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Addic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College Students)

  • 백선숙;조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48-256
    • /
    • 2017
  • 본 연구는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재학생 19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생활스트레스는 평균 $.62{\pm}.33$점, 우울 $.24{\pm}31$점, 스마트폰 중독 $2.59{\pm}.63$점, 삶의 질 $3.48{\pm}.54$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은 학년, 대인관계, 음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 스마트폰 이용시간, 외모 만족도, 운동, 음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은 성별, 스마트폰 이용시간, 외모 만족도, 대인관계, 운동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과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Effects of Student's Stress and 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 Phone Addiction

  • Kang, Gil-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47-153
    • /
    • 2015
  • This Study is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stress, personal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anxiety, and then suggest som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ing on the analytical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 targeting on 416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sychological anxiety moder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 phone addiction.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basing on this analytical results.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자 예측 및 회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orecast of Smart Phone Addicted Youths and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Programs)

  • 정관용;변상해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6권3호
    • /
    • pp.77-9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forecast of the number of smart phone addicted youths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programs. A system dynamics model is developed to describe the processes of addiction and transits between phases as well as the diffusion of smart phones. The youths are grouped into non users, general users, potential risky users, and high risky users. The model utilizes the population distributions over ages for the next 30 years forecasted by Korean Government. The number of youths decreases for the next decade or so, and the number of youths who owns smart phone will reach maximum at 2017. As for the rehabilitation programs, the model includes the preventive education for general users, counseling for potential risky users, and professional therapy for high risky users. The preventive education restricts the transit from general users to potential risky users. Counseling increases the transit from potential risky users to general users while it decreases the transit to high risky users. Professional therapy improves transit to potential risky users and to general users. Although the model cannot be validated the accuracy owing to the lack of data, it describes these transit within the reasonable ranges and can be used to study the allocation of the limited resources to maximize the outcome.

치위생과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Smart Phone Use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Dental Hygiene College)

  • 오혜영;김진;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61-767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사용 현황과 중독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부 지역의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515명을 임의 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스마트폰을 구입한 이유는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위해서"가 24.8%로 가장 많았고, '정보 검색'과 '전화 및 문자'가 16.5%, '주변사람들이 모두 가지고 있어서'가 15.7%의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의 사용 용도는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를 사용하는 용도가 20.0%로 가장 많았고, '전화 및 문자'가 16.6%, '음악감상' 16.2%, '자료 검색' 15.4% 순이었다. 일반적 특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교우관계가 좋은 경우(p=0.028)와 지방에 거주한 학생(p<0.000)이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우관계가 좋은 경우(${\beta}$=0.138)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경우(${\beta}$=0.308), 학습태도가 좋은 경우와(${\beta}$=-0.123) 대학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경우(${\beta}$=-0.154)였다.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과 학습태도 및 교우관계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로서 학교 내에서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 제한과 면학 분위기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사용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Usage and Self-efficacy & Academic Achievement in Hig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여란;김현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0-2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use of smart phon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 5th to 6th grade. Methods: 954 students in $5^{th}$ to $6^{th}$ grade were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K City through purposive sampling. Data of 591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x^2$ 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program. Results: First, 64% of the students possessed a smart phone and female students used their phone more than male students. 47.5% of the students said they first used a smartphone in their $5^{th}$ grade and 11.7% said in their 6th grade. Second, heavier use of smart phones was related to a lower level of self-efficacy (p<.001). Third, the more the students used a smart phone, the less they achieved in academic performance (Korean language: p<.001, mathematics: p<.01). Finally, the biggest factor influencing smart phone addiction was longer use of smart phones. In addition, lower self-efficacy and lower ability to adapt to difficult tasks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in smart phone addiction. Less use of smart phones and higher self-efficacy resulted in higher achievement in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decrease students' use of smart phones and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formance.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the use of smart phones should include a profound interest, a personality-orient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ufficient dialogues with students at home, schools and the local society, beyond simple regulations to prevent adverse effects.

시간관과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추상적 사고와 성장 마인드세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me Perspectives and Smart Phone Addiction on Abstract Thinking and Growth Mindset of Adolescent)

  • 박찬정;현정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1-32
    • /
    • 2013
  • 최근 창의성이 강조되고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화두가 되면서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본 연구는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추상적 사고와 마음가짐의 특성인 마인드세트를 중심으로 시간관과 스마트폰 중독이 어떻게 두 가지 요인들과 관련을 가지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441명의 초 중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정도, 현재쾌락적 시간관, 미래지향적 시간관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후, 집단 간 추상적 사고수준을 측정하는 행동정체성척도(BIF)와 마인드세트가 어떻게 다른지 기술한다. 또한,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문제해결력에 도움이 되는 추상적 사고와 성장 마인드세트를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대안을 시간과 계획 관점에서 제언한다.

  • PDF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이 자기생활관리에 미치는 영향: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매개효과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Life Management: Medi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 and Risk Factor)

  • 김비;김나미;박경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594-60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위험요인인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긍정심리자본, 정신건강, 자기생활관리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생활관리와 긍정심리자본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신건강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경로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이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매개변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 하위요인들과 자기생활관리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에서는 낙관성과 탄력성이 자기생활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에서는 우울과 충동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건강행태, 스마트폰중독 및 자살생각지수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mart phone addicti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남문희;김혜옥;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57-56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스마트폰 중독 및 자살생각지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주관적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2년 11월19일부터 12월14일 까지 K시 소재 일개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횡단적 자가보고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건강행태가 스마트폰 중독 및 자살생각지수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차이가 있는지 t-test 및 ANOVA를 시행하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종속변수로 하여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주관적 행복지수는 4.58점으로 중간 보다 높았고, 성별, 부모생존 및 동거,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요인분석결과 17.7%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가정수입이 201-400만원미만에서 주관적 행복지수가 높았고(${\beta}=.185$, p=.035), 스마트폰 중독지수가 높을수록(${\beta}=-.127$, p=.025), 자살생각지수가 높을수록(${\beta}=202$, p<.001) 행복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행복지수를 향상할 수 있는 가족적인 지지, 스마트폰 중독 예방과 자살방지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방사선 전공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control by University Students of Radiology Major)

  • 황율흔;최지훈;정홍량;박해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4호
    • /
    • pp.345-349
    • /
    • 2018
  • The study analyzed questionnaires of 431 radiologists in the field of radiology for identifying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elf-control for college students using smartphon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 of living for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er for middle-income brackets, and that for girls, it was high for gender. Male students showed high self-control among men and women, while those who are not addicted to smartphones showed high levels of self-control among non-addicted peop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re gender and smartphone addiction (r=.221, p<.001)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nd self-control (r=-.371, p<.001)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niversity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rogram development and self-control ability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vention education.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을 통한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진단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s Comparison through internet usag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 김희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0
    • /
    • 2014
  • 유비쿼터스의 기능이 결합된 뉴미디어의 보급으로 인터넷 중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은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지역 인근 대학교의 일부 대학생들에게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K-척도와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S-척도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패턴을 취득하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K-척도와 S-척도로는 별견되지 않는 숨겨진 인터넷 중독자와 스마트폰 중독자를 찾아서 K-척도와 S-척도의 진단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K-척도 및 S-척도와 달리 대학생들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주활동과 예상 및 실제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구한 내성정도를 이용하여 중독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숨겨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자를 찾을 수 있었다.

  • PDF