 통해 창의적인 스마트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혁명이라 할 수 있다. 즉, 지식정보화와 스마트 기기의 출현 등으로 점차 개인별 능동적 맞춤형 교육 방식으로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는 교육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교육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 기술 체계를 설계한 것으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N 스크린 기반의 차세대 스마트 교육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교육적 기능과 특징 분석을 기반으로 스마트 교육 시스템의 활용 방안을 극대화시킨 시스템 설계를 연구하였다.

장애아동 부모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에 대한 연구 (Policy directions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to invigorate smart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3호
    • /
    • pp.63-68
    • /
    • 2014
  • 본 연구는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장애아동들 부모 관점에서 스마트교육 활성화 정책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도출한 정책을 기반으로 AHP방법론을 사용하여 중요도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제시하였다. 장애아동 부모들은 스마트교육 콘텐츠개발, 인프라지원, 교수 학습 지원, 법률적 기반 마련, 스마트교육 네트워크 확보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장애아동들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해 하위 정책으로는 다양한 콘텐츠개발, 접근성을 고려한 스마트 기기 개발, 재정지원제도 개선 등이 가중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교육 환경 분석과 정책 제언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alysis and Policy of Smart Education)

  • 노규성;주성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35-44
    • /
    • 2013
  •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을 정리한 다음, 교육현장의 다양한 여론 수렴 부족, 교육현장의 준비 부족과 같은 스마트교육 추진 환경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개념 정리 및 환경과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이 학교 현장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필요한 요인을 기술 및 인프라적 측면, 교사적 측면, 생태계 및 유통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정책추진 방향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Profil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 Device Usage

  • SUK, Youmi;CHO, Young Hoan;JEONG, Dae H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1호
    • /
    • pp.27-47
    • /
    • 2017
  • Smart devices have a variety of affordances to foster meaningful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sign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 mo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students' smart device usage and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with smart devices. In order to capture smart device usage profil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carried out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three constructs: information search, communication, and study. Participants (n=253), who ranged from the fourth to the sixth grad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files of smart device usage: low-activity, communication, and high-activity groups. The smart device usage profiles varied depending on smartphone usage experience, and the profi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mart device addiction, not with smart device usage ability.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ofiles. The high-activity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mart education than the other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regard to negative attitud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smart devices in elementary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