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Addic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7초

앱 인벤터를 활용한 알코올 중독자 치료를 위한 콘텐츠 제공 앱 개발 (Application development that provide contents for Treatment of alcoholism using App Inventor)

  • 한영신;허원회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63-70
    • /
    • 2015
  • 우리나라는 경기 침체의 여파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알코올 중독 환자가 증가 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알코올 중독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알코올 중독 및 중독폐해는 다양한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중독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알코올 중독은 그간 마약, 도박, 인터넷 등과 같은 다른 건강문제에 비해 연구투자가 부족했고 치료서비스 또한 제대로 제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환자에게 치료에 관한 집약된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맞춤형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자 한다.

아동의 공감능력, 또래관계,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연구: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A Study on the Correlations among the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Ability)

  • 장은정
    • 아동복지연구
    • /
    • 제16권2호
    • /
    • pp.47-66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ny possible correlations among the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empathy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mpathy ability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To this end, the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tests were conducted among 154 six-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gi and Ou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among empathy ability,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empathy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empathy ability and smartphone addiction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also the case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when it came to the effects of the empathy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the emotional empathy as part of the empathy ability and the esteem out of peer relationships were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 addiction, indicating that an increase of emotional empathy and esteem resulted in less smart phone addiction.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with the empathy ability as a medium,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addiction were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by the empathy ability.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ould serve as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노인의 스마트 폰 게임 중독 경향에 따른 뇌파 비대칭(asymmetry)와 연결성(Coherehnce)의 정량화뇌파(QEEG) 비교 분석 (Comparison of QEEG between EEG asymmetry and Coherehnce with elderly people according to smart_phone game Addiction Tendency)

  • 원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44-652
    • /
    • 2017
  • 본 논문은 노인의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 여부에 따른 뇌파 비교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즉 정량화 뇌파 결과에서 비대칭과 연결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뇌파와 수면 문제와 우울 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스마트폰 게임 중독 성향이 있는 노인1명과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노인 1명 총 2명이다. 참여자의 스마트폰 중독 성향은 스마트폰 중독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고 뇌파분석은 정량화 뇌파분석(QEEG)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 노인의 뇌파는 개폐안시 모두 비대칭(asymmetry)에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과몰입 증상을 보이는 노인과 스마트폰 비사용자노인은 개폐안시 연결성에 있어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뇌파분석 비교를 통해 스마트폰 게임사용이 뇌의 인지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을 실시함으로써 노인성 인지장애와 스마트폰 사용과의 관계 양상을 탐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가족의 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Family Functioning and Smart Phone Addiction)

  • 박순아;박근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가족기능, 스마트폰 중독, 자아분화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S시, M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6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20일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능과 자아분화는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각 3.71점, 2.81점이었다. 스마트폰 중독은 4점 만점에 2.26점 이었다. 가족기능은 자아분화와는 양의 상관관계이었고(r=.667, p<.01), 스마트폰 중독과는 음의 상관관계이었다(r=-.178, p<.01). 자아분화와 스마트폰 중독은 음의 관계(r=-.319, p<.01)가 있었다.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가족기능이 높을수록 자아분화는 높아졌고(${\beta}=.667$, p<.001), 자아분화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은 감소하였다(${\beta}=-.361$, p<.001). 그리고 자아분화는 가족기능과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되었다(Z=-2.336, p<.001). 이에 대한 설명력은 10.4%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할 때, 단순히 가족기능에 대한 중재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가족기능 향상과 더불어 자아분화를 높일 수 있는 중재를 포함하여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젊은 성인(20-30대)의 ADHD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The Influence of Yong Adult ADHD Tendency on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한여울;정은정;서경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98-408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 30대 성인 남녀 34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반적인 기술통계분석을 하였고, 이후 AMOS와 Mplus를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과 매개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ADHD 경향은 정서조절곤란과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이중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ADHD 경향과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이라는 것을 확인했으며, 정서조절곤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회적 지지를 증진 시켜 회피적인 대체활동인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Smart Phone upon Reading and Self-regulated Reading)

  • 김태용;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2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서는 독서량, 독서시간, 자기조절 읽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 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학교 및 가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스마트 시대에 적절한 독서 지도방안 등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메타분석 (Smart phone dependence Intervention Program meta-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송화;이경은;김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4-152
    • /
    • 2019
  • 아동의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되며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인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중독된 아동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국내에서 출간된 스마트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1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감소를 유발하는 스마트폰 중독 집단프로그램의 전체 변인의 효과 크기는 g=-0.90로 나타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감소 및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발적인 참여 동기에서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연구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개입은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 스마트폰에 대한 예방 교육이 필요하고,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이 스마트폰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스마트폰에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IT 리터러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 이용의 부작용 유형 분석 및 대응 방안 (Typ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Side Effects of using Smart Phone)

  • 김태희;강문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84-2994
    • /
    • 2013
  • 스마트폰의 등장은 컴퓨터를 손바닥 안으로 옮기는 혁명을 가져왔으며, 그 혁명은 생활의 편리함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스마트 사회를 선도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증후군을 포함한 부작용 요소가 과거의 그 어떤 IT 기기들보다 더욱 폭넓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목적별로 위험 요인을 중심으로 부작용 유형과 유형별 핵심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영향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진단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대응 방안은 스마트 사회의 창의 협력 소통 오락통의 플랫폼인 스마트폰을 바람직하게 활용하게 함으로써 가시적이고 잠재적인 부작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to Intervene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 황재인;신재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3-3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이 최근 빠른 추세로 증가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 감소에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독현상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심리치료에 효과성이 검증된 인지행동치료를 기반으로 기존에 개발된 인터넷중독 개입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폰중독 개입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비합리적인 사고와 습관적 행동으로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스마트폰중독 개입교육 프로그램은 일상생활장애, 내성과 같은 스마트폰 중독의 부정적 요인들에 대한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고,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형식개념분석을 활용한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An Internet Addiction Self-Diagnosis Technique based on Formal Concept Analysis (FCA))

  • 강유경;이현;박정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9-47
    • /
    • 2013
  • 자기 통제력이 약한 청소년의 경우, 감각 추구 성향 및 현실탈출의 대안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다 인터넷중독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인터넷중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중독 척도 기준에 따른 인터넷 자가진단 기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식들은 중복적인 척도기준과 설문지 형식의 진단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체계적으로 중독의 상관성 및 환경의 영향성을 평가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체계적인 인터넷중독 자가진단을 위하여 새로운 형식개념분석 기법을 활용한 인터넷중독 자가진단 기법을 제안하고 자가진단 시스템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가정환경, 가족과의 관계, 교우관계, 학교생활 등 다양한 관점 기반의 분석을 통해 측정된 데이터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