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Training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32초

기능성이 향상된 아동용 스마트 태권도복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Development of Smart Taekwondo Uniform with Enhanced Functionality for Children)

  • 김경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9-18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smart taekwondo uniform with enhanced functionality for children by investigating the wearing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taekwondo uniform among taekwondo training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2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Daegu. For data analysis wer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chi}2$ -test and t-test using SPSS Ver. 1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results revealed that respondents wearing the general training uniform during their training period were the most. The dissatisfaction for the general training uniform was a high price, lack of symbolic, lack of functionality in textiles, lack of variety in design and unfittness of size in order. The developed uniform can adjust the length using a zipper type fastener, and can be used in all seasons as the lining is detachable. It also uses nano-silver material, and soil release finish. It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movement by treating with raglan sleeve and sleeve hem velcro tape, and designs the upper garment in the draping. Safety is improved through attaching GPS, and elastic material is mixed in the neckline for putting on and off easily. Piece of cloth is added inside the closing of the upper garment. Rings are made for fixing the taekwondo uniform belt. Pocket is designed in the lower garment and colors are multiplied.

  • PDF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스마트 피트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Fitness Models for Active Senior)

  • 강승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0
    • /
    • 2022
  •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기술을 활용한 운동 사례와 이슈를 분석하고 기존의 실버세대와 달리 높은 활동력과 경제력을 지닌 액티브시니어의 웰니스 라이프에 적합한 향후 스마트 운동 환경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트니스 산업에서도 필요한 운동도구나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등을 정기적으로 받아보거나 이용하는 구독경제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며, 하드웨어 판매와 콘텐츠 구독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액티브시니어에게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서의 가치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피트니스센터 뿐만 아니라 홈트레이닝 운동기구, 피트니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확장된 토털 플랫폼으로서의 모습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개인별 건강상태에 알맞은 운동프로그램을 제안 받고 선택하여 운동 전, 후, 운동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에 실시간 변화를 주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능 연동이 스마트 피트니스 모델의 차별적 요소이다.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pea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using Smart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y.)

  • 김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61-269
    • /
    • 2018
  • 본 연구는 스마트 러닝을 활용한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지 6개월이 지난 간호대학생으로 총 102명이었다. 심폐소생술 재교육을 스마트 러닝, 강의식 교육, 실습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부터 12월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2$-test, t-test,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심폐소생술 재교육 후 지식은 강의식 교육이 스마트 러닝과 실습 교육보다 높았고, scheffe의 사후검정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8.23, p=<.001). 자기효능감은 실습교육이 스마트 러닝과 강의식 교육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2.46, p=.091). 수행능력은 실습교육이 가장 높았으며, 스마트 러닝과 강의식 교육 순으로 나타났으며, scheffe의 사후검정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9.90,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간호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 효과적인 심폐소생술 재교육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Implementation of JDAM virtual training function using machine learning

  • You, Eun-Kyung;Bae, Chan-Gyu;Kim, Hyeock-J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9-16
    • /
    • 2020
  • TA-50 항공기는 공중전에 대비하여 공대공, 공대지 사격 훈련 등 다양한 상황에 대한 모의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조종사의 실전 배치 전 훈련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TA-50은 스마트 무장 운용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훈련에 제한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A-50 항공기에 스마트 무장 중 하나인 합동정밀직격탄(JDAM)의 가상훈련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자 하였다. 먼저, TA-50 항공기와 유사한 기종인 FA-50 항공기에 구현된 JDAM 기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FA-50 항공기에 구현된 기능은 소스코드의 직접 활용이 불가능하므로 머신러닝 기법(TensorFlow)을 활용하여 알고리즘을 추출하였다. 본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실 무장을 장착하지 않아도 실제와 유사한 훈련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ign of a ParamHub for Machine Learning in a Distributed Cloud Environment

  • Su-Yeon Kim;Seok-Jae M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6권2호
    • /
    • pp.161-168
    • /
    • 2024
  • As the size of big data models grows, distributed training is emerging as an essential element for large-scale machine learning tasks. In this paper, we propose ParamHub for distributed data training. During the training process, this agent utilizes the provided data to adjust various conditions of the model's parameters, such as the model structure, learning algorithm, hyperparameters, and bias, aiming to minimize the error between the model's predictions and the actual values. Furthermore, it operates autonomously, collecting and updating data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load balancing that occurs in a centralized system. An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gents, resource management and learning processes can be coordinated, enabling efficient management of distributed data and resources. This approach enhances the scalability and stability of distributed machine learning systems while providing flexibility to be applied i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mproves spasticity and balance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Yang, Youjin;Lee, Jungeun;Choi, Wonjae;Joo, Younglan;Lee, Seungw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9권2호
    • /
    • pp.67-73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termine the effect of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on spasticity and balance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A total of 30 subjects with hemiparetic strok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group (n=15) and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placebo TENS group (n=15).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group practiced additional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for 30 minutes a day, 5 days per a week during 4 weeks and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placebo TENS group practiced additional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placebo TENS for the same period. Spasticity and balance were assessed by ability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4-week programs. Results: The result of spasticity and dynamic balanc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0.05).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group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spasticity of the gastrocnemius & dynamic balance, compared to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placebo TENS group (p<0.05).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atic balance, especially during the eye-closed condition (p<0.05). Conclusions: The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was effective in improving spasticity and balance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Balance Trainer training with TENS could clinically be used more actively in conjunction wit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층별 조절효과를 반영하여) (A study on the impact of technology using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Reflecting the control effect with grade to organizations))

  • 박동국;박구만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3-50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에서 기술수용의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T서비스 전문기업의 사례 중심) (A Study on the Impact of Inten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for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in Case Specialized Company with IT Service))

  • 박구만;박동국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39-748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조기 구축하고 임직원 교육을 위해 활용 중인 국내 IT Service 전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학습태도인 자기효능감, 개인혁신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이 혼합학습에서 선행학습인 스마트러닝의 수용과 오프라인 면대면 학습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스마트러닝의 수용은 오프라인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추가로 스마트러닝의 학습태도는 스마트러닝의 수용뿐만 아니라 오프라이 교육의 학습 만족도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는 스마트러닝 학습태도의 변인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과 긍정적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PLC기반의 필드버스 교육 장비 및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PLC-based Fieldbus Educational Equipment and Curriculum for building Smart Factory)

  • 오재준;최성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9-56
    • /
    • 2017
  • 최근 Industry 4.0으로 인해 제조업에 대한 생산성 향상과 고객만족을 위한 스마트팩토리 관심이 매우 높고 정부 지원에 따른 구축도 활발하다. 특히,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통합과 이를 위한 필드버스 통신기술은 필수적이다. 필드버스는 특정 밴더 시스템에 구속받지 않는 개방형 제어시스템으로서 타사 제품과의 호환성,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 원격진단 등의 다양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필드버스를 학습하기 위한 교육 장비와 실습을 위한 교육과정 및 예제가 전무하여 산업현장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필요로 하는 실무 능력 향상에 많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산업현장에 적합한 PLC와 통신기술을 선정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인 필드버스 교육을 위한 PLC기반의 필드버스 교육 장비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Ethernet IP, Profibus DP, Modbus, CC-Link, Device Net의 다양한 필드버스를 구현하였다. 또한, Ethernet IP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모니터링으로 분산된 필드기기의 제어와 원격진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직업훈련 요구분석 (Analysis of Vocational Training Needs Using Big Data Technique)

  • 성보경;유연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1-26
    • /
    • 2018
  • 본 연구는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직업훈련 통합전산망인 'HRD-NET(http://hrd.go.kr)'을 통해 구직자가 필요로 하는 직업훈련 정보 등이 원활하게 제공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질문게시판을 빅데이터 기법에 가장 최적화된 'R'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추출하였다. 따라서, 이를 통해 직업훈련제도의 유효성, 적절성, 시각화, 빈도 분석, 연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 카드발급 및 동영상 시청, 공인인증서 문제, 등록오류 이 발견되었으며, 둘째, 내일배움카드에 대한 노동관서에서의 관리 및 처리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워 제도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훈련의 수강에 있어 훈련직종 및 과정, 훈련기관에 따라서 차등화 된 훈련비 시스템과 환급구조가 애로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 기초로 하여 향후 고용노동부의 훈련시스템 뿐만 아니라 정부부처의 다양한 훈련 전산망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선점 등을 연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