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Space Framework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 및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cept and Services Framework of Geo-Spatial Big Data)

  • 유선철;최원욱;신동빈;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13-21
    • /
    • 2014
  • 본 연구는 수요 및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공간 빅데이터의 개념설정과 이를 기반으로 공간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개념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간 빅데이터는 정형 반정형 비정형 공간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관리하는 동시에 공간정보와 융합된 다양한 속성정보에 대해 실시간 통합 분석을 수행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존 빅데이터가 가지는 3V(Volume, Variety, Velocity) 특성에 4V(Veracity, Visualization, Versatile, Value)가 추가된 특성을 가지며, 저장 관리, 분석, 서비스로 구분하여 활용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 측면에서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관리, 서비스 콘테이너, 서비스 모니터링의 구성요소로 구상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조로 새로운 기술 및 기법들을 적용하여 수정 보완하고, 향후 개발예정인 저장 관리, 분석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구체적인 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nding the best suited autoencoder for reducing model complexity

  • Ngoc, Kien Mai;Hwang, Myunggwon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3호
    • /
    • pp.9-22
    • /
    • 2021
  • Basically, machine learning models use input data to produce results. Sometimes, the input data is too complicated for the models to learn useful patterns. Therefore, feature engineering is a crucial data preprocessing step for constructing a proper feature se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uch models. One of the most efficient methods for automating feature engineering is the autoencoder, which transforms the data from its original space into a latent space. However certain factors, including the datasets, the machine learning models, and the number of dimensions of the latent space (denoted by k),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hen using the autoencoder. In this study, we design a framework to compare two data preprocessing approaches: with and without autoencoder and to observ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autoencoder. We then conduct experiments using autoencoders with classifiers on popular datasets.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a perspective regarding the best suited autoencoder for these factors.

음성인식을 이용한 상황정보 기반의 스마트 흠 개인화 서비스 (Smart Home Personalization Service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using Speech)

  • 김종훈;송창우;김주현;정경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80-89
    • /
    • 2009
  •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발전하면서, 스마트 홈 환경에서 개인화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인식을 이용한 상황정보 기반의 스마트 홈 개인화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서비스에서는 OSGi 프레임워크 기반의 서비스 이동 관리자, 서비스 관리자, 음성인식 관리자, 위치 관리자로 구성된다. 스마트 홈 공간을 정의하고 정의된 공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닛의 명령어 및 센서 정보, 사용자 정보를 상황정보로 구성하였다. 특히, 본 서비스는 음성인식의 훈련모델과 패턴매칭 분석을 통하여 RFID로 구별하기 어려운 동일한 공간의 사용자들을 구별하고 상황 및 개인 정보를 사용하여 스마트 홈 어플리케이션의 개인화 서비스를 지원한다. 실험 결과, 동일 공간에서 사용자 확인을 통한 OSGi 기반의 자동화되고 개인화 된 서비스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도시철도 역사 보행 기종점 분석 기법 개발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Estimating Pedestrian OD Matrix Using Spatial Information and Integrated Smart Card Data)

  • 정은비;유소영;이준;김경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9-422
    • /
    • 2017
  • 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는 대중교통 중심의 복합기능을 가진 집약적인 도시구조이며, 미래지향형 지속가능한 도시를 유지하기 위해 제시되는 개념이다. 최근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복합 환승센터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사업의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한 계획과 유지관리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와 통합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철도 역사 보행 기종점 추정을 위한, 표준화된 분석 절차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삼성역 사례 분석을 통해 제시된 분석 절차 및 방법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절차는 자료 수집 기술과 빅데이터 DB 분석 기법 발전에 따라 유기적 확장 가능한 분석 환경을 마련하였다는 데 큰 의의를 가진다.

실세계 도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객체 패턴기반 분산 예측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Moving Object Pattern-based Distributed Prediction Framework in Real-World Road Networks)

  • 정재화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27-532
    • /
    • 2014
  • 최근 모바일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스마트 기기에 탑재된 다양한 센서에서 수집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빅 데이터의 시대는 위치기반 서비스(LBSs: Location-Based Services)에 까지 확대대고 있다. 이동객체 위치 예측 기술은 차세대 시공간 정보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필수적인 기술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연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종속적인 이동객체 위치 예측 질의처리 연구로서 증가하는 차세대 시공간 정보 서비스의 기술적 요구를 반영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세계 공간 네트워크에서 이동객체들의 초대용량 시공간적 데이터를 토대로 필수적으로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다양한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범용적 분산 이동객체 예측 질의처리 프레임워크 설계를 제안한다.

스마트코리아 추진을 위한 스마트 플랫폼 구현 전략 (Smart Platform Strategies for Smart Korea)

  • 윤용익;김은주;엄리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35-246
    • /
    • 2011
  • 현재 우리는 사회, 문화, 정치, 경제, 기술에 있어 국가 간의 경계가 무너지는 글로벌화와 다 분야 기술의 컨버전스 및 이종 서비스의 융합이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시대에 살고 있고,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지식과 정보 사회를 넘어서 스마트 사회로의 진입을 재촉하고 있다. 과거에는 방대한 양의 지식과 정보를 생성하고, 가공하며, 축적하는 것에 집중했다면, 현재 사회는 이러한 축적된 지식과 정보를 시공간의 제약 없이, 보다 지능적이면서, 저렴하게, 융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서비스의 개념과 다양한 사례를 살펴보고 지식 정보사회의 서비스 통합 패러다임을고려하여스마트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구현요소와 서비스플랫폼 현황분석, 관련기관별 주요역할, 구현요소확보방안 등 스마트 플랫폼 구현전략을 제시하였다.

Proposing the Model of a Storytelling-based Smart Board Game for Children - Case Study of the Game Development Process for Go! Space Express

  • Han, Hye-Won;Kim, Seo-Yeon;Song, Se-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2호
    • /
    • pp.74-82
    • /
    • 2014
  •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educational concept and design model of a Smart Board Game appropriate for lower elementary grade students. The Smart Board Game refers to a hybrid, or 'convergent', game format based on the offline format of the conventional board game augmented through the use of smart devices. The substantive aspects of this game format utilize the procedural dedu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applicable in storytelling methodologies and games, in order to generate and propose contents ideal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development of the Smart Board Game i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First, the study analyzes a number of Smart Board Games currently popular in Korea and abroad, based on identification of the key components and processes of the board game format. The subsequent review of the science curriculum for lower elementary grades aims to determine the aspects conducive for application to Smart Board Games. Lastly, the theoretical framework outlined through the previous stages is used as the basis for the proposal of a detailed model of contents for the smart board game concept.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에서의 지수 기반 상황인지 에너지경영 시스템 (An Index-Based Context-Aware Energy Management System in Ubiquitous Smart Space)

  • 권오병;이연님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51-63
    • /
    • 2008
  • Effective energy consumption now becomes one of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which potentially gives global impact. It is considerable for the energy management to optimize the usage of energy, rather than decreasing energy consumption at any cases. To resolve these challenges, an intelligent and personalized system which helps the individuals control their own behaviors in an optimal and timely manner is needed. So far, however, since the legacy energy management systems are nation-wide or organizational, individual-level energy management is nearly impossible. Moreover, most estimating methods of energy consumption are based on forecasting techniques which tend to risky or analysis models which may not be provided in a timely manner.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individual-level energy management system which aims to realize timely and personalized energy management based on context-aware computing approach. To do so, an index model for energy consumption is proposed with a corresponding service framework.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커뮤니티 컴퓨팅을 위한 멤버 프레임워크 (Member Framework for Community Computing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 김한욱;송세헌;이정태;김민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796-801
    • /
    • 2007
  •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Ubiquitous Smart Space)에서 동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협업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제안된 커뮤니티 컴퓨팅 (Community Computing)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개발 도구(Community Computing Development Tool Kit : CDTK)를 사용하면 특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커뮤니티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이 생성된다. 이 커뮤니티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이 실제로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에 존재하는 uT-entity에 이식되어 동작하기 위해서 uT-entity의 종류에 상관없이 커뮤니티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이 배포될 수 있는 환경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CDTK를 이용하여 생성된 커뮤니티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이 uT-entity에 배포(Deployment)되어 각 uT-entity가 커뮤니티의 멤버로 참여하여 멤버간의 협업을 통해 목적(Goal)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인 멤버 프레임워크(Member Framework)를 제안하고, 이를 이클립스 리치클라이언트 플랫폼(Rich Client Platform) 기반의 플러그인(Plug-In)으로 설계하고자 한다.

  • PDF

인터랙티브 전시 환경에서 개인화 마케팅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ing Mobile Framework for Intelligent Personalized Marketing Service in Interactive Exhibition Space)

  • 배종환;소수환;최이권
    • 지능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59-69
    • /
    • 2012
  • 기존의 전시환경에서 전시 참여업체는 처음에 작성된 개인 정보를 사용하여 모든 관람객에게 동일한 마케팅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즉, 전시 관람객의 선호도나 반응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대비가 어렵고 개인 별 선호 취향에 따른 개별 대응이 힘들다. 관람객 개개인에게 차별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관람객 개개인의 의도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인지된 정보를 기준으로 해서 선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개개인의 선호도와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관람객 개인별로 가장 적합한 전시 참가 업체의 마케팅 정보나 부스 정보를 관람객이 소유한 스마트 폰을 통해 제공 하며, 전시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인터랙션이 가능한 디바이스들과 전시 관람객 개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간의 인터랙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프레임 워크를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