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Work

검색결과 1,303건 처리시간 0.032초

스마트워크 공간을 위한 캐비넷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Cabinet Design for Smart Work Space)

  • 송윤섭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5-313
    • /
    • 2017
  • Recently, as changes in the office environment, office furniture are changing at a rapid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mart devices specialized in work type, the concepts of office environment and office furniture are diversified. New furniture design is presented with the new concept of work format and changes to the space, an example of a compact single-person storage space is required.

ICT와 경영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한 스마트워크 도입 기업의 시·공간 제약 극복과 조직 성과 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zations Adopting Convergence-based Smart Work for Overcoming Constraints and Achieving Performance)

  • 오상조;김용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113-124
    • /
    • 2015
  • 정보통신기술(ICT)과 경영을 융복합적으로 활용한 스마트워크는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통한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할 목적으로 2010년 시작되었다. 5년여가 경과한 현재까지 대부분의 스마트워크 관련 연구는 조직에서 스마트워크를 수용하기 전이나 초기 수용 단계에서 진행되었다. 이 때문에 수용 기업에서 스마트워크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관리의 노력, 추진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활용하면서 얻는 성과 등을 제시하는 데 한계가 있다. 정보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질적인 성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입 자체보다는 지속적 사용이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사용 빈도가 낮고, 사용 방법이 적절하지 못하고, 사용의 효과가 없을 경우, 해당 정보시스템의 도입은 실패로 규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조직에서 시 공간 제약을 극복해 가는 과정과 이를 통해 조직적 성과를 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간지리학과 수용 모델에 기반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도입 기업의 시 공간 제약 극복 과정과 조직 성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on Cre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Smart Work Environment)

  • 고은정;이성진;김상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163-185
    • /
    • 2018
  • In order to solve problems in an uncertain and complicated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modern world, a creative solution that combines diverse perspectives, knowledge, and effort based on diversity within an organization is required. Smart work environm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 potential diversity of an individual, extending the source of ideas to the organization, enhancing communication, and link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So, this results in increased cre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effect of smart work environment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oles of job autonomy, self-efficacy, knowledge sharing and smart work environment in creative process. For the study, 353 surveys with work use group(156 people) and unused group(197 peopl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and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Knowledge sha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job autonomy and creative behavior. Particularly, knowledge sharing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smart work use group. In case of smart work use group,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have a relatively high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rather than direct influence on creative behavior appear.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chievements of smart work are revealed in terms of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e behavior.

ICT 기업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워크 도입에 관한 연구: 혁신저항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doption of smart work for ICT companies : Focusing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오용민;노혜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49-659
    • /
    • 2023
  • ICT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근무하는 스마트워크는 2010년부터 시작된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을 바탕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도입 및 확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2019년 발병한 COVID-19의 환경은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음에도 많은 기업이 다시 스마트워크를 종료하거나 축소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모델을 기반으로 스마트워크 도입을 저항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 결과, 상대적 이점은 도입 저항과 도입 의도 모두에게 강한 영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인지된 위험과 복잡성은 직접적으로 도입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도입 저항을 매개하여 도입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실질적인 이점을 강조하고 부정적 태도를 감소한다면 도입 저항을 낮추고 도입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버추얼 클러스터(Virtual Cluster)형 협업 플랫폼 개발 (Collaboration Platform Development of Virtual Cluster Type for Vitalizing Smart Work)

  • 이각범;오성은;황지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3-170
    • /
    • 2013
  • As global competition of enterprises heats up recently, there is a growing the need to introduce business knowledge platform. Many enterprises work with other partners in a variety of situations and collaboration has emerged as new competitiveness of them. Collaboratio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members, and besides it has an important bearing on innovation, result, and increased productivity of enterprise. Lots of businesses, locally and abroad, extend the environment of collaboration and try to share business contents efficiently. In addition, they look into ways of invigorating collaboration by providing community tools.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are pushing smart work to respond effectively to this paradigm change. Smart work provides many types of collaboration and raises the productivity. Various infrastructures should be constructed for activating smart work. Most of all, core technology is to be developed. Virtual Cluster is the space of collaboration corresponding to change in business paradigm. In overseas policy of Virtual Cluster has been already enforced as an alternative to geographical cluste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ollaboration platform through Virtual Cluster can contribute to business competitiveness by smart work.

비즈니스 시뮬레이션으로 살펴본 스마트워크의 확산 기간과 생산성 연구 (The Diffusion Period and Productivity of Smartwork by Business Simulation)

  • 정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57-7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usion period and productivity of smartwork in an organization. Firm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martwork for non contact work and working from home because of the corona 19. The smartwork is a new technology that changes face-to-face work in an organization. It helps the work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scribes the complexity, system thinking, diffusion theory, smart work, organizational resistance, and productivity. This study analyzes the diffusion period and productivity of smart work through business simulation techniques. A simulation study progresses four stages. There are problem definition, hypothesis establishment and causal loop diagram, model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and policy evaluation. The simulation models contain an individual's resistance variables organizational investment and leadership variabl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martwork. The organizational investment variables include organizational culture, legal system, implement systems and technology investment. The individual resistance variables include cognitive, attitude, structure and technological resistance. The leadership includes leadership interest variables and performance linkage variables. The simulation executed the changes of a people number adopting smart work and th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monthly.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many organization members have accepted the smart work innovation after 20 months. Th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through smart work showed very high value after 16 months. In scenario analysis, the individuals' awareness and attitude resistance showed very important variables to productivity and a personal change of smart work adoption. Meanwhile, The organizational investment showed that the high driving-force increased not productivity and the low driving-force showed decreased low productivity. Also, leadership variables showed a powerful driver for changing smart work productivity.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has suggested extending complexity, diffusion theory and organization resistance theory based on simulation methods.

스마트워크: 희미해진 업무/비업무 경계 그리고 그 결과 (Smart Work: Blurring Work/Nonwork Boundaries and its Consequences)

  • 오상조;김용영;이희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1-198
    • /
    • 2013
  •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와이브로(WiBro), LTE 등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크를 도입함으로써 나타나는 업무 비업무 경계 모호성의 근본 문제를 경계 이론에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국내 K사의 재택근무와 스마트워크센터근무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계 이론에서 제시하는 핵심 개념인 침투가능성, 경계 강도, 간섭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스마트워크 이용자는 업무와 비업무 영역 간의 비대칭성을 지각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향후 연구에서 업무와 비업무 영역 간 양방향성을 전제하여 경계 관리 전략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센터 성공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ing the Success of Smart Work Center)

  • 이한찬;이소현;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99-114
    • /
    • 2012
  • 저출산 고령화, 낮은 노동 생산성, 고질적인 대도시 교통 혼잡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 등의 현안을 해결하고자 정부는 스마트워크 활성화 전략을 수립하여 전체 노동인구의 30%까지 스마트워크 근무율을 높여나가기로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센터의 인프라와 서비스 측면에서 스마트워크센터의 성공요인들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S Success Model)을 기반으로 스마트워크센터의 성공적인 사용(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출입통제나 온라인 좌석 예약시스템 등의 운영 인프라 품질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결과 도출되었고, 물리적인 시설인프라 품질과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IT인프라 품질은 사용자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 만족은 스마트워크 센터 사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시설인프라 품질과 IT인프라 품질은 간접적으로 스마트워크센터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결과 밝혀졌다.

  • PDF

스마트워크 사용자의 집단별 특성이 스마트워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Group Characteristics of Smart Work Users on Intention to use Smart Work)

  • 김영애;신호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165-174
    • /
    • 2012
  •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도입의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워크의 시간유연성, 공간유연성, 자원유연성, ICT 인프라 속성이 스마트워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영향을 지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직군, 기업규모에 따른 스마트워크의 유형 선호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스마트워크 도입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ICT인프라의 영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존의 스마트워크에서 강조되어온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은 낮은 반면에 자원의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워크의 도입 전 대면중심의 수직적 조직문화에서 성과중심의 수평적 조직문화로의 변화와 집단지성과 협력을 통한 조직문화로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써 제조업의 구성원 모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스마트워킹의 성공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중소기업 스마트워크 표준화 추진방향 (Work smart development framework based service scenarios)

  • 민재홍;임선환;박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11-814
    • /
    • 2014
  • 스마트워크는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유연한 근무형태로, 창의적 혁신 역량이 기업 경쟁력의 중요 요소로 된 상황에서 스마트워크 도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중소기업은 스마트워크에 대한 인식 미흡과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부분적인 도입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등을 위하여 신속하고 표준화된 방법으로 서비스를 개발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워크 공통 구조 및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중소기업의 규모와 목적에 따라 특화된 서비스 들을 생성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서비스 공통구조 및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표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