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lothe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6초

의복환경학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Clothing Comfort Reported in Korean Journals)

  • 권수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1-554
    • /
    • 2015
  •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grasp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clothing comfort in Korea, 584 theses have been analyzed about the forms, contents and subjects of their researche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four Korean Journals from 2000 to 20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ny of the research contents were on the clothing comfor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clothes in all journals. Handle, skin temperature, clothing pressure and working cloth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ln the key words. The review studies were the fewest, and experimental or survey researches were largely conducted. The research form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nts. The subjects were largely focused on those aged from 18 to 29, and among the research subjects on clothing comfort, female were more than male. However, in the researches on clothing quantity and clothes wearing conditions, many of them were the studies whose subjects were both men and women. The male and old subjects increased more and more. The number of the theses in the field of clothing environmentology showed the gradually increasing tendency. The most rates were the theses on clothing comfort, but as the number of those on environment adaptation clothes increased more and more, the research contents in the two fields showed much the same. Though the attention to aging and smart clothes is increasing, the research on this is very few.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study on this field will have to be conducted actively.

날씨 데이터 기반 코디추천 스마트옷장 시스템 (Weather Data-Based Coordination Recommendation Smart Wardrobe System)

  • 이태훈;정휘;권장룡;백필규;이붕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29-738
    • /
    • 2022
  • 기존의 옷장은 단순한 의류를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었다. 단순히 옷들을 보관하는 기능만 있기 때문에 습도나 온도 같은 환경을 조절하려면 따로 제습제 등의 물품을 구매해서 비치하는 방법밖에 없어 불편함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옷장에서 편의성을 증대시켜 자동으로 온습도 조절 및 여러 편의 기능에 대한 것을 추가하였으며 기능을 효율적으로 동작 시키기 위하여 실험을 통하여 기능을 동작 시키기 위한 센서의 위치를 정하였고 여러 편의 기능과 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센서를 설치한 옷장 개발과 더불어 최근 다년간 성장한 스마트 홈 시장과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시장의 흐름에 맞춰 옷장과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한 옷장 내부의 온습도 조절 기능 및 다른 기능을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맞춘 의류선택기능과 애플리케이션 내의 날씨 데이터를 통해 옷장 내부의 옷을 날씨에 맞는 코디 추천 기능 등의 편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A Study on a Healthcare System Using Smart Clothes

  • Lim, Chae Young;Kim, Kyungho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372-377
    • /
    • 2014
  • Being able to monitor the heart will allow the diagnosis of heart diseases for patients during daily activities, and the detection of burden on the heart during strenuous exercise. Furthermore, with the help of U-health technology, immediate medical action can be taken, in the case of abnormal symptoms of the heart in daily life. Therefore,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develop the corresponding technology to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heart daily. In this study, a novel wearable smart system was proposed, to monitor the activity of the heart in daily life, and to further evaluate the rhythm of arrhythmia. The wearable system includes three modified bipolar conductive fiber electrodes in the chest part, which can resolve the reduction problem of the magnitude of the signal, by magnifying the signal and removing the noise, to obtain high affinity and validity for medical-type usage (<0.903%). The biological signal acquisition and data lines, and the signal processing engine and communication consist of a conductive ink, and the pic18 and ANT protocol nRF24AP2, respectively. The proposed algorithm was able to detect a strong ECG, signal and r-point passing over the noise. The confidence intervals were 96 %, which could satisfy the requirement to detect arrhythmia under the unconstrained conditions.

The Study of Fashion Scarf Presentation

  • Park, Soon-Chun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 /
    • pp.83-83
    • /
    • 2003
  • There is no other accessaries that is loved unchangeably in our clothes's life. It is always used except very hot season and it is loved as a necessity item of fashion coordination item used by catholic age group. There are many smart dressers who match more than ten scarfs to clothes otherwise having one or two before. The more having scarf is better for giving new images with usual clothes. The scarf fashion is boomed in streets from last season. Especially, luxury scarf is that popularity accessories in twenties women with a tendency of emphasizing wealth. The popularity of scarf can easily be recognized on the streets and on the displays in department. And the character brand of new basic feminie style is suggested the scarf as an accessary for coordination. It is appeared that animal prints, ethnic flower pattern prints and geometrical patterns for scarf. As the trend of fashion trade is diversified with classic and vintage, the design and style of scarf is satisfied. So there is a purpose of studying fashion scarf presentation to use scarf more efficiently.

  • PDF

스마트워치 사용자감성에 기반한 생체신호측정용 스마트 텍스타일의 요구조건 탐색 (Exploring Requirements of the Smart Textiles for Bio-Signal Measurement Based on Smart Watch User Sensibility)

  • 장은지;김인환;이유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20권4호
    • /
    • pp.89-100
    • /
    • 2017
  • 초연결사회의 시대가 도래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사람과 사물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점차 웨어러블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의복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인 스마트의류는 인체에 가장 밀착한 상태로 각종 생체신호 등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래 일상생활에서 사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에 개발된 스마트의류는 의복에 전자장치를 부착한 형태로 개발되어 기기 이물감으로 인해 착용 시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여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점차 전자장치가 텍스타일 내의 한 요소로 통합되어 있는 스마트 텍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의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소비자에게 가장 근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스마트워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용경험에 기반한 감성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요구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경험에 기반한 감성에 대해 구체적인 답변을 얻고자 반구조화 된 심층인터뷰를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심층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감성을 기능적, 심미적, 사회적, 경험적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측면별로 감성키워드를 설정하여 빈도 수 확인을 통해 스마트워치 사용자의 관심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의류 제작에 필요한 스마트 텍스타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진동 안마 기능의 스마트 팬츠 개발을 위한 설계 제안 (Suggestion of the Structure for Development of Smart Pants with Vibrating Massaging Function)

  • 최선윤;이정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27-335
    • /
    • 2007
  • As the digital environment gets ubiquit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mart clothing is being conducted actively these days. However, most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with its center on upper garment. So research on lower garment is insufficient even though it affects wearer's activity and comfort to a great extent when digital devices are attached or wearers moves their body. Therefore, the type of clothes this research proposes is men's formal pants which have an electrically-vibrating wearable device. These are smart pants which are helpful in easing muscle pain with their massaging effect in daily lif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intends to develop patterns considering the body shapes and movements of wearers and suggest a tentative structure plan for smart pants where a vibration device is attached, which is mainly composed of vibrating motor, controller, and switch, and considered their bulks, numbers, attaching places.

레이다 및 카메라 내장형 스마트 조명에서 실종자 탐지용 색상 검출 향상 기법 (Enhancement Techniques of Color Segmentation for Detecting Missing Persons in Smart Lighting System using Radar and Camera Sensors)

  • 송승언;김상동;진영석;이종훈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3-59
    • /
    • 2020
  • 본 논문은 레이더와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 실종자 탐지를 위한 색상 검출 방안을 제안한다. 최근 레이더와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이 에너지 절약과 동시에 효율적인 실종자 검색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 된 바 있다.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서 레이다 센서는 조명 주변에 움직임을 감지한다. 조명 주변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면, 조명이 작동하고 카메라는 녹화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마트 조명에 녹화된 영상은 실종자를 탐색하는 데 활용한다. 특히, 녹화된 영상에서 실종된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의 색상은 실종자를 찾는 데 중요한 단서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단서인 옷의 색상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색상 검출을 활용한다. 또한, 색상 검출 과정에서 배경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대상체를 고려한 ROI(Region of interest)를 적용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ROI를 적용한 경우 색상 검출의 정확도는 97% 이상을 보였다.

무선 RFID 리더기를 이용한 스마트 세탁물 관리 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Smart Laundry Management System Using Wrieless RFID Reader)

  • 이승준;이창원;니아;김주웅;정경권;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1-81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선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리더기 단말을 이용한 대량의 세탁물 및 의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스마트 세탁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무선 RFID 옷걸이, 베이스 모듈,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지며, RFID 리더기가 부착된 무선 RFID 옷걸이는 세탁물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무선으로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와 연결된 베이스 모듈은 무선 RFID 옷걸이와 통신을 하고 서버에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 시스템에서는 DB를 통해 의류를 관리하고 웹페이지 및 스마트폰을 통해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의 무선 센서 노드는 배터리로 동작되기 때문에 전류 소모량을 측정하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세탁소 이외에도 대량의 의류관리에도 사용되어 질수 있으며, 또한 세탁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

  • PDF

시각장애인을 위한 딥러닝과 이미지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옷장 (A Smart Closet Using Deep Learning and Image Recognition for the Blind)

  • 최소희;김주하;오재동;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1-58
    • /
    • 2020
  • 시각장애인의 대다수는 독립적인 의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최근 스마트 가전 시장의 성장으로 가구나 가전에 인공지능이나 IoT를 추가하는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의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옷장 내부를 관리하는 기능, 음성 대화를 통해 정보를 요청하는 음성인식 기능 그리고 CNN 알고리즘을 이용한 옷 정보에 대한 인식 기능을 가진 스마트 옷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옷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모델의 층 개수를 변경하고 Maxpooling을 조정하여 모델을 생성하였다. 모델 생성 시 Early Stopping Callback 옵션을 적용하여 학습 정확도를 보장해주었다. 과적합을 방지해주기 위하여 Dropout을 추가했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최종 모델은 옷 인식 정확도가 80%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멀티센서 기반 스마트의류에서 상황인지를 위한 디지털필터연구 (A Study of Digital filter for context-awareness using multi-sensor built in the smart-clothes)

  • 전병찬;박현문;박원기;이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1-913
    • /
    • 2013
  • 사용자의 행동 추론에서는 수신된 센서 데이터의 신뢰성이 중요하다. 하지만 외 내부 환경, 온도, 진동 등에 따라 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진다. 이러한 잡음 환경은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의 신뢰성에 영향을 준다. 때문에 잡음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행동을 추론하는 디지털 필터와 추론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사용자 행동의 잡음 제거, 왜곡 방지로 칼만 필터와 지수 가중이동 평균 필터의 비교실험을 하였다. 또한 본 제안된 확장가중 이중필터 법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필터가 다른 필터에 비해 잡음 환경에 견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