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Driven Senior Cognitive Response Modeling Using Cognitive Measurement Data

인지측정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시니어 인지반응 모델링

  • 이설화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 윤유동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 지혜성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 임희석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7.03.03
  • Accepted : 2017.03.29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world's senior population is on the rise. In particular, unlike the past seniors who were in the digital insensitivity class, the smart seniors who want to continue to use smart devices and the Internet are emerging. Although the definition of senior is merely defined as a senior group,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has been done in psychology studies, but research using data based senior cognitive response is only at an early stage. In order to provide contents according to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mart Senior, there is a need to classif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mart Senior well.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data - driven senior cognitive response modeling method that helps the enjoyment of culture for seniors through classification of cognitive responses to smart seniors.

세계적으로 시니어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디지털 둔감 계층이었던 과거의 시니어와는 다르게 스마트 기기 및 인터넷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시니어 계층이 급부상하고 있다. 기존에 시니어에 대한 정의는 단순히 고연령 집단으로 정의하는게 대부분이었고, 시니어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심리학연구에서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데이터 기반의 시니어 인지반응을 활용한 연구는 초기수준에 불과하다. 또한 스마트 시니어의 인지적 특성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니어의 인지적 특성을 잘 분류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마트 시니어에 대한 인지반응 유형 분류를 통하여 시니어를 위한 문화향유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기반의 시니어 인지반응 모델링 방법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2012 Aging static, 2012.
  2. 심혜정. (2012). 시니어를 위한 스프레드시트 교육 시스템 설계. 교육대학원 학위논문. 부경대학교.
  3. 신원경, & 박민용. (2007). 실버가전제품 개발을 위한 노인 사용자 분류.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2-171.
  4. 지성우, 조성호, 정재범, 남기춘, & 최문기. (2008). 인지기능 진단 및 향상을 위한 기능성 게임 개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14(단일호), 239-246.
  5. http://www.ntelligentgames.com/
  6. Nam, S., Nam, K., & Baik, Y. (2015). Cognitive and Emotional Inhibition Processes of Gifted Children: Word-color and Emotional Stroop Effec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5(4), 469-491. https://doi.org/10.9722/JGTE.2015.25.4.469
  7. 이철희, & 한양순. (1997).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한 Wisconsin Card Sorting Test 타당도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2), 343-354.
  8. Lavie, N., Hirst, A., De Fockert, J. W., & Viding, E. (2004). Load theory of selective attention and cognitive contro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33(3), 339. https://doi.org/10.1037/0096-3445.133.3.339
  9. Radvansky, G. A., & Copeland, D. E. (2004). Working memory span and situation model processing.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91-213.
  10. Kane, M. J., Conway, A. R., Miura, T. K., & Colflesh, G. J. (2007). Working memory, attention control, and the N-back task: a question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33(3), 615. https://doi.org/10.1037/0278-7393.33.3.615
  11. 김규태, 김창윤, & 사공준. (2004). 컴퓨터의 종류가 컴퓨터 신경행동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6(3), 276-286.
  12. Kerr, S. L., & Neale, J. M. (1993). Emotion perception in schizophrenia: specific deficit or further evidence of generalized poor performanc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2(2), 312. https://doi.org/10.1037/0021-843X.102.2.312
  13. Li, J. Y., Zou, X. B., Jing, J., Tang, C., & Chen, K. (2005). Studies of the executive function profiles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nese Mental Health Journal, 19(3), 162-165.
  14. 이정원, 안시내, & 황수진. (2012). 3 차원 물체의 심상회전이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반응시간에미치는 영향. Changes, 13(3), 1114-1121.
  15. B. Sekuler, Patrick J. Bennett, Mortimer Mamelak, A. (2000). Effects of aging on the useful field of view. Experimental aging research, 26(2), 103-120. https://doi.org/10.1080/036107300243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