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Senior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인지측정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시니어 인지반응 모델링 (Data-Driven Senior Cognitive Response Modeling Using Cognitive Measurement Data)

  • 이설화;윤유동;지혜성;임희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7-65
    • /
    • 2017
  • 세계적으로 시니어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디지털 둔감 계층이었던 과거의 시니어와는 다르게 스마트 기기 및 인터넷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시니어 계층이 급부상하고 있다. 기존에 시니어에 대한 정의는 단순히 고연령 집단으로 정의하는게 대부분이었고, 시니어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심리학연구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데이터 기반의 시니어 인지반응을 활용한 연구는 초기수준에 불과하다. 또한 스마트 시니어의 인지적 특성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니어의 인지적 특성을 잘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 시니어에 대한 인지반응 유형 분류를 통하여 시니어를 위한 문화향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기반의 시니어 인지반응 모델링 방법을 제언한다.

스마트 기기 활용 시니어 수학 앱 개발을 위한 어포던스 설계 전략 (Affordance Planning Strategy for Mathematics App development for Senior citizen using Smart-devices)

  • 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85-99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수학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수학 앱 구현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실버 세대와 같이 아직은 스마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학습을 위한 적합한 행동유발의 기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의 자료에서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노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어포던스 설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설계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하여 시니어 스마트 교육 시스템의 어포던스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인지적, 물리적, 감각적, 어포던스의 특징 및 요소를 제시하였다.

스마트 시니어의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기반 이용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usage decision factor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using smartphone delivery applications)

  • 최부헌;문수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9-209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배달앱 특성과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배달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50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앱 특성 중 유용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 중 사회적 공감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달앱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과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니어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회적 공감성에 초점을 둔 배달앱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Interface Assessment를 통한 액티브 시니어의 사용자 경험 분석 (A User Experience Study for Active Senior based on Interface Assessment)

  • 황이판;김형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4호
    • /
    • pp.79-87
    • /
    • 2017
  • 본 논문은 기존 노년층과는 다른 특성을 보이는 액티브 시니어의 사용자 경험 문제를 도출해 내기 위한 연구로 먼저 선행 연구분석을 통하여 'Visible', 'Desired Outcome', 'Immediate Feedback', 'Intuitiveness', 'Perceived Ease of Use'의 다섯 가지 요소를 사용자 interaction의 초기단계를 이루는 요소로 추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Interface 사용 중에 사용자의 행위와 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다섯 가지 요소와 사용자의 주관 평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자 경험의 주관 평가에는 PSSUQ를 사용하였으며 SPSS 22 버전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pp 사용 시 액티브 시니어 사용자들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desired outcome차원의 문제로 볼 수 있다. 둘째, interface assessment 다섯 가지 요소 중 'Desired Outcome', 'Perceived Ease of Use' 두 가지 요소만이 PSSUQ 설문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Visible', 'Immediate Feedback', 'Intuitiveness'의 세 요소는 사용자의 주관 평가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액티브 시니어는 기존의 노년층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Desired Outcome'과 'Perceived ease of use'차원의 문제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볼 수 있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로 거론한 'Visible', 'Immediate feedback', 'Intuitiveness'는 명확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기존 노년층과 달리 액티브 시니어의 경우 PC나 스마트폰 사용 경험의 누적으로 인하여 visible, immediate feedback, intuitiveness 등의 요소에 어려움을 적게 겪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양한 수요를 보이고 있는 액티브 시니어용 App의 개발에 의미 있게 활용될 것이다.

유니버설 패션에 기반한 시니어 심박측정 의류 디자인 연구 (Research on Heart Rate Sensing Clothing Design for Seniors Based on Universal Fashion)

  • 구혜란;전동진;이주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92-700
    • /
    • 2017
  • The number of elderly citizens has risen in Korea and resulted in an aging society. Correspondingly, the social interest in the aging population has escalated immensely; however, research or product development on the quality of life for seniors has shortcomings. Healthcare smart clothing is required to help the elderly with changes and weaknesses that follow aging; however, there is unfortunately insufficient amounts available. This study explores the feasibilities of smart clothing for seniors based on a universal design.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analyzed the universal design theory, body shape characteristics and design requirements for seniors, and heart rate measurement method. The design is different according to body shape and body shape is different between sex, age, and body race; therefore, subjects were limited to 70-74 year old Korean males in this study.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for heart rate sensing clothing that satisfies the 'universal design' aspects as well as the functionality of heart sensing, senior'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needs. It has broadened the range of smart clothing, which was once limited to the younger generation and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smart clothing for seniors.

A Study on the Regional Gap Analysis and Management of the Elderly Health in an Aging Society

  • YOO, Chae-Hyun;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168-174
    • /
    • 2021
  • Korea is ranked as the world's No. 1 country in its aging rate. While the interest and demand for health is rapidly increas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s in the lowest among OECD members. Increased chronic diseases, the burden of medical costs and digital/untact changes of societies after COVID-19 have caused the direction of healthcare to be changed from treatment oriented to health care and prevention oriented, along with increased income levels and a desire for a healthy life. Amid this paradigm of change, the gap in health standards and health inequality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local structure and social conditions affects not only socio-economic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 senior citizen. Utilizing prior data of Aging Research Panel Survey,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health conditions and regional gaps which ar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of the life of the elderly, and to suggest direction of studies for health care to provide solutions for health inequalities. The findings are intended to be a basic data for researching models of the New Normal Smart Healthcare System that bridge the health gap between the elderly and enhance life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model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ging society.

고령자를 위한 홈네트워크 현황 분석 및 활성화방안 수립 연구 (Status Analysis and Activating Plan of Home Network for the Elderly)

  • 기호영;정소이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125-132
    • /
    • 2011
  • The home network, contribut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dwelling, has expanded its installation and use in past years, but the elderly care system supporting self-reliance is not fully prepared. Although the aging society in Korea is progressing rapidly, inducting and spreading home network system is still required supporting of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This research is based the survey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of the elderly. Also, the research studied the technical level and policy of home network in domestic and abroad and analyze the professional view of experts in the home network field, as a result, suggested methods of building and activating the home network system.

균형 훈련 플레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생체역학적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ROM and EMG to Balance Training in Unstable Plate System: Primary Study)

  • 전성철;임희철;이창형;김태호;정덕영;전경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35-23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stable plate system for the advanced balance ability. 7 male volunteers (age $33.7{\pm}1.2$ years, height $174.7{\pm}3.8cm$, weight $86.0{\pm}3.6kg$, BMI $28.2{\pm}2.0kg/m^2$) performed the partial squat motion on the shape of CAP type(${\cap}$) and BOWL type(${\cup}$) plate system. The range of motion (ROM) and muscle activation were acquired by the motion analysis system and the EMG system. Results of ROMs of the CAP type plate system were shown the widely range of the deviation in the ankle joint on the sagittal plane (sagittal plane - hip joint $10.7^{\circ}$ > $5.4^{\circ}$, knee joint $16.3^{\circ}$ > $6.4^{\circ}$, ankle joint $18.8^{\circ}$ > $6.3^{\circ}$ ; transverse plane - hip joint $3.5^{\circ}$ > $1.8^{\circ}$, knee joint $5.3^{\circ}$ > $3.4^{\circ}$, ankle joint $11.3^{\circ}$ > $5.3^{\circ}$ ; frontal plane - hip joint $0.9^{\circ}$ > $0.5^{\circ}$, knee joint $0.8^{\circ}$ > $0.6^{\circ}$, ankle joint $4.8^{\circ}$ > $3.7^{\circ}$). Muscle activation results of the CAP type plate system were indicated higher in major muscles for balance performance than the BOWL type plate system (vastus lateralis 0.90 > 0.62, peroneus longus 0.49 > 0.21, biceps femoris 0.38 > 0.14, gastrocnemius 0.11 > 0.05). These findings may indicate that the CAP type plate system would expect better effectiveness in perform the balance training. This paper is primary study for developing balance skills enhancement training device.

Effects of SNS Characteristics on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 CHO, Byung-Kwan;SHIN, Hyang-Sook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9
    • /
    • 2020
  • Purpose: Social Network Sites(SNS) have been grown up as a public communication channel consumer frequently participate in. Most of food service brands are utilizing social media for advertising recently. As a result of SNS marketing, food service brands anticipate positive outputs from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so that we need to ver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NS characteristics, SNS engagement and consumer brand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identifies that SNS characteristics have effects on SNS engagement and examines relationship between SNS engagement and behavioral engagement. We conceptualize SNS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quality,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Furthermore, SNS engagement is composed of SNS participation, positive word of mouth(WOM). In order to verify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with multiple items developed and t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433 online survey panels and analyzed by using SmartPLS 3.2.9. Resul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qual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SNS participation.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have impacts on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respectively. Second, SNS particip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WOM. Third, both SNS participation and WOM influence behavioral engagement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demonstrate that SNS characteristics such as information quality and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exert effects for consumer to participate in SNS brand page. Meanwhile,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influence on positive WOM but information quality doesn't.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affect consumer to engage in specific brand behaviorally as well. Therefore, food service brand marketer is required to manage SNS information quality and hedonic level and interaction among members to encourage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As SNS participation and positive WOM increases behavioral engagement of consumer, marketer needs to incentivize SNS participation and look after situation of positive WOM and respond swiftly.

PSS 기반 4D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활용한 시니어를 위한 비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Bidet Product-Service Design for Seniors by PSS-based 4D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Model)

  • 서홍석
    • 감성과학
    • /
    • 제25권1호
    • /
    • pp.29-4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데를 아이템으로 선정해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하였다. 최근 초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나 시니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시니어를 위한 PSS 개념의 서비스디자인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4D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하여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를 반영한 '시니어 중심의 비데 제품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PSS 개념에 기반하여 '4단계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시니어 대상 질적 리서치를 수행하여 시니어의 특성과 니즈에 따른 사용자 가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품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실무 전문가 그룹의 유용성 리뷰를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용자 맞춤 기능 설정 가이드 스마트 앱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비데와 스마트 폰이 연동되어 사용자 특성 정보와 비데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해석하여 맞춤 기능을 가이드해주는 앱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둘째, '사용자 중심의 제품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조작부 및 리모컨 UI를 제안하였다. 시니어의 사용성 및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주 기능 중심의 구성과 과업(Task) 순서에 따른 버튼 배치, 터치 화면형 리모컨 등 단순하고 직관적인 Physical UI를 제안하였다. 셋째, 정기적인 제품 점검뿐만 아니라 사용자 건강 및 사용 공간의 위생, 청결 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과 헬스/위생 케어가 연계된 비데 케어서비스'를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시니어)의 비데 제품 사용 과정(사용 전-중-후)에서의 페인포인트(Pain Point) 및 요구를 발견하고 개선하여 사용자 경험과 관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기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