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lug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7초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전력 데이터 분석 및 위험 상황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wer Data Analysis And Risk Situation Prediction Using Smart Plug)

  • 정세훈;김준영;박준;장승민;심춘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870-882
    • /
    • 2020
  • It is that failure of equipment at the factory site causes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We are required a real-time monitoring and risk forecasting techniques to prevent for equipment failu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3-phase smart plug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used in factories, and collec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ower information using a smart plug to analyze the data. In order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isk situa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 predicted the risk situation using Linear Regression, SVM, and ANN algorithms. As a result, the SVM and ANN algorithms obtained high predictive accuracy and developed a mobile app that could use it to check the risk forecast results.

ESS 연동형 스마트 플러그 기반의 미디어 플랫폼 설계 (Design of Smart Plug based Media Platform interlocking with ESS)

  • 강민구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3권2호
    • /
    • pp.37-4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갑작스런 전력난이나 피크 전력시간 등의 비상 전력상황에서 필수적으로 동작해야 할 정보기기기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우선순위(Priority) 제어기능을 부여한 스마트 플러그 기반의 스마트 콘센트에 의한 스마트 모니터링 및 표시장치를 갖는 스마트 미디어 플랫폼의 제어기능 설계를 제안한다. 이러한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와 연동함으로서 스마트 플러그가 양방향 송배전과 우선순위 제어형 스마트 제어모듈에 의한 전력관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법으로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한 제품 자동분류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Automatic Classification of Products Using Smart Plug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 손창우;이상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842-848
    • /
    • 2018
  • 스마트 플러그는 가정집에서 콘센트와 제품 간 중간에 연결하는 장치로써, 전원 On/Off 제어 기능과 전력 측정 기능으로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고 외부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IoT 기기를 말한다. 여기에 사람의 사고방식을 컴퓨터에 학습 시키는 인공지능 기술의 딥러닝을 스마트 플러그에 탑재하여, 입력 교류 전류 패턴을 이용하여 제품이 동작만 하면 어떤 제품인지 자동으로 분류하고 세탁기의 동작 상태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시험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품이 IoT 기능이 안 되더라도 스마트 플러그 연결만으로도 제품의 종류와 동작 상태를 분류하므로, 한 가정의 생활패턴과 에너지 절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거주자 참여형 에너지 절감 활동 효과 연구 -S대학 기숙사 거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에너지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Energy Saving Activities)

  • 정혜진;송해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3-261
    • /
    • 2018
  • As user-involved energy saving activities have become important in recent years, many forms of energy feedback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We conducted a study to determine if energy feedback activities affect energy saving for students living in dormitories at a university in Seoul. In particular, smart plugs were used for efficient research and quant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s, and the extent of the impact of competition and rewards on participant energy saving behavior was further analyz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wer usage of groups using smart plugs was lower than that of those without them. Second, energy feedback delivered to smart plug us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duction of electric power consumption. Third, competition and compensation strategies had additional effects in reducing power usage for smart plug users. As a result, methods to deliver energy feedback more effectively as ICT technologies develop and efficient energy activities using IoT technologies can be expected to spread widely in the future.

뿌리기업 자동화·스마트 공정을 위한 Plug-in 구조의 IOT 미들웨어 구축 방법 (Structure Method for IOT Middle Ware with Plug-in module for Automation & Smart processing of Ppuri Manufacturing Factory)

  • 이정훈;김의룡;김신령;김영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6
    • /
    • 2019
  •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인 뿌리기업의 자동화 스마트 공정상 IOT 미들웨어는 사물인터넷 기기(센서 등)의 데이터 정보를 해석하고 관리하며 제어할 수 있는 중추적 역할이 요구된다. 특히 뿌리산업은 산업별 공정 흐름이 상이하고 기업별 데이터 처리요구도 다양해 이를 수용하기 위한 범용 IOT 미들웨어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이 제시한 IOT 미들웨어 구조는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통신, 데이터 수집과 처리, 서비스 연계 등 미들웨어 기본 프로세스는 엔진부로 범용화 시키고 뿌리산업 분야별 사물인터넷 기기와 기업별 처리 요구사항은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Plug-in 구조를 도입함으로서 유연하고 효과적인 뿌리산업 스마트 공정을 제안하였다. 또한 미들웨어 Plug-in과 연계 서비스 계층 간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를 통해 변조, 탈취 등에 대한 예방과 보안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MQTT, COAP, XAMP 등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확장 가능할 수 있도록 뿌리산업에 특성화된 IOT 미들웨어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Variable Priority Number Control of SPMS for Leisure Ship

  • Oh, Jin-Seok;Park, Do-Yo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41-148
    • /
    • 2012
  • The power system of leisure ship has a character of stand-alone type, so it continuously checks the usable power. Especially, the leisure ship using renewable energy needs to adjust the power consumption of loads according to the usable power. Also, the important loads of leisure ship are different by operation mode. However, current power management system doesnot consider such character. This paper studied load management system of the SPMS(Smart Power Management System) and composed using the smart plug. The SPMS controls the loads depending on a user's pattern and character through variable priority number control. This control algorithm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of assumed user and situation using LabVIEW.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스마트 충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mart Charging f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 노철우;김민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52
    • /
    • 2008
  • The most concerning issue in these days is the energy crisis by increasing threat of global warming and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e situations, th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is drawing attention from many countries for the next generation's car which has higher fuel efficiency and lower environmental impact. This paper presents simulation results about the limit capacity of central power-grid which doesn't have enough surplus electric power for charging PHEVs. Therefore, this paper also presents a smart charging system that can charge the PHEVs with a function of distributing demands of charging. The smart charging system is an agent facility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nsumer, which can recommend the best time to charge the battery of PHEVs by the lowest energy cost. This function of choosing time-slots is the technical system for the government which wants to control the consumption rate of electric power for PHEV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PHEVs from the two kinds of price system, midnight electric price and home electric price.

  • PDF

중앙제어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의 에너지관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wer Management Algorithm of Centralized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 도반콴;이성준;이재덕;배정효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3호
    • /
    • pp.566-571
    • /
    • 2011
  • As Plug-in Hybrid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PHEV/EV) take a greater share in the personal automobile market, their high penetration levels may bring potential challenges to electric utility especially at the distribution level. Thus, there is a need for the flexible charging management strategy to compromise the benefits of both PHEV/EV owners and power grid side. There are many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that depend on the objective function and the constraints caused by the system. In this paper, the schema and dispatching schedule of centralized PHEV/EV charging spot network are analyzed. Also, we proposed and compared three power allocation strategies for centralized charging spot. The first strategy aims to maximize state of vehicles at plug-out time, the rest methods are equalized allocation and prioritized allocation based on vehicles SoC.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each run of the optimized algorithms can produce the satisfactory solutions to response properly the requirement from PHEV/EV customers.

친환경 네트워크 기반 소비전력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Network based Green Power Management System)

  • 김주희;이인범;윤치웅;류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79-78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일반 사무실 및 홈 네트워크의 PC를 포함한 다양한 주변 기기들의 과다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력관리서버(EMS), 네트워크 멀티콘센트(Smart Plug), PC 제어를 위한 PC Agent 그리고 원격지에서의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App. 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서비스 발견을 위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적용 방법 (Multi-agent-based approach for service discovery in smart meeting spaces)

  • 배창혁;한상우;김종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69-673
    • /
    • 2008
  •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협업기능 요구사항에 따라 협업환경 내 서비스들을 적절히 발견하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기술이다. 일반적인 서비스 발견과 관련하여, UPnP(universal plug & play) 의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서비스 발견 기술이 존재하나, 지능형 협업환경이 요구하는 서비스 발견 특정을 만족시키기에는 일부 제약 사항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 발견 기술의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이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multi-agent system,, MAS)을 적용한 실용적인 서비스 발견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지능형 협업환경의 일부 서비스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본 접근방법의 타당성을 구현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