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Training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 단말에서의 통역용 단기기억력 향상 훈련 시스템 (Smart device based short-term memory training system for interpretation)

  • 표지혜;안동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47-756
    • /
    • 2019
  •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수업 외에도 추가적인 학습 및 훈련을 수행한다. 동시통역 및 순차통역에서 두 언어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통역가는 발표 내용을 빠르게 기억해야 한다. 단기 기억 향상을 위해서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메모리 훈련을 수행한다. 메모리 훈련은 파트너가 필요하기 때문에 학습 효율성이 저하되고 자가 학습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 기반의 단기 기억 훈련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지문 내 단어를 특수문자로 변경함으로써 학생들이 파트너 없이도 자가 학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컴퓨터는 휴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학습 능률이 저하된다. 제거되는 단어보다 키워드로 제공하는 단어의 수가 더 많아서 학습 난이도가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단말은 휴대성이 높아 학습의 제한이 없어 효율이 증가한다. 제안하는 훈련 시스템에서는 삭제되는 단어수가 키워드보다 더 많도록 하여 학습 난이도가 증가한다. 제안한 훈련 시스템을 구현하고 기능을 검증하였다.

스마트제조 산업에서 공급기업의 인재육성에 관한 지원방안 연구 (A Study on Support Plans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f Suppliers in the Smart Manufacturing Industry)

  • 최윤혁;명재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7-186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스마트제조 공급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스마트제조 생태계 현황을 조망하고 스마트제조 공급기업의 지속가능한 인력양성 정책 수립의 객관적인 근거자료로 활용코자 함이 목적이다. 따라서 국내 스마트제조 공급기업 2,200여개사(社), 수요기업 6,000여개사(社)에 설문지를 구성, 배포하여 공급기업 259개사(社), 수요기업 155개사(社)에서 응답을 받았다. 연구 결과, 공급 및 수요기업 모두 종합적 전문성을 보유한 디지털 융합형 인력 및 현장 중심의 디지털 전환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양성방법에는 재직자 교육 및 사후관리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제조 공급기업의 인력양성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스마트제조 공급산업의 글로벌 시장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시스템엔지니어링 탐색적 접근을 통한 플랜트 엔지니어링 선행설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스마트 교육시스템 개념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ptual Design of Smart Training System for Advanced Plant Design and FEED Engineers Based on Exploring Systems Engineering)

  • 홍대근;박창우;서석환;서활원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4권1호
    • /
    • pp.28-35
    • /
    • 2018
  • Front End Engineering Design (FEED), currently dominated by a few advanced countries, creates the highest added-value in the in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domestic plant engineering industry, it is difficult to acquire its own technology capability and experience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shortage of experts in advanced design fields such as basic design and FEED. To achieve competitiveness with the advanced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mart training system for advanced plant design and FEED engineers. This study aims to design an integrated training framework for plant engineering and FEED using system engineering to build a smart plant engineering education system that learns design knowledge based on educational content and experience based on design stage for chemical plant.

스마트디바이스를 활용한 인지 능력 훈련 기능성 게임 개발 (The Development of Serious Game for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using Smart Device)

  • 양영욱;임희석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3-31
    • /
    • 2011
  • 인지능력은 뇌가 담당하고 있는 기능을 의미하며,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인간이 노화하면 뇌의 기능이 저하되며, 그것은 인지능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하지만 뇌의 가소성이라는 특성으로 훈련을 통해 뇌 기능의 회복과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 작업을 두뇌 훈련 또는 인지능력 훈련이라고 한다. 인지능력 훈련은 주기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인지 능력 훈련은 반복적인 수행을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따분함을 느끼기 쉽다. 본 논문은 스마트디바이스 기반의 기능성 게임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능성 게임은 인지능력 훈련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참여와 집중을 유도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주의력과 인지적 유연성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아동용 인지능력 증진 프로그램의 예비 효과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Using Smart-Toy for Children)

  • 신민섭;이정은;이지현;이진주;권은미;전혜진;이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8권2호
    • /
    • pp.106-11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ized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CCAEP) using Smarttoy. The CCAEP using Smart-toy which can interact with children via bluetooth is a kids-friendly and convenient method for improving children's cognitive abilities by increasing their motivation for performing the program. We developed the CCAEP which designed to train auditory-verbal memory, visual-spatial memory, auditory-verbal working memory, and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Methods: Eighteen children aged 8 to 10 participated in CCAEP individual training composed of 8 sessions of 40 minutes each for 4 weeks. The effect of the training was measured with Smart Toyweb's cognitive assessment tasks (smart device based assessment) as well as traditional neuropsychological test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uditory-verbal memory, visual-spatial memory, auditory-verbal working memory and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abilities after the training.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promising results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CCAEP using Smart-Toy in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school and home situations. Further controlled study with larger sample size including various clinical groups is needed to confirm the present results.

스마트 학습 환경에서 웹 콘텐츠 적응을 위한 부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gmentation for Adaptation of Web Contents in Smart Learning Environment)

  • 서진호;김명희;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25-333
    • /
    • 2016
  •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has brought the conversion of closed traditional e-learning contents into open flexible smart learning contents consisting of learner-centered modules,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by use of smart devices from the uniformed and passive classroom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t has been demanded an open, personalized and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according to wide supply of various smart device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status of the smart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e web contents for smart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s by use of smart devices. And we propose a method how to block web contents, to extract them, and adapt personalized segments of web contents by adaptive algorithm into smart learning devices. We extract blocks from the web contents based on the smart device information and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the learners from existing web contents without the hassle of learners environment. After specifying a block priority from the extracted web contents by the adaptive segment algorithm, it can be displayed directly to the screen to fit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ess of the learners.

중소기업의 직무교육 혁신을 위한 스마트러닝 선호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Attribute of Smart Learning for SMEs Work-Place Learning Innovation)

  • 이정환;장현준;한영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47-663
    • /
    • 2011
  • 기업은 유능한 인재가 경쟁력임을 인식하고 조직구성원의 직무교육에 관심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그동안 기업교육은 대기업 중심의 이러닝을 중심으로 확대 되었으며 중소기업은 그 경제적 위상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영세한 사업규모, 직원의 잦은 이직 등으로 관심과 투자가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확산, 지식기반 경제의 확대 속에서 중소기업의 직무교육을 혁신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효율적인 교육학습 방법으로 스마트러닝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용의향과 세부 효용, 속성별 선호도를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소기업은 스마트러닝 수용에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요금 지불에 대한 이슈와 교육장소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었다. 특히 서비스 개별 속성 및 수준에 대한 일반직원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차이 가운데 학습 기기뿐만 아니라 교육학습 방식의 혁신으로 양방향 및 맞춤형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 주었다. 스마트러닝은 향후 중소기업의 변화와 혁신파정에서 차별적인 가치혁신(Value innovation) 전략의 하나로서 기업의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을 향상 시키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 PDF

동시통역 학습을 위한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 (Smart device based sight translation training system for simultaneous interpreting practice)

  • 표지혜;안동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759-768
    • /
    • 2018
  • 국가 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개최되는 국제회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시통역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습자들이 동시통역을 학습하고 있다. 동시통역은 많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개별 학습을 수행한다. 자율적인 학습법 중 대표적으로 문장구역 훈련법이 있으나, 백트래킹으로 인한 학습 효과 저하 및 원활한 학습을 위한 파트너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 기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이 제안되어 학습자들의 학습 능률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컴퓨터의 경우 이동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정해진 공간에서만 학습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으로 인한 활용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 단말은 컴퓨터에 비해 낮은 처리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파일을 처리할 때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마트 단말 기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구현하고 기능을 검증하였다.

스마트 제조기술을 도입하는 일학습병행 학습기업을 위한 NCS 기반 교육훈련 및 자격 제안 (NCS-based Education & Training and Qualification Proposal for Work-Learning Parallel Companies Introducing Smart Manufacturing Technology)

  • 최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7-125
    • /
    • 2020
  •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스마트 팩토리 추진 사업에 따라서 전국에 10,000개 이상의 지능형 공장이 구축 완료 또는 구축 예정으로 되어 있고 정부주도로 2022년까지 10만명의 전문 인력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자동화된 제조현장에 효율적 자원관리 체계와 ICT 기술이 융합되는 형태로 각 지방 정부와 일부 대학, 공공단체 소속 훈련기관등이 중심이 되어 공급자 입장에서 수많은 종류의 교육훈련 과정을 소개하고 있으나 산업계 직업훈련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NCS와는 연계성이 부족한 상태로 그 방향성과 적정성은 재고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K 대학의 일학습병행제에 참여 중인 수도권과 충남권 학습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팩토리 도입 희망 여부와 수요를 파악하고 직무 매칭을 통하여 기업 내에서 스마트 팩토리 기술 도입의 창구 역할을 하게 될 실무자를 정의하여 커리어 패스를 감안한 육성목표를 설정하고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 및 운영에 적정한 훈련 필수능력단위와 선택능력단위의 수준, 훈련 시간을 포함하는 NCS 기반 자격 설계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nstruction of sports hall flooring with excellent properties by nanocomposites

  • Xianfang Zhang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55-164
    • /
    • 2024
  • The rapid evolution of intelligent sports equipment and gadgets has led to the transformation of smartphones into personalized coaching devices. This transformative role is central in today's technologically advanced landscape, addressing the needs of individuals with contemporary lifestyles.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sports gadgets is geared towards elevating overall quality of life by facilitating sports activities, workouts, and promoting health preservation. This categorization yields two primary types of devices: smart sports devices for exercise and smart health control devices, which encompass functionalities such as blood pressure monitoring and muscle volume measurement. Illustrative examples include smart headbands, smart socks, smart wristbands, and smart shoe soles. Significantly, the global market for smart sports devices has garnered substantial popularity among enthusiasts. Moreover, the integration of sensors within these devices has instigated a revolution in group and professional sports, facilitating the calculation of impact intensity and ball speed. The utilization of various types of smart sports equipment has proliferated, encompassing applications in both sports' performance and health monitoring across diverse demographics. This article conducts an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 of nanotechnology in the continuous modeling of the magnetic electromechanical sensor integrated within smart shoe soles, with a specific emphasis on its implementation in soccer training. The exploration delves into the nuanced intersection of nanotechnology and sports equipment, elucidating the intricate mechanisms that underlie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these advanc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